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인사이드] 제14호 태풍 '찬투' 세력과 진로는?

[이슈인사이드] 제14호 태풍 '찬투' 세력과 진로는?

2021.09.17. 오전 11:39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 진행 : 강진원 앵커
■ 출연 : 반기성 / 케이웨더 예보센터장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앵커]
오늘 오후 남부지방은 태풍 '찬투'의 영향으로 많은 비가 예상됩니다. 추석 연휴를 앞두고 있어 태풍 진행 상황과대비에 유의하셔야 할 텐데요. 좀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반기성 케이웨더 예보센터장 나오셨습니다.

센터장님 저희가 각 지역 현장의 취재기자 통해서 현장 상황 봤는데 지금 태풍 찬투 정확히 어디에 있는 겁니까?

[반기성]
현재는 서귀포 남동쪽 120km 해상 정도. 북쪽으로 본다면 거의 여수보다 약간 서쪽으로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여기서 그대로 동북동진해 나가고 있는데 현재대로 이동해나간다면 오늘 오후 4시 이후에 부산쪽 남쪽 해상으로 진출하고요.

그 이후에 대마도 남쪽을 거쳐서 오늘 밤에는 일본의 혼슈 쪽이죠. 혼슈 쪽 그 육지 쪽으로 상륙하면서 온대성저기압으로 약화될 것으로 일단 예상하고 있습니다.

[앵커]
센터장님, 지금 관련된 그래픽이 나가고 있는데 여수 지역은 오후 1시, 통영은 오후 3시, 부산은 오후 4시가 이번 태풍의 최대 고비도 이렇게 보면 됩니까?

[반기성]
가장 위험한 시간으로 보는 거죠. 그러니까 실제로 태풍이 가장 위험할 때는 그 지역에서 가장 가까이 올 때가 실제로 가장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그래서 그 시간을 보면 기상청 예보로는 오후 3시에 부산 남쪽 170km 해상에 위치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지만 그 파도가 들어온 시간까지 한다면 16시 정도가 가장 위험한 시간으로 보시는 게 맞습니다.

[앵커]
지금 해당 지역에 계신 분들은 각별히 이 시간대에 특히 더 주의하셔야 할 것 같고. 지금 태풍 찬투 같은 경우에 상하이 인근지역에서 며칠 머물렀다고요. 이례적인 경로라고 하던데 이유가 뭡니까?

[반기성]
상당히 이례적이죠. 가을태풍 같은 경우는 거의 이례적인 이런 이상 진로를 그리지 않고 그냥 그대로 빨리 통과해 나가는 그런 특징을 가지는데 이번에는 거의 여름 태풍에서 나타나는 듯한 그런 움직임을 보였습니다.

이게 결국 태풍의 움직임이라는 것은 북태평양고기압 세력과의 연관성입니다. 그러니까 북태평양고기압 세력을 뚫고 들어가지 못하니까 그 가장자리를 돌아가서 이동해나가야 되는데. 문제는 지난주부터 우리나라 쪽으로 지상부터 상층까지 상당히 강한 고기압이 버티고 있었습니다.

그러니까 태풍의 동쪽이죠. 그러니까 태풍이 우리나라 쪽으로 들어오지 못하니까 그대로 필리핀 해상에서 타이완을 거쳐서 그대로 상하이 쪽으로 북상한 겁니다.

[앵커]
길목이 막혔었던 거네요.

[반기성]
네. 이게 블로킹 효과를 해 준 거죠. 그래서 상하이까지 갔는데 상하이까지 올라가고 나니까 거기는 또 찬공기가 내려오니까 더 이상 올라가지 못해요. 그러니까 태풍이 갈 데가 없는 겁니다.

하여튼 편서풍 지대니까 동쪽으로는 가야 되는데 이게 막고 있으니까 그 자체에서 가지 못하니까 내려왔다가 다시 올라갔다가 다시 백했다가 이런 상당히 이상한 진로를 보이다가 어제 오후부터 우리나라를 블로킹을 해 주던 상층 고기압들이 동쪽으로 빠지기 시작했습니다.

