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 진행 : 이종원 앵커
■ 출연 : 정혜윤 / 기상팀 기자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앵커]
정혜윤 기자와 함께 태풍 현재 상황과 함께 전망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안녕하십니까? 일단은 현재 위치가 가장 궁금해요. 태풍이 어디쯤 와 있는 건가요?
[기자]
일단 태풍 링링이 제주도를 지나 서해로 진입을 했고요. 목포 서쪽 해상에 가까이 접근하고 있는 것으로 예상이 되고 있습니다. 현재 여전히 중형급의 강한 세력을 유지하고 있는 상황이고 강풍 반경이 현재 380km 정도이기 때문에 서울에서 부산 정도의 거리에 해당한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그러니까 이미 한반도 전체가 태풍 직접 영향권에 들었다라고 볼 수 있는 수준이고요. 그리고 중심 부근에는 현재 초속 40m 정도의 바람이 동반이 되고 있기 때문에 달리는 열차가 전복될 수 있는 그런 강력한 바람이 동반되고 있는 겁니다.
[앵커]
자동차도 위험하겠군요.
[기자]
맞습니다. 그리고 진로도를 보고 계신데요. 황해도에 상륙을 하게 되는 오늘 오후쯤에는 여전히 중형급의 강한 태풍의 위력도 유지를 할 것으로 현재 예상이 되고 있습니다. 결국 태풍 링링의 경우는 올해 우리나라에 영향을 준 태풍 발원에서 가장 강력한 태풍으로 기록될 가능성이 점점 더 커지고 있습니다.
[앵커]
제가 오늘 새벽에 출근할 때만 해도 크게 느끼지 못했었는데 조금 전에 밖에 나가보니까 바람이 꽤 심하게 불더라고요.
[기자]
맞습니다.
[앵커]
서울에도 지금 특보가 내려져 있는 건가요?
[기자]
서울 등 전국 대부분 지역으로 오늘 말씀하신 대로 7시부터 발효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고요. 이미 그 이전에 태풍특보는 발표가 됐습니다. 전국 대부분 지방으로 태풍 영향권에 들기 때문인데 지금 특보 상황이 나가고 있습니다. 태풍특보가 서해와 남해는 물론 전국 대부분 지역으로 확대 발령된 상태고요. 특히 태풍의 오른쪽, 그러니까 위험반원에 드는 수도권하고 충청 지역 그리고 호남 지역을 중심으로는 태풍경보가 발효 중에 있습니다. 태풍이 북상하면서 제주도와 전남 남해안에는 이미 많은 호우에 그리고 기록적인 돌풍이 몰아친 상황인데요. 밤사이 좀 상황을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전남 신안 가거도에서 지금 초속 52.5m의 돌풍이 기록이 됐고요. 제주 산간 지역을 중심으로는 지금 오른쪽으로 보이는데 320mm 그러니까 300mm가 넘는 폭우가 쏟아졌습니다. 이미 많은 비가 내렸고 그리고 돌풍도 기록이 됐죠.
[앵커]
아무래도 이번에 태풍 예보가 계속 발표가 되면서 비도 문제지만 강풍이 우려된다, 이런 예보가 많았는데 과거 태풍하고 비교할 수 있을까요?
