AD
민방위 대피소 위치를 내일(30일)부터 네이버, 네이버지도, 카카오맵, 티맵에서 찾아볼 수 있게 된다고 행정안전부가 밝혔습니다.
그동안 민방위 대피소 위치는 국민재난안전포털이나 안전디딤돌 앱에서만 검색할 수 있었지만, 이제 이용자가 많은 민간 포털과 지도 앱에서도 주변 대피소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됩니다.
이번에 제공되는 정보는 민방위 대피소의 명칭과 위치 등인데 대피소의 층수나 대피 가능인원 등 시설의 세부정보는 향후 제공될 예정입니다.
현재 전국에는 아파트 지하, 지하철역, 지하상가 등에 1만7천여 개의 민방위 대피소가 지정돼 있습니다.
북한의 포격 도발 등으로 공습경보가 발령되면 민간 포털이나 지도 앱에서 내 주변 대피소를 검색해 가장 가까운 대피소를 찾아서 대피하면 됩니다.
행안부는 민방위 대피소 데이터를 민간에서 활용하기 쉽도록 다음 달부터 공공데이터포털(data.go.kr)에서 제공하고, 오픈 API(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 형태로도 개방할 예정입니다.
YTN 김종균 (chongkim@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그동안 민방위 대피소 위치는 국민재난안전포털이나 안전디딤돌 앱에서만 검색할 수 있었지만, 이제 이용자가 많은 민간 포털과 지도 앱에서도 주변 대피소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됩니다.
이번에 제공되는 정보는 민방위 대피소의 명칭과 위치 등인데 대피소의 층수나 대피 가능인원 등 시설의 세부정보는 향후 제공될 예정입니다.
현재 전국에는 아파트 지하, 지하철역, 지하상가 등에 1만7천여 개의 민방위 대피소가 지정돼 있습니다.
북한의 포격 도발 등으로 공습경보가 발령되면 민간 포털이나 지도 앱에서 내 주변 대피소를 검색해 가장 가까운 대피소를 찾아서 대피하면 됩니다.
행안부는 민방위 대피소 데이터를 민간에서 활용하기 쉽도록 다음 달부터 공공데이터포털(data.go.kr)에서 제공하고, 오픈 API(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 형태로도 개방할 예정입니다.
YTN 김종균 (chongkim@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