이 고기압이 빠진다는 건 상층 기압골이 따라들어온다는 얘기거든요. 그런데 이 기단이 움직이는 속도가 빨라집니다. 그렇게 되면 오늘부터는 찬투는 후면에 따라오는 제트기류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굉장히 빨리 오늘 이동해 나가고 있는 것이죠.

[앵커]
지금 센터장님 말씀을 들어보면 이동경로 자체가 상당히 이례적이라는 말씀을 해 주셨는데 또 보통 태풍이라는 게 육지를 지나거나 아니면 한곳에 오랫동안 머물고 있으면 세력이 약해지는 게 일반적인 특징이지 않습니까? 이번 태풍 찬투 같은 경우에는 그 세력을 어느 정도 유지하고 있다고 하던데 이유가 뭘까요?

[반기성]
실제로 북상하면서 이게 원래는 초강력 태풍이었죠. 초속 54m 이상의 초강력 태풍이었는데 당연히 북상을 하면서 세력은 약해지는 것은 당연한 겁니다.

왜냐하면 북쪽 바다는 남쪽 바다에 비해서 해양 열 함량이 낮기 때문에 즉 다시 말해서 어느 정도 깊이까지 뜨거운 수온이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태풍 같은 경우는 오래 머물게 되면 아래쪽의 물을 끌어올리거든요.

그렇기 때문에 약해집니다. 그런데 이번 태풍은 저희들이 만 이틀 이상을 머물렀는데도 불구하고 예상보다는 그 정도 머물면 굉장히 약해져야 되는데. 그 정도까지 약해지지는 않았다는 것이죠. [앵커] 약해지긴 했는데 예상보다는 덜 약해졌다, 이런 말씀이죠.

[반기성]
네. 그러니까 덜 약해지면서 그쪽에서 빠져 나올 때 한 33~34m 정도였고 현재는 29m이니까 당연히 이동하면서 약해지는 거죠. 원래 그 정도까지 머문다면 더 급속히 약해질 수 있었는데 그래도 다행히 그쪽 바다가 한 100m 정도까지 해양 열 함량이 높은 데예요.

그러다 보니까 대개 이런 태풍 정도는 150m까지 융성시키거든요. 그러니까 조금 약해지기는 했다고 하더라도 저희들이 예상했던 것보다는 더 약해지지는 않았어요. 그러니까 일단 빠져나올 때까지 강한 태풍이었고 현재는 중 정도의 태풍이 된 거죠.

[앵커]
상보다 태풍의 강도가 약해지지 않았고 현재는 중형급 정도의 태풍이라고 하던데 시청자 여러분들이 이해하기 쉽게 그 강도가 어느 정도 되는 겁니까?

[반기성]
실제로 중심 최대 풍속이 지금 현재는 29m 중 정도인데. 33m 사이가 중입니다. 33m 이상 올라가면 우리가 강한 태풍이라고 얘기하는데. 보통 우리가 초속 15m 평균 풍속입니다. 15m가 넘어서면 간판이 다 떨어져 나갑니다.

날아다니고 막 그러죠. 그리고 25m 정도가 되면 기와지붕 같은 건 다 날아가고요. 거기서 30m, 지금 현재 순간 최대풍속은 제주도 같은 경우에는 30m 이상 불었는데 그럴 경우에는 좀 강할 경우는 제주도는 나무도 막 쓰러지지 않았습니까?

나무도 쓰러지고 또 철도도 이탈할 수 있고 이런 정도입니다. 그러니까 실제로 상당히 강한 바람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앵커]
지금 상당한 강한 바람이 특히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불고 있다 이런 말씀이신데. 구체적으로 그렇다면 이 피해를 막기 위해서 어떤 조치들이 필요하겠습니까?