[기자]
지금 서해로 진입한 태풍이잖아요. 진로를 봤을 때 과거 태풍 2010년도에 태풍 곤파스 그리고 2000년도의 태풍 쁘라삐룬과 진로가 비슷합니다. 가장 유사하다고 볼 수 있는데 이렇게 서해를 따라 이동하는 태풍의 대부분은 비보다는 바람 피해가 더 컸습니다. 특히 이번 태풍 링링의 경우는 곤파스와 쁘라삐룬보다도 지금 보시면 빨간색으로 표시가 되어 있는데요. 서해안에서 근접해서 움직이는 데다가 세력이 더 강할 것으로 예상이 되고 있습니다. 쁘라삐룬 때는 전남 흑산도에서 초속 58.3m의 폭풍이 관측이 됐고요. 또 곤파스 때는 전남 홍도 지역에서 초속 52.4m의 순간 돌풍이 기록이 됐습니다. 앞서 말씀드렸지만 달리는 기차가 탈선을 하고 또 큰 나무가 뿌리째 뽑힐 수 있는 그런 강풍의 위력을 지니고 있습니다. 그리고 9년 전의 태풍 곤파스의 경우는 6명의 사망자와 1670여억 원의 재산피해를 남겼습니다. 지금까지 태풍 링링의 경우 앞서 제가 말씀을 드렸는데요. 이미 초속 52.5m 정도의 강풍이 기록이 됐거든요. 역대 강풍 순위를 살펴봤을 때 지금 기록을 보고 계신데 1위가 초속 60m를 기록했던 태풍 매미였습니다. 다들 알고 계세요. 그리고 이번 링링의 경우는 현재 5위 정도의 강풍 기록에 해당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앵커]
그런데 지금 직접 영향권이 아닌 상황에서 나온 수치인데 그러면 수도권 지역도 직접 영향권에 들어가면 비바람 세기가 얼마나 더 커지는 건가요?
[기자]
일단 지금 가장 강할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은 서해안 지역입니다. 도서지역을 중심으로 초속 55m 이상의 폭풍이 불 것으로 현재 예상되고 있습니다. 이미 경기 서해안 쪽도 제가 들어오기 전에 살펴봤을 때는 초속 10m 이상, 20m 안팎까지 바람이 불고 있는 걸 확인했고요. 그리고 제주도와 남해안 서쪽 지역을 중심으로는 초속 40~50m의 돌풍이 불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 정도의 바람이면 제가 계속 말씀을 드리고 있지만 가로수가 뿌리째 뽑힐 수 있고 또 열차를 탈선시킬 수도 있는 강한 위력이기 때문에 계속해서 주의를 해야 된다라고 말씀드리고 있는 거고요. 그밖의 내륙으로도 초속 25m에서 35m 정도의 강풍이 예보가 됐습니다. 앞으로 비는 양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이 되는데 제주 산간에는 이미 많은 비가 내렸기 때문에 앞으로 내릴 강우량은 150mm 이상 정도가 될 걸로 예상되고 있고 내륙은 최고 60mm 정도로 비의 양이 그렇게 많지 않습니다. 다만 가을장마로 인해서 이미 많은 비가 내린 상황이기 때문에 앞으로 비에 강풍까지 더해진다면 집중호우 피해가 날 가능성이 있고요. 또 예보상으로 봤을 때 지금 우리나라가 가을 장마 기간이거든요. 이번 태풍이 지난 뒤에 또 가을 장마가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는 예보가 나와 있는 상황입니다. 이 때문에 산사태나 축대 붕괴 등 비 피해가 계속해서 발생할 가능성이 있어서 조금 더 주의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앵커]
태풍 곤파스 때 9년 전 그때 당시에도 저희가 취재하면서 가로수가 송두리째 뽑혀 있는 현장을 보고 기억에 남는데 아무튼 강풍이 분다고 하니까 시설물 피해가 우려되는데 어떤 점에 주의해야 할까요?
[기자]
이번 태풍은 비보다는 말씀하신 대로 강풍 피해가 우려되는 상황이기 때문에 안전 사고에 주의해 주셔야 될 것 같고 특히 해안가에서는 강한 바람이 불면서 높은파도가 방파제를 넘어오거나 저지대 침수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큽니다. 또 태풍이 접근할 경우에는 외출을 자제해 주시고 해안가에서는 안전한 지대로 대피를 하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또 순간적으로 돌풍이 불게 되면 아파트 창문이 좀 깨지는 경우가 많잖아요. 이럴 때 문과 유리 사이에 공간이 없도록 신문지나 젖은 천 등으로 막아주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앵커]
요즘 지은 아파트 같은 경우는 괜찮은데 오래된 곳들은 흔들리는 경우가 많더라고요.
