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서울시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신재생에너지 보급을 대폭 확대한다고 밝혔습니다.
시는 신재생에너지 보급률을 현재 4.3%에서 2026년 12.6%, 2030년 21%까지 끌어올릴 계획입니다.
지열은 올해 시 건물 3곳과 반포 재건축사업, 신축 공공건물 등에 18메가와트(MW)를 보급하는 것을 시작으로 2030년까지 제로에너지건축 의무화 등을 통해 총 600MW를 설치합니다.
수열은 올해 환경부 공모사업 선정지와 반포 재건축사업에 19MW를 보급하고 2030년까지 신축 건물을 중심으로 총 305MW를 공급합니다.
또 한강 잠실수중보에 2.5MW, 암사 아리수 정수센터에 150KW급 소수력 발전시설을 설치합니다.
이 밖에도 서울시는 물재생센터 등 공공시설에 53MW 규모의 연료전지 보급을 추진합니다.
연료전지와 태양광으로 직접 전기를 생산하고, 전기차 충전시설을 갖춘 '종합에너지스테이션'을 2030년까지 서울시 전체로 확대합니다.
서울시는 태양광의 경우 양적 확대에 치중했던 과거와 달리 건물 일체형 태양광 등 신기술, 고효율 중심으로 전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유연식 서울시 기후환경본부장은 "서울 에너지 소비의 67%를 차지하는 화석연료를 다양한 신재생에너지로 전환할 수 있도록 정책역량을 집중해 신재생에너지 보급률을 지속해서 끌어올리겠다"고 말했습니다.
YTN 김종균 (chongkim@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시는 신재생에너지 보급률을 현재 4.3%에서 2026년 12.6%, 2030년 21%까지 끌어올릴 계획입니다.
지열은 올해 시 건물 3곳과 반포 재건축사업, 신축 공공건물 등에 18메가와트(MW)를 보급하는 것을 시작으로 2030년까지 제로에너지건축 의무화 등을 통해 총 600MW를 설치합니다.
수열은 올해 환경부 공모사업 선정지와 반포 재건축사업에 19MW를 보급하고 2030년까지 신축 건물을 중심으로 총 305MW를 공급합니다.
또 한강 잠실수중보에 2.5MW, 암사 아리수 정수센터에 150KW급 소수력 발전시설을 설치합니다.
이 밖에도 서울시는 물재생센터 등 공공시설에 53MW 규모의 연료전지 보급을 추진합니다.
연료전지와 태양광으로 직접 전기를 생산하고, 전기차 충전시설을 갖춘 '종합에너지스테이션'을 2030년까지 서울시 전체로 확대합니다.
서울시는 태양광의 경우 양적 확대에 치중했던 과거와 달리 건물 일체형 태양광 등 신기술, 고효율 중심으로 전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유연식 서울시 기후환경본부장은 "서울 에너지 소비의 67%를 차지하는 화석연료를 다양한 신재생에너지로 전환할 수 있도록 정책역량을 집중해 신재생에너지 보급률을 지속해서 끌어올리겠다"고 말했습니다.
YTN 김종균 (chongkim@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