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최근 '1세대 아이돌' 귀환의 시작을 알린 그룹, 23년 만에 콘서트를 연 베이비복스입니다.
그룹의 든든한 막내이자 어느덧 배우란 이름으로 더 오랜 기간 대중과 만나온 윤은혜 씨는, 작더라도 함께일 때 느끼는 행복들이 동력이라고 하는데요.
송재인 기자가 만나고 왔습니다.
[기자]
마지막 무대를 펼쳤던 바로 그곳에서, 최근 23년 만에 다시 한 번 팬들과 만난 그룹 베이비복스.
콘서트의 계기는 지난해 연말 시상식에서 선보인 '1세대 아이돌' 특별 무대였는데, 막내 윤은혜 씨에겐 특히 의미가 남달랐습니다.
[윤은혜 / 배우 : 저는 가수 때 한 번도 칭찬을 들은 적이 없거든요. 7년 동안 거의 6년, 7년 동안 한 번도 칭찬을 진짜 들은 적이 없어요. 그래서 저는 제가 늘 부족하고 혼날 수밖에 없지, 약간 이런 입장이었어요. (그런데 최근엔) '저렇게 사랑해 주시는 모습이 있는데 내가 굳이 (그때를) 싫어할 필요가 있나'라는 생각의 전환이 조금 생긴 것 같아요. '내가 나의 옛날 모습도 좀 사랑해볼까?' 이런 생각도 좀 들었고….]
16살, 돌이켜보면 너무 어린 나이에 뛰어든 가요계.
수많은 히트곡이 국경을 넘어 인기를 누리면서 처음으로 '한류' 바람을 일으켰고, 그 길은 오늘날 K팝 열풍의 토대가 됐습니다.
[윤은혜 / 배우 : 눈 뜨면 일본이야, 눈 뜨면 중국이야, 어디야 태국이야, 미국이야 이러면서 진짜 활동을 했는데 얼마 전에 언니들이 그런 표현을 썼거든요? 근데 그게 맞는 것 같아요. 저희는 땅만 팠거든요. (그 땅 위에) 후배님들이 너무 예쁘게 너무 튼튼하게 기둥을 세우고 예쁘게 인테리어를 하고 그걸 잘 유지해 주고 있기 때문에….]
어린 날 인기는 예능을 거쳐 연기 영역으로 곧장 이어졌습니다.
30% 가까운 시청률을 기록한 드라마 [궁]으로 배우로서 화려한 데뷔를 한 그때 나이 불과 22살,
그 숫자의 의미를 알게 된 건, 그래서 민망하지만, 다시 즐겁게 그때를 보게 된 건 사실 아주 최근의 일입니다.
[윤은혜 / 배우 : 한 번도 연기 지도를 받아본 적이 없는 상태에서 시작했기 때문에 그냥 그게 다 너무, 약간 이런 표현이 그렇지만 좀 미치겠는 거예요. '쟤 왜 저러고 있어?' 이런…. (그러다가) 용기를 내서 좀 꺼내봤어요. 근데 그러다 보니까 왜 많은 분들이 사랑해 주셨는지 조금은 체감이 되더라고요.]
팬들이 여름마다 꺼내보는 [커피프린스 1호점]은 스스로에게도 오랜 연기 스승 같은 작품입니다.
[윤은혜 / 배우 : 20년이 지나고 나서 체감하는 느낌은 더 무거워진 것 같아요. 난 그걸(최우수연기상을) 어떻게 그렇게 가볍게 받았지? 나는 그때 연기를 다시 하라고 해도 못할 것 같아요. 이런 표현이 맞는지 모르겠지만 (그때의 나에게) 배우는 느낌?]
그렇게 오로지 연기로만 보낸 20대의 시간, 하지만 너무 일찍 맞은 영광의 순간들은 때때로 스스로 더 다그치게 하는 족쇄가 되기도 했습니다.
[윤은혜 / 배우 : 좀 뛰고 놀고 넘어져도 보고 이것도 해보고 저것도 해보고, 그러고서 좋은 어떠한 결과물이 있었다면 좀 더 제가 재미있는 배우 생활을 했을 것 같은데, 한동안 거의 10년은 부담스러운 자리에 있었던 것 같아요. 다시 내려오는 어떠한 것들에 대한 글을 마주하거나 평가를 마주했을 때 이게 제가 용납이 안 되더라고요. 지금은 제가 그 전 단계에서는 최선을 다하고, 그 결과에 있어서는 조금은 내려놓자….]
이렇게 말하면서도 연출 공부로, 유튜브 활동으로 자신만의 세계를 넓히는 데 또 한 번 최선을 다하고 있는 배우 윤은혜.
달라진 거라면 혼자만의 힘으로 일궈내야 한다고 생각해온 그 길에서 사람들과 함께 웃고 있단 점입니다.
[윤은혜 / 배우 : 그전에는 저는 혼자 해야 된다는 생각 때문에 저도 못 믿고 스스로도 못 믿고, 그냥 그 주어진 거에 최선을 다하는 것밖에 못 했거든요. 근데 지금은 '혼자 할 수 있는 건 아무것도 없구나'를 좀 많이 느낀 것 같아요. 막 수다 떠는 게 힘이 될 때가 있고요. 팬분들 글 하나 이렇게 읽으면서 또 행복할 때도 있고요. 이런 작은 작은 것들이 결국에 저를 만들어가는구나,란 생각이 들어요.]
YTN 송재인입니다.