[기자]
그렇습니다.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하는 게 중요하고 이후에 유리면에 격자 형태로 테이핑을 해 주거나 분무기로 물을 뿌린 뒤에 신문지나 큰 종이를 붙이게 되면 2차 피해를 막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강풍으로 인해서 간판이 떨어지거나 또 나무가 부러지고 작은 물건이 날아다닐 수 있기 때문에 어린이나 노약자의 경우는 오늘 하루 야외 활동을 자제해 주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앵커]
저희가 다행이라는 말씀을 드리는 건 좀 그렇고 일단 아까 소개해 드릴 때 빠른 속도로 북상 중이다 이렇게 표현해 드렸어요. 그러면 오늘 하루면 깨끗이 영향권에서 벗어나는 건가요.
[기자]
그렇지만 오늘 하루지만 밤까지 계속해서 영향권에 들 것으로 보이고 아까 말씀드렸지만 영향 반경이 워낙 큽니다. 그래서 오늘 오후에 황해도 부근에 상륙을 하지만 내일 새벽이 돼야지 북한 지역을 벗어나서 러시아 부근까지 이동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태풍이 상륙한 뒤 북한을 관통하는 시점이 오늘 밤이 될 것으로 예상이 되고 그리고 영향 반경이 워낙 크기 때문에 중부지방의 경우 그리고 그밖의 내륙지방까지도 내일 새벽까지는 강풍이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오늘 밤과 그리고 일요일 오전까지, 일요일 새벽까지는 태풍에 대한 대비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앵커]
알겠습니다. 시청자분들도 YTN를 통해서 기상 정보 꼼꼼하게 살피셔서 안전한 주말 대비하셔야겠습니다. 기상팀 정혜윤 기자였습니다. 고맙습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 출연 : 정혜윤 / 기상팀 기자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앵커]
정혜윤 기자와 함께 태풍 현재 상황과 함께 전망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안녕하십니까? 일단은 현재 위치가 가장 궁금해요. 태풍이 어디쯤 와 있는 건가요?
[기자]
일단 태풍 링링이 제주도를 지나 서해로 진입을 했고요. 목포 서쪽 해상에 가까이 접근하고 있는 것으로 예상이 되고 있습니다. 현재 여전히 중형급의 강한 세력을 유지하고 있는 상황이고 강풍 반경이 현재 380km 정도이기 때문에 서울에서 부산 정도의 거리에 해당한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그러니까 이미 한반도 전체가 태풍 직접 영향권에 들었다라고 볼 수 있는 수준이고요. 그리고 중심 부근에는 현재 초속 40m 정도의 바람이 동반이 되고 있기 때문에 달리는 열차가 전복될 수 있는 그런 강력한 바람이 동반되고 있는 겁니다.
[앵커]
자동차도 위험하겠군요.
[기자]
맞습니다. 그리고 진로도를 보고 계신데요. 황해도에 상륙을 하게 되는 오늘 오후쯤에는 여전히 중형급의 강한 태풍의 위력도 유지를 할 것으로 현재 예상이 되고 있습니다. 결국 태풍 링링의 경우는 올해 우리나라에 영향을 준 태풍 발원에서 가장 강력한 태풍으로 기록될 가능성이 점점 더 커지고 있습니다.
[앵커]
제가 오늘 새벽에 출근할 때만 해도 크게 느끼지 못했었는데 조금 전에 밖에 나가보니까 바람이 꽤 심하게 불더라고요.
[기자]
맞습니다.
[앵커]
서울에도 지금 특보가 내려져 있는 건가요?
