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칼' 올해 흥행 1위..."극장, 이유 있을 때 간다"

'귀칼' 올해 흥행 1위..."극장, 이유 있을 때 간다"

2025.11.22. 오후 9:25.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장기 흥행 중인 일본 애니 '귀멸의 칼날' 시리즈가 우리 영화 '좀비딸'을 제치고 올해 박스오피스 1위에 올랐습니다.

일본 애니메이션이 연간 관객 수 1위를 기록한 건 이번이 처음인데요.

이 같은 흐름이 우리 극장가에 던지는 메시지는 뭔지, 김승환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기자]
천만 영화가 사라진 극장가에서 유독 존재감을 보인 건 일본 애니메이션입니다.

'귀멸의 칼날 : 무한성편'과 '체인소 맨 : 레제편' 두 편이나 올해 흥행 영화 TOP10에 들었습니다.

두 편 모두 소년만화와 TV 시리즈로 만들어진 탄탄한 팬덤이 존재합니다.

팬들 기대를 만족하게 한 화려한 액션 장면 등이 화제가 되면서 큰 스크린에서 여러 차례 감상하는 'N차 관람'이 이어졌습니다.

[최민경 / 인천 연수동 : (한국의 경우) 아직은 일본 애니메이션만큼의 맛을 못 따라 것 같아요. 일본 애니메이션만의 재미가 있는 것 같아서 충분히 볼 가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예전엔 남는 시간에 극장을 찾는 분들이 많았죠.

그런데 이제 관객들은 목적을 정하고 극장에 옵니다.

가장 큰 이유는 대형 스크린과 음향, 그리고 큰 화면으로 볼 만한 작품이 있을 때입니다.

이 변화는 특정 세대에 한정되지 않습니다.

전 세대에서 같은 경향이 확인됩니다.

물론 관객이 블록버스터급 작품만을 쫓는 건 아닙니다.

올해 할리우드 대작들은 과거만큼 힘을 쓰지 못했습니다.

시리즈 후속이 줄줄이 나왔지만, 기대와 다른 캐릭터와 익숙한 전개로 관객 수는 점차 떨어지고 있습니다.

반면 브래드 피트의 레이싱 영화 'F1 더 무비'는 입소문을 타고 4개월 넘는 상영 끝에 500만을 넘겼습니다.

관객들은 내 시간을 투자할 가치가 있다고 판단한 작품에만 지갑을 여는 셈입니다.

팬데믹 이전 관객 수를 여전히 회복 못 한 우리 영화계 고민이 깊을 수밖에 없습니다.

각자의 취향은 다양해졌고, 스타 캐스팅과 대형 예산만으로는 흥행이 담보되지 않는 시대입니다.

[강준교 / 경기 부천시 : (일본 영화 '8번 출구') 게임으로 접해본 적이 있었는데, 그때 너무 재밌어 보여서 영화로 나오면 참을 수 없겠다 싶어서 보러 왔습니다.]

[공성주 / 서울 화양동 : '리틀 포레스트'처럼 힐링 할 수 있고 쉬었다 갈 수 있는 느낌의 영화가 많이 나왔으면 좋겠다고 생각합니다.]

영화계에선 선명한 타깃과 높은 완성도로 흥행 타율을 높이려 고민하고 있습니다.

[이영주 / CJ ENM 영화 사업전략팀장 : 이 영화에 맞는 메인 타깃이 정말 있는가…. 그렇다면 명확한 메인 타깃을 기반으로 작품적 완성도는 제작 과정에서 가장 끌어올려야 되는 건 당연히…]

창작자에게 메시지는 분명합니다.

성공 공식을 반복하기보다 새로운 서사를 내놔야 한다는 겁니다.

[김성수 / 영화감독 : (관객들이 기존 화법에) 흥미를 느끼지 않기 때문에 떠나가는 거잖아요. 그 사람들을 붙잡을 수 있는 방법은, 그 사람들이 아직 경험하지 못한 방식의 화법, 이야기…

관객의 기준은 바뀌었습니다.

이제 한국영화는 '왜 지금', '왜 극장인가'를 작품으로 설명해야 할 시점입니다.

YTN 김승환입니다.


영상기자 진형욱
디자인 윤다솔
영상제공 미쟝센단편영화제


YTN 김승환 (ksh@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