[반기성]
일단 이미 태풍이 현재 들어왔기 때문에 각 지자체나 이런 데서는 어느 정도 대비는 했을 거라고 판단합니다. 다만 이런 큰 시설물이라든가 공장, 기업이라든가 항구라든가 이런 곳들은 어느 정도 대비가 되는데 각 가정들이 문제가 될 수 있겠죠.

이렇게 바람이 강할 때 특히 대도시, 지금 말하면 창원이라든가 마산이라든가 부산 쪽으로 옮겨가면 고층빌딩 같은 경우에는 빌딩풍이 붑니다.

특히 해안가 이런 해운대 같은 데는. 그렇게 되면 거의 평균 풍속이 두 배 이상 강해지면 풍속이 강해진다는 건 풍압이 강해지기 때문에 유리창이 다 부서질 가능성이 높거든요.

그러니까 지금이라도 창틀을 완전히 고정을 시키는 게 굉장히 좋고요. 두 번째는 굉장히 태풍으로 인한 피해 중에 제일 큰 게 비산물입니다. 날아다니는 물체에 맞아서 다치는 경우거든요.

외국 태풍 통계를 보면 제일 큰데. 그래서 태풍이 가까이 올 때는 절대로 집이 날아갔다고 나오시지 마시고 외출을 자제하시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앵커]
특히 요즘 또 아파트에 많이 거주를 하시기 때문에 아파트 베란다 창문 같은 게 자꾸 흔들흔들하다 보니까 깨질 수가 있어서 위험하잖아요.

그러니까 그 부분을 빈 우유상자 같은 걸 창틀에 넣어서 움직이지 않도록 반드시 고정할 필요가 있다는 말씀이셨던 것 같고 이렇게 또 바람과 더불어서 비가 걱정이잖아요. 폭우 침수, 폭우로 인한 침수피해는 어떻게 막아야겠습니까?

[반기성] 일단 지금 같은 경우에는 시간당 남해안 같은 경우는 지금 경남 남해안 쪽으로는 시간당 30mm 정도 내릴 수 있는 구름대가 들어가고 있는데. 시간당 30mm라고 한다면 이게 상당한 양입니다.

이렇게 해서 태풍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시간이 예를 들어서 4~5시간이라고 한다면 거의 120mm 정도 이상이라고 볼 수 있는데 이 정도면 거의 서울 같은 데도 물이 안 빠집니다, 절대로. 다 침수가 된다는 얘기죠.

따라서 이런 저층에 사는 주민들께서는 예를 들어서 물이 들어오지 않도록 물막이 같은 걸 해 두시는 게 굉장히 좋은데 하여튼 산사태 가능성도 있고 특히 축대나 옹벽 같은 게 붕괴될 가능성도 있고요.

또 해안 저지대 같은 경우에는 해일 가능성도 있거든요. 그렇기 때문에 저지대 사시는 주민들은 저는 미리 대피하라고 말씀을 드리는데 미리 대피하시는 게 가장 좋다고 봅니다.

[앵커]
지금 해안 저지대를 말씀하셔서 제가 추가로 질문을 드리면 이게 태풍의 진로가 남해안 쪽인 거잖아요. 바닷가 지역이라서. 일단 바람이 많이 불고 비도 내리는 데다가 조수간만의 차에 따른 해일 가능성, 물이 넘칠 가능성도 있거든요. 지금 태풍 진로와 예상 시간과 조속 차이, 이 시간대가 어떻게 되나요?

[반기성]
지금부터는 부산 남쪽으로 진행해나가고 있거든요. 그렇게 되면 태풍에서 불어들어가는 바람이 거의 부산이나 남해안을 때리게 됩니다, 현재. 그렇게 되면 현재 태풍이 저기압이기 때문에 굉장히 바닷물을 융기를 시키는 힘이 있습니다.

