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기상청이 제주도와 남부지방의 장마가 끝났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폭염과 열대야가 당분간 지속할 것이라며 온열 질환 대비를 당부했습니다. 신현준 기자!
[기자]
네, 과학기상부입니다.
[앵커]
이번 장마는 예년과 비교하면 상당히 빨린 끝난 편이죠?
[기자]
기상청은 오늘 정례 브리핑에서 올해 제주도와 남부지방의 장마가 끝났다고 발표했습니다.
기상청은 북태평양 고기압이 장마 정체전선을 북서쪽으로 밀어내면서 제주도와 남부지방이 장마 영향권을 벗어났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제주는 지난달 26일, 남부는 이번 달 1일 장마가 끝난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제주도의 장마가 6월에 끝난 것은 관측 사상 처음입니다.
이전 기록은 1994년 7월 1일이었습니다.
남부지방도 1973년 6월 30일에 이어 역대 2번째로 이른 장마종료를 기록했습니다.
장마 기간도 제주와 남부지방이 각각 15일과 13일로 역대 2번째로 짧았습니다.
역대 가장 짧았던 장마는 1973년으로 제주도의 장마는 7일, 중부지역은 6일에 그쳤습니다.
중부지방의 경우엔 북한 지역에 있는 정체전선의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어 아직 장마 종료로 보긴 어렵다고 기상청은 덧붙였습니다.
기상청은 다음 주까지 북태평양 고기압이 우리나라에 영향을 줘 폭염과 열대야가 지속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이런 가운데 강원도 강릉에서는 이틀 연속 초열대야가 나타났습니다.
기상청은 강릉의 지난밤 최저 기온이 30.4도를 기록했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서울도 최저 기온이 26.8도를 기록하며 나흘째 열대야가 이어졌습니다.
낮 기온은 더 올라 서울이 32도, 강릉 37도, 대구 36도까지 오를 것으로 예측됐습니다.
기상청은 폭염에 대비해 한낮 바깥활동을 자제하고, 수분을 자주 섭취하는 등 온열질환에 대비해달라고 당부했습니다.
지금까지 과학기상부에서 YTN 신현준입니다.
YTN 신현준 (shinhj@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기상청이 제주도와 남부지방의 장마가 끝났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폭염과 열대야가 당분간 지속할 것이라며 온열 질환 대비를 당부했습니다. 신현준 기자!
[기자]
네, 과학기상부입니다.
[앵커]
이번 장마는 예년과 비교하면 상당히 빨린 끝난 편이죠?
[기자]
기상청은 오늘 정례 브리핑에서 올해 제주도와 남부지방의 장마가 끝났다고 발표했습니다.
기상청은 북태평양 고기압이 장마 정체전선을 북서쪽으로 밀어내면서 제주도와 남부지방이 장마 영향권을 벗어났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제주는 지난달 26일, 남부는 이번 달 1일 장마가 끝난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제주도의 장마가 6월에 끝난 것은 관측 사상 처음입니다.
이전 기록은 1994년 7월 1일이었습니다.
남부지방도 1973년 6월 30일에 이어 역대 2번째로 이른 장마종료를 기록했습니다.
장마 기간도 제주와 남부지방이 각각 15일과 13일로 역대 2번째로 짧았습니다.
역대 가장 짧았던 장마는 1973년으로 제주도의 장마는 7일, 중부지역은 6일에 그쳤습니다.
중부지방의 경우엔 북한 지역에 있는 정체전선의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어 아직 장마 종료로 보긴 어렵다고 기상청은 덧붙였습니다.
기상청은 다음 주까지 북태평양 고기압이 우리나라에 영향을 줘 폭염과 열대야가 지속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이런 가운데 강원도 강릉에서는 이틀 연속 초열대야가 나타났습니다.
기상청은 강릉의 지난밤 최저 기온이 30.4도를 기록했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서울도 최저 기온이 26.8도를 기록하며 나흘째 열대야가 이어졌습니다.
낮 기온은 더 올라 서울이 32도, 강릉 37도, 대구 36도까지 오를 것으로 예측됐습니다.
기상청은 폭염에 대비해 한낮 바깥활동을 자제하고, 수분을 자주 섭취하는 등 온열질환에 대비해달라고 당부했습니다.
지금까지 과학기상부에서 YTN 신현준입니다.
YTN 신현준 (shinhj@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