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폭염경보가 계속되는 가운데 서울은 12일 만에 열대야에서 벗어났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한낮에는 '불볕더위'가 기승을 부렸습니다.
서쪽 지역을 중심으로 35도를 웃도는 심한 폭염은 주말과 휴일까지 이어집니다.
김민경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무려 11일 연속 서울의 밤을 달궜던 열대야가 잠시 주춤했습니다.
밤사이 최저기온이 24.6도까지 내려가면서 열대야의 기준인 25도보다 낮아진 겁니다.
체감온도 역시 25도 아래로 떨어지며 연일 체감 30도 안팎으로 후텁지근했던 것에 비하면 밤공기가 한층 가벼워졌습니다.
[우진규 / 기상청 통보관 : 일반적으로 열대야가 나타나기 위해서는 밤 동안 습도가 높게 유지돼야 하는 조건을 생각한다면, 최근에는 밤에 기온이 열대야가 나타나는 평소보다 조금 더 낮은 건조한 대기 상태를 보였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한풀 꺾인 밤 더위와 달리 한낮에는 여전히 35도를 웃도는 불더위의 기세가 거셌습니다.
서울은 36.1도까지 올랐고, 경기도와 호남 곳곳에서도 사람 체온을 웃도는 심한 더위가 이어졌습니다.
두 고기압이 한반도를 덮친 '열돔' 속에 연일 동풍이 불어오면서 서쪽 지역은 습도는 다소 낮아졌지만, 축적된 열기로 '불볕더위'가 계속됐기 때문입니다.
주말과 휴일까지는 열돔과 동풍의 영향 속에 서쪽의 폭염이 이어질 전망입니다.
[공상민 / 기상청 예보분석관 : 주말 동안 대체로 맑은 가운데 강한 일사와 함께 동풍이 지속되면서 서쪽 지역 중심으로 더위가 이어지겠습니다. 제주도와 남부지방에는 비가 내리면서 기온이 일시적으로 내려가겠지만, 습도가 높아져 체감온도는 더욱 높아 덥겠습니다.]
다음 주부터는 열돔이 해소되고 바람 방향이 바뀌면서 극심했던 더위도 누그러질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북쪽에서 찬 공기가 내려오면서 한반도의 열기와 부딪혀 장마가 아직 끝나지 않은 중부지방은 거센 장맛비가 쏟아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와 함께 한반도 남쪽에서 열대 수증기가 북상해 남부지방에도 강한 비가 내릴 우려가 있습니다.
YTN 김민경입니다.
영상편집;박정란
디자인;전휘린, 임샛별
YTN 김민경 (whitepaper@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폭염경보가 계속되는 가운데 서울은 12일 만에 열대야에서 벗어났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한낮에는 '불볕더위'가 기승을 부렸습니다.
서쪽 지역을 중심으로 35도를 웃도는 심한 폭염은 주말과 휴일까지 이어집니다.
김민경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무려 11일 연속 서울의 밤을 달궜던 열대야가 잠시 주춤했습니다.
밤사이 최저기온이 24.6도까지 내려가면서 열대야의 기준인 25도보다 낮아진 겁니다.
체감온도 역시 25도 아래로 떨어지며 연일 체감 30도 안팎으로 후텁지근했던 것에 비하면 밤공기가 한층 가벼워졌습니다.
[우진규 / 기상청 통보관 : 일반적으로 열대야가 나타나기 위해서는 밤 동안 습도가 높게 유지돼야 하는 조건을 생각한다면, 최근에는 밤에 기온이 열대야가 나타나는 평소보다 조금 더 낮은 건조한 대기 상태를 보였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한풀 꺾인 밤 더위와 달리 한낮에는 여전히 35도를 웃도는 불더위의 기세가 거셌습니다.
서울은 36.1도까지 올랐고, 경기도와 호남 곳곳에서도 사람 체온을 웃도는 심한 더위가 이어졌습니다.
두 고기압이 한반도를 덮친 '열돔' 속에 연일 동풍이 불어오면서 서쪽 지역은 습도는 다소 낮아졌지만, 축적된 열기로 '불볕더위'가 계속됐기 때문입니다.
주말과 휴일까지는 열돔과 동풍의 영향 속에 서쪽의 폭염이 이어질 전망입니다.
[공상민 / 기상청 예보분석관 : 주말 동안 대체로 맑은 가운데 강한 일사와 함께 동풍이 지속되면서 서쪽 지역 중심으로 더위가 이어지겠습니다. 제주도와 남부지방에는 비가 내리면서 기온이 일시적으로 내려가겠지만, 습도가 높아져 체감온도는 더욱 높아 덥겠습니다.]
다음 주부터는 열돔이 해소되고 바람 방향이 바뀌면서 극심했던 더위도 누그러질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북쪽에서 찬 공기가 내려오면서 한반도의 열기와 부딪혀 장마가 아직 끝나지 않은 중부지방은 거센 장맛비가 쏟아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와 함께 한반도 남쪽에서 열대 수증기가 북상해 남부지방에도 강한 비가 내릴 우려가 있습니다.
YTN 김민경입니다.
영상편집;박정란
디자인;전휘린, 임샛별
YTN 김민경 (whitepaper@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