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도시보다 상대적으로 의료 시설이 부족한 농어촌 지역에 살수록, 가까운 곳에 제대로 된 병원 하나쯤 있으면 하는 생각이 많이 드실 겁니다.
특히 응급 환자가 생기면 이런 생각이 더 커지기 마련인데, 지역 병원들은 적자 때문에 응급실을 더 이상 운영하기 힘들다며 하소연하고 있습니다.
이윤재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경북 의성의 한 병원 응급실입니다.
보건복지부 응급의료기관으로 지정된 곳이지만 최근 2년 연속, 기준 미충족 판정을 받아 과태료를 내야 할 처지입니다.
복지부 기준을 채우려면 환자 수에 따라 전담 의사 1~2명과 간호사 5명 이상이 있어야 하고 응급 의료진들은 외래 환자 진료를 하면 안 됩니다.
하지만 의사와 간호사를 구하기 쉽지 않고 또 비용도 만만찮아 이 기준을 채우지 못한 겁니다.
응급실 운영에 연간 8억 원가량 비용이 들지만, 응급실을 찾는 환자는 하루 10명 정도에 불과합니다.
정부 지원금을 감안 하더라도 매년 5억 원 가까이 적자가 난다는 설명입니다.
[김인기 / 경북 의성군 영남제일병원장 : 적자 폭은 1년에 평균적으로 4억에서 5억 원 정도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현재 이렇게 불합리하고 현실에 안 맞는 정책으로는 당연히 우리 지역 응급의료기관을 반납해야 합니다.]
그래서 이 병원은 응급의료기관 지위를 반납하고 응급실을 축소 운영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습니다.
경북 의성군은 서울보다 면적이 두 배 정도 넓은데, 복지부 기준에 맞는 응급의료기관은 이 병원 한 군데뿐입니다.
이 병원 응급실이 문을 닫으면 환자들은 최소 1시간 이상 떨어진 다른 병원으로 찾아가야 합니다.
결국 응급환자들을 살릴 골든 타임을 놓치게 되는 겁니다.
다른 시골 지역 병원도 사정은 비슷합니다.
[이천형 / 경남 하동군 하동병원장 : 첫째는 의료 인력을 구하기 어렵다는 것입니다. 농어촌 지역의 가산율을 높인다든지 복지부가 따로 농어촌 지역을 위한 다른 법적 근거를 마련해 줘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복지부는 응급의료기관 평가 기준은 응급실이 제대로 기능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요건이라는 입장입니다.
시골 병원만을 위해 이 기준을 낮춰 줄 수는 없다는 겁니다.
[복지부 관계자 : 병원의 노력도 상당히 중요한 부분인데 지금은 법적 기준을 위반한 기관들이 계속 위반을 하고 있고, 개선의 의지를 보이지 않는 측면이 있기 때문에…. 보조금을 삭감하는 제재를 해야 하고….]
현재의 지원금으로도 응급실을 충분히 운영할 수 있다는 정부.
지역의 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현재의 기준으로는 응급실 운영이 어렵다는 병원.
양측의 입장이 맞서는 사이 농어촌 지역의 응급환자들은 갈 곳을 잃어가고 있습니다.
YTN 이윤재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도시보다 상대적으로 의료 시설이 부족한 농어촌 지역에 살수록, 가까운 곳에 제대로 된 병원 하나쯤 있으면 하는 생각이 많이 드실 겁니다.
특히 응급 환자가 생기면 이런 생각이 더 커지기 마련인데, 지역 병원들은 적자 때문에 응급실을 더 이상 운영하기 힘들다며 하소연하고 있습니다.
이윤재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경북 의성의 한 병원 응급실입니다.
보건복지부 응급의료기관으로 지정된 곳이지만 최근 2년 연속, 기준 미충족 판정을 받아 과태료를 내야 할 처지입니다.
복지부 기준을 채우려면 환자 수에 따라 전담 의사 1~2명과 간호사 5명 이상이 있어야 하고 응급 의료진들은 외래 환자 진료를 하면 안 됩니다.
하지만 의사와 간호사를 구하기 쉽지 않고 또 비용도 만만찮아 이 기준을 채우지 못한 겁니다.
응급실 운영에 연간 8억 원가량 비용이 들지만, 응급실을 찾는 환자는 하루 10명 정도에 불과합니다.
정부 지원금을 감안 하더라도 매년 5억 원 가까이 적자가 난다는 설명입니다.
[김인기 / 경북 의성군 영남제일병원장 : 적자 폭은 1년에 평균적으로 4억에서 5억 원 정도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현재 이렇게 불합리하고 현실에 안 맞는 정책으로는 당연히 우리 지역 응급의료기관을 반납해야 합니다.]
그래서 이 병원은 응급의료기관 지위를 반납하고 응급실을 축소 운영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습니다.
경북 의성군은 서울보다 면적이 두 배 정도 넓은데, 복지부 기준에 맞는 응급의료기관은 이 병원 한 군데뿐입니다.
이 병원 응급실이 문을 닫으면 환자들은 최소 1시간 이상 떨어진 다른 병원으로 찾아가야 합니다.
결국 응급환자들을 살릴 골든 타임을 놓치게 되는 겁니다.
다른 시골 지역 병원도 사정은 비슷합니다.
[이천형 / 경남 하동군 하동병원장 : 첫째는 의료 인력을 구하기 어렵다는 것입니다. 농어촌 지역의 가산율을 높인다든지 복지부가 따로 농어촌 지역을 위한 다른 법적 근거를 마련해 줘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복지부는 응급의료기관 평가 기준은 응급실이 제대로 기능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요건이라는 입장입니다.
시골 병원만을 위해 이 기준을 낮춰 줄 수는 없다는 겁니다.
[복지부 관계자 : 병원의 노력도 상당히 중요한 부분인데 지금은 법적 기준을 위반한 기관들이 계속 위반을 하고 있고, 개선의 의지를 보이지 않는 측면이 있기 때문에…. 보조금을 삭감하는 제재를 해야 하고….]
현재의 지원금으로도 응급실을 충분히 운영할 수 있다는 정부.
지역의 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현재의 기준으로는 응급실 운영이 어렵다는 병원.
양측의 입장이 맞서는 사이 농어촌 지역의 응급환자들은 갈 곳을 잃어가고 있습니다.
YTN 이윤재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