[기자]
서울 등 전국 대부분 지역으로 오늘 말씀하신 대로 7시부터 발효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고요. 이미 그 이전에 태풍특보는 발표가 됐습니다. 전국 대부분 지방으로 태풍 영향권에 들기 때문인데 지금 특보 상황이 나가고 있습니다. 태풍특보가 서해와 남해는 물론 전국 대부분 지역으로 확대 발령된 상태고요. 특히 태풍의 오른쪽, 그러니까 위험반원에 드는 수도권하고 충청 지역 그리고 호남 지역을 중심으로는 태풍경보가 발효 중에 있습니다. 태풍이 북상하면서 제주도와 전남 남해안에는 이미 많은 호우에 그리고 기록적인 돌풍이 몰아친 상황인데요. 밤사이 좀 상황을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전남 신안 가거도에서 지금 초속 52.5m의 돌풍이 기록이 됐고요. 제주 산간 지역을 중심으로는 지금 오른쪽으로 보이는데 320mm 그러니까 300mm가 넘는 폭우가 쏟아졌습니다. 이미 많은 비가 내렸고 그리고 돌풍도 기록이 됐죠.
[앵커]
아무래도 이번에 태풍 예보가 계속 발표가 되면서 비도 문제지만 강풍이 우려된다, 이런 예보가 많았는데 과거 태풍하고 비교할 수 있을까요?
[기자]
지금 서해로 진입한 태풍이잖아요. 진로를 봤을 때 과거 태풍 2010년도에 태풍 곤파스 그리고 2000년도의 태풍 쁘라삐룬과 진로가 비슷합니다. 가장 유사하다고 볼 수 있는데 이렇게 서해를 따라 이동하는 태풍의 대부분은 비보다는 바람 피해가 더 컸습니다. 특히 이번 태풍 링링의 경우는 곤파스와 쁘라삐룬보다도 지금 보시면 빨간색으로 표시가 되어 있는데요. 서해안에서 근접해서 움직이는 데다가 세력이 더 강할 것으로 예상이 되고 있습니다. 쁘라삐룬 때는 전남 흑산도에서 초속 58.3m의 폭풍이 관측이 됐고요. 또 곤파스 때는 전남 홍도 지역에서 초속 52.4m의 순간 돌풍이 기록이 됐습니다. 앞서 말씀드렸지만 달리는 기차가 탈선을 하고 또 큰 나무가 뿌리째 뽑힐 수 있는 그런 강풍의 위력을 지니고 있습니다. 그리고 9년 전의 태풍 곤파스의 경우는 6명의 사망자와 1670여억 원의 재산피해를 남겼습니다. 지금까지 태풍 링링의 경우 앞서 제가 말씀을 드렸는데요. 이미 초속 52.5m 정도의 강풍이 기록이 됐거든요. 역대 강풍 순위를 살펴봤을 때 지금 기록을 보고 계신데 1위가 초속 60m를 기록했던 태풍 매미였습니다. 다들 알고 계세요. 그리고 이번 링링의 경우는 현재 5위 정도의 강풍 기록에 해당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앵커]
그런데 지금 직접 영향권이 아닌 상황에서 나온 수치인데 그러면 수도권 지역도 직접 영향권에 들어가면 비바람 세기가 얼마나 더 커지는 건가요?