들어올리는 데다가 태풍 자체의 바람이 강하기 때문에 파도가 높아지고 여기어 만조시간이 대개 부산 같은 경우에는 오후 6시 전후입니다. 이 시간하고 맞물리면 해안 저지대는 침수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따라서 해안 저지대에 사시는 주민들은 예를 들어서 오후부터 오늘 밤까지는 미리 대피하시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앵커]
앞서 저희가 태풍의 가장 고비, 첫 번째 그래픽이 있었는데 그 그래픽을 다시 한 번 보여주시겠습니까. 일단 부산 지역 같은 경우 오후 4시가 가장 위험한 시기라고 말씀하셨는데 또 만조시각이 오후 6시 전후라고 말씀하셨습니다. 그럴 경우에 물이 많이 찬 시간이 태풍이 가장 근접할 시간이다, 이렇게 봐야 되는 겁니까?

[반기성]
그렇죠. 만조 시간이 예를 들어서 오후 6시라면 그때부터 물이 증가하는 시간입니다. 육지 쪽으로 들어오는 시간하고 겹치기 때문에 만조 시간이 오후 6시라 하더라도 일단 부산 남쪽으로 3시부터 3시간 사이인데 그게 더 동쪽으로 빠져나가면서 휘어지는 바람이 들어옵니다. 그렇기 때문에 해일 피해는 가능성이 있다고 봐야 되죠.

[앵커]
지금 오후 4시, 오후 6시까지는 시간이 남아 있기 때문에 부산이나 경남 남해안 지역에 거주하시는 분들은 또 센터장님 말씀하시는 것처럼 저지대 해안 침수에 각별하게 주의가 필요해 보입니다. 마지막으로 이 질문을 또 드리고 싶어요. 일반적으로 태풍이 가을에 많이 오는 건가요, 어떻습니까?

[반기성]
최근에 지구 온난화로 인해서 가을태풍이 늘어나고 있죠. 예전에 저희들이 예보관 생활을 할 때는 태풍이 7월어 가장 많이 발생했고요.

그다음에 8월 그런 순서였는데. 지금은 발생 숫자는 9월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제가 알고 있는데. 발생도 그렇지만 물론 영향을 주는 것은 8월에 비해서 적긴 하지만 앞으로 9월, 10월로 갈수록 해수 온도가 계속 높아지기 때문에 기간은 점점 늘어날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래서 앞으로는 가을 태풍은 계속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고 봅니다.

[앵커]
그렇다면 가을 태풍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고 했는데 지금 벌써 10월이 다가오고 있지 않습니까? 10월까지도 태풍이 추가적으로 올 가능성 있다는 겁니까? 현재는 9월이지만.

[반기성]
9월 현재까지 모델을 본다면 열흘 후인데 아직 모델에서 태풍이 잡히는 건 없습니다. 그러니까 9월 말까지는 현재로 봐서는 태풍이 발생할 것 같아 보이지는 않는데 문제는 저희들이 태풍이 올 때 상층의 북태평양고기압세력이 어디까지 있는지를 봅니다.

그런데 문제는 뭐냐 하면 태풍이 빠져나가도 북쪽의 찬공기가 내려오지 못한다는 거거든요. 그리고 다음 번 20일, 22일 사이에 또다시 기압골을 통과하고 나더라도 북태평양고기압이 그대로 버티고 있어요.

그렇다면 만일 9월 말이나 10월 초에 태풍이 만들어진다면 우리나라 쪽으로 올라올 가능성이 높습니다. 물론 올해가 평년에 비해서 태풍 발생 수는 적어요, 올해가. 그렇다고 하더라도 만일 발생한다면 우리나라로 올 가능성은 있다고는 봅니다.

[앵커]
지금 현재는 9월 중순인데 9월 말, 10월 초까지 태풍이 발생할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다는 이런 말씀이신 것 같습니다. 지금 이 시각 태풍 찬투가 남해안 지역으로 북동진하고 있습니다. 추가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가 필요해 보입니다. 지금까지 반기성 케이웨더 예보센터장과 함께 태풍 전망 들어봤습니다.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반기성]
고맙습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