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오늘도 서쪽 지역을 중심으로 숨 막히는 폭염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경기 파주 광탄면은 38도에 육박했고, 서울은 35.8도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저녁 무렵에는 인천과 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강한 소나기가 쏟아질 전망입니다.
취재기자 연결해 알아보겠습니다.
박소정 기자, 연일 극심한 폭염이 기승입니다.
어제 최고 기온이 40도를 넘은 곳까지 나왔는데, 현재는 어떤가요?
[기자]
네, 어제 40도를 넘겼던 경기 파주 광탄면, 현재 38.8도까지 올라 전국에서 가장 높은 기온을 보이고 있습니다.
경기 가평 외서면 38.3도, 기흥 광명 안성 등 경기 곳곳이 38도 가까이 치솟았습니다.
서울도 35.8도까지 오른 가운데, 기온이 계속 오르고 있습니다.
동풍의 영향으로 서쪽 지역에 극심한 폭염이 이어지면서 서쪽은 목포와 신안, 서해 5도 등 서해안에도 폭염특보가 확대 강화됐는데요.
반면, 동해안은 폭염특보가 해제된 가운데, 오늘도 동풍의 영향으로 동쪽 지역은 상대적으로 더위가 덜하겠습니다.
기상청은 주 후반까지는 계속해서 동풍이 불며 서쪽 지역은 극심한 폭염이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며, 온열 질환 예방에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습니다.
[앵커]
어제는 폭염에 이어 저녁에 기습 폭우가 쏟아졌는데, 오늘도 소나기 예보가 있다고요?
[기자]
네, 오늘도 늦은 오후부터 인천과 경기 서해안, 영남 동해안, 제주도에 소나기가 예보됐습니다.
내륙에는 5∼30mm, 제주도는 내일까지 지역에 따라 60mm가 넘게 내리는 곳이 있을 전망입니다.
소나기의 특성상, 일시적으로 돌풍과 천둥, 번개를 동반하며 강하게 쏟아지거나, 같은 지역이라도 강수량의 차이가 크겠는데요.
여름철에는 기온이 크게 오르는 날엔, 그만큼 대기 불안정이 심해지면서 강한 비구름이 발달해 어제처럼 국지적인 폭우가 쏟아질 가능성이 큽니다.
이런 비구름들은 규모가 워낙 작아 예측이 쉽지 않기 때문에, 최신 기상정보를 자주 확인하고, 갑작스러운 폭우에 대비해 우산을 챙겨다니는 것이 좋습니다.
지금까지 과학기상부에서 YTN 박소정입니다.
YTN 박소정 (sojung@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오늘도 서쪽 지역을 중심으로 숨 막히는 폭염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경기 파주 광탄면은 38도에 육박했고, 서울은 35.8도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저녁 무렵에는 인천과 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강한 소나기가 쏟아질 전망입니다.
취재기자 연결해 알아보겠습니다.
박소정 기자, 연일 극심한 폭염이 기승입니다.
어제 최고 기온이 40도를 넘은 곳까지 나왔는데, 현재는 어떤가요?
[기자]
네, 어제 40도를 넘겼던 경기 파주 광탄면, 현재 38.8도까지 올라 전국에서 가장 높은 기온을 보이고 있습니다.
경기 가평 외서면 38.3도, 기흥 광명 안성 등 경기 곳곳이 38도 가까이 치솟았습니다.
서울도 35.8도까지 오른 가운데, 기온이 계속 오르고 있습니다.
동풍의 영향으로 서쪽 지역에 극심한 폭염이 이어지면서 서쪽은 목포와 신안, 서해 5도 등 서해안에도 폭염특보가 확대 강화됐는데요.
반면, 동해안은 폭염특보가 해제된 가운데, 오늘도 동풍의 영향으로 동쪽 지역은 상대적으로 더위가 덜하겠습니다.
기상청은 주 후반까지는 계속해서 동풍이 불며 서쪽 지역은 극심한 폭염이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며, 온열 질환 예방에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습니다.
[앵커]
어제는 폭염에 이어 저녁에 기습 폭우가 쏟아졌는데, 오늘도 소나기 예보가 있다고요?
[기자]
네, 오늘도 늦은 오후부터 인천과 경기 서해안, 영남 동해안, 제주도에 소나기가 예보됐습니다.
내륙에는 5∼30mm, 제주도는 내일까지 지역에 따라 60mm가 넘게 내리는 곳이 있을 전망입니다.
소나기의 특성상, 일시적으로 돌풍과 천둥, 번개를 동반하며 강하게 쏟아지거나, 같은 지역이라도 강수량의 차이가 크겠는데요.
여름철에는 기온이 크게 오르는 날엔, 그만큼 대기 불안정이 심해지면서 강한 비구름이 발달해 어제처럼 국지적인 폭우가 쏟아질 가능성이 큽니다.
이런 비구름들은 규모가 워낙 작아 예측이 쉽지 않기 때문에, 최신 기상정보를 자주 확인하고, 갑작스러운 폭우에 대비해 우산을 챙겨다니는 것이 좋습니다.
지금까지 과학기상부에서 YTN 박소정입니다.
YTN 박소정 (sojung@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