[기자]
일단 지금 가장 강할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은 서해안 지역입니다. 도서지역을 중심으로 초속 55m 이상의 폭풍이 불 것으로 현재 예상되고 있습니다. 이미 경기 서해안 쪽도 제가 들어오기 전에 살펴봤을 때는 초속 10m 이상, 20m 안팎까지 바람이 불고 있는 걸 확인했고요. 그리고 제주도와 남해안 서쪽 지역을 중심으로는 초속 40~50m의 돌풍이 불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 정도의 바람이면 제가 계속 말씀을 드리고 있지만 가로수가 뿌리째 뽑힐 수 있고 또 열차를 탈선시킬 수도 있는 강한 위력이기 때문에 계속해서 주의를 해야 된다라고 말씀드리고 있는 거고요. 그밖의 내륙으로도 초속 25m에서 35m 정도의 강풍이 예보가 됐습니다. 앞으로 비는 양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이 되는데 제주 산간에는 이미 많은 비가 내렸기 때문에 앞으로 내릴 강우량은 150mm 이상 정도가 될 걸로 예상되고 있고 내륙은 최고 60mm 정도로 비의 양이 그렇게 많지 않습니다. 다만 가을장마로 인해서 이미 많은 비가 내린 상황이기 때문에 앞으로 비에 강풍까지 더해진다면 집중호우 피해가 날 가능성이 있고요. 또 예보상으로 봤을 때 지금 우리나라가 가을 장마 기간이거든요. 이번 태풍이 지난 뒤에 또 가을 장마가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는 예보가 나와 있는 상황입니다. 이 때문에 산사태나 축대 붕괴 등 비 피해가 계속해서 발생할 가능성이 있어서 조금 더 주의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앵커]
태풍 곤파스 때 9년 전 그때 당시에도 저희가 취재하면서 가로수가 송두리째 뽑혀 있는 현장을 보고 기억에 남는데 아무튼 강풍이 분다고 하니까 시설물 피해가 우려되는데 어떤 점에 주의해야 할까요?
[기자]
이번 태풍은 비보다는 말씀하신 대로 강풍 피해가 우려되는 상황이기 때문에 안전 사고에 주의해 주셔야 될 것 같고 특히 해안가에서는 강한 바람이 불면서 높은파도가 방파제를 넘어오거나 저지대 침수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큽니다. 또 태풍이 접근할 경우에는 외출을 자제해 주시고 해안가에서는 안전한 지대로 대피를 하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또 순간적으로 돌풍이 불게 되면 아파트 창문이 좀 깨지는 경우가 많잖아요. 이럴 때 문과 유리 사이에 공간이 없도록 신문지나 젖은 천 등으로 막아주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앵커]
요즘 지은 아파트 같은 경우는 괜찮은데 오래된 곳들은 흔들리는 경우가 많더라고요.
[기자]
그렇습니다.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하는 게 중요하고 이후에 유리면에 격자 형태로 테이핑을 해 주거나 분무기로 물을 뿌린 뒤에 신문지나 큰 종이를 붙이게 되면 2차 피해를 막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강풍으로 인해서 간판이 떨어지거나 또 나무가 부러지고 작은 물건이 날아다닐 수 있기 때문에 어린이나 노약자의 경우는 오늘 하루 야외 활동을 자제해 주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앵커]
저희가 다행이라는 말씀을 드리는 건 좀 그렇고 일단 아까 소개해 드릴 때 빠른 속도로 북상 중이다 이렇게 표현해 드렸어요. 그러면 오늘 하루면 깨끗이 영향권에서 벗어나는 건가요.
[기자]
그렇지만 오늘 하루지만 밤까지 계속해서 영향권에 들 것으로 보이고 아까 말씀드렸지만 영향 반경이 워낙 큽니다. 그래서 오늘 오후에 황해도 부근에 상륙을 하지만 내일 새벽이 돼야지 북한 지역을 벗어나서 러시아 부근까지 이동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태풍이 상륙한 뒤 북한을 관통하는 시점이 오늘 밤이 될 것으로 예상이 되고 그리고 영향 반경이 워낙 크기 때문에 중부지방의 경우 그리고 그밖의 내륙지방까지도 내일 새벽까지는 강풍이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오늘 밤과 그리고 일요일 오전까지, 일요일 새벽까지는 태풍에 대한 대비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앵커]
알겠습니다. 시청자분들도 YTN를 통해서 기상 정보 꼼꼼하게 살피셔서 안전한 주말 대비하셔야겠습니다. 기상팀 정혜윤 기자였습니다. 고맙습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