영상기자; 곽영주 이현오
화면제공; 윤은혜 SNS
YTN 송재인 (songji10@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최근 '1세대 아이돌' 귀환의 시작을 알린 그룹, 23년 만에 콘서트를 연 베이비복스입니다.
그룹의 든든한 막내이자 어느덧 배우란 이름으로 더 오랜 기간 대중과 만나온 윤은혜 씨는, 작더라도 함께일 때 느끼는 행복들이 동력이라고 하는데요.
송재인 기자가 만나고 왔습니다.
[기자]
마지막 무대를 펼쳤던 바로 그곳에서, 최근 23년 만에 다시 한 번 팬들과 만난 그룹 베이비복스.
콘서트의 계기는 지난해 연말 시상식에서 선보인 '1세대 아이돌' 특별 무대였는데, 막내 윤은혜 씨에겐 특히 의미가 남달랐습니다.
[윤은혜 / 배우 : 저는 가수 때 한 번도 칭찬을 들은 적이 없거든요. 7년 동안 거의 6년, 7년 동안 한 번도 칭찬을 진짜 들은 적이 없어요. 그래서 저는 제가 늘 부족하고 혼날 수밖에 없지, 약간 이런 입장이었어요. (그런데 최근엔) '저렇게 사랑해 주시는 모습이 있는데 내가 굳이 (그때를) 싫어할 필요가 있나'라는 생각의 전환이 조금 생긴 것 같아요. '내가 나의 옛날 모습도 좀 사랑해볼까?' 이런 생각도 좀 들었고….]
16살, 돌이켜보면 너무 어린 나이에 뛰어든 가요계.
수많은 히트곡이 국경을 넘어 인기를 누리면서 처음으로 '한류' 바람을 일으켰고, 그 길은 오늘날 K팝 열풍의 토대가 됐습니다.
[윤은혜 / 배우 : 눈 뜨면 일본이야, 눈 뜨면 중국이야, 어디야 태국이야, 미국이야 이러면서 진짜 활동을 했는데 얼마 전에 언니들이 그런 표현을 썼거든요? 근데 그게 맞는 것 같아요. 저희는 땅만 팠거든요. (그 땅 위에) 후배님들이 너무 예쁘게 너무 튼튼하게 기둥을 세우고 예쁘게 인테리어를 하고 그걸 잘 유지해 주고 있기 때문에….]
어린 날 인기는 예능을 거쳐 연기 영역으로 곧장 이어졌습니다.
30% 가까운 시청률을 기록한 드라마 [궁]으로 배우로서 화려한 데뷔를 한 그때 나이 불과 22살,
그 숫자의 의미를 알게 된 건, 그래서 민망하지만, 다시 즐겁게 그때를 보게 된 건 사실 아주 최근의 일입니다.
[윤은혜 / 배우 : 한 번도 연기 지도를 받아본 적이 없는 상태에서 시작했기 때문에 그냥 그게 다 너무, 약간 이런 표현이 그렇지만 좀 미치겠는 거예요. '쟤 왜 저러고 있어?' 이런…. (그러다가) 용기를 내서 좀 꺼내봤어요. 근데 그러다 보니까 왜 많은 분들이 사랑해 주셨는지 조금은 체감이 되더라고요.]
팬들이 여름마다 꺼내보는 [커피프린스 1호점]은 스스로에게도 오랜 연기 스승 같은 작품입니다.
[윤은혜 / 배우 : 20년이 지나고 나서 체감하는 느낌은 더 무거워진 것 같아요. 난 그걸(최우수연기상을) 어떻게 그렇게 가볍게 받았지? 나는 그때 연기를 다시 하라고 해도 못할 것 같아요. 이런 표현이 맞는지 모르겠지만 (그때의 나에게) 배우는 느낌?]
그렇게 오로지 연기로만 보낸 20대의 시간, 하지만 너무 일찍 맞은 영광의 순간들은 때때로 스스로 더 다그치게 하는 족쇄가 되기도 했습니다.
[윤은혜 / 배우 : 좀 뛰고 놀고 넘어져도 보고 이것도 해보고 저것도 해보고, 그러고서 좋은 어떠한 결과물이 있었다면 좀 더 제가 재미있는 배우 생활을 했을 것 같은데, 한동안 거의 10년은 부담스러운 자리에 있었던 것 같아요. 다시 내려오는 어떠한 것들에 대한 글을 마주하거나 평가를 마주했을 때 이게 제가 용납이 안 되더라고요. 지금은 제가 그 전 단계에서는 최선을 다하고, 그 결과에 있어서는 조금은 내려놓자….]
이렇게 말하면서도 연출 공부로, 유튜브 활동으로 자신만의 세계를 넓히는 데 또 한 번 최선을 다하고 있는 배우 윤은혜.
달라진 거라면 혼자만의 힘으로 일궈내야 한다고 생각해온 그 길에서 사람들과 함께 웃고 있단 점입니다.
[윤은혜 / 배우 : 그전에는 저는 혼자 해야 된다는 생각 때문에 저도 못 믿고 스스로도 못 믿고, 그냥 그 주어진 거에 최선을 다하는 것밖에 못 했거든요. 근데 지금은 '혼자 할 수 있는 건 아무것도 없구나'를 좀 많이 느낀 것 같아요. 막 수다 떠는 게 힘이 될 때가 있고요. 팬분들 글 하나 이렇게 읽으면서 또 행복할 때도 있고요. 이런 작은 작은 것들이 결국에 저를 만들어가는구나,란 생각이 들어요.]
YTN 송재인입니다.
영상기자; 곽영주 이현오
화면제공; 윤은혜 SNS
YTN 송재인 (songji10@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