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아무리 낯선 배역도, 마치 원래 어딘가 존재하던 인물처럼 자연스럽게 표현해내는 배우 배두나 씨가 이번엔 '사랑을 말하는 재난 영화'로 돌아왔습니다.
장르는 물론, 국경의 경계를 넘나들며 지금 같은 연기 세계를 구축할 수 있던 건 좋은 스승들을 만났기 때문이라며 영화계에 사랑을 전했는데요.
송재인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꿈도, 일도, 마음도 뭐 하나 쉽지 않은 삶에 냉소로 일관하던 그녀.
하루아침에 온 세상이 사랑과 온기로 충만하게 느껴집니다.
코로나19로 개봉이 미뤄졌던 '사랑 바이러스' 영화가 6년 만에 드디어 관객들과 만났습니다.
[배두나 / 배우 : 사랑에 빠지는 바이러스의 치사율이 저한테만 적용이 안 돼서, 다른 감염자들을 구원할 수 있는 되게 특별한 존재거든요, 택선이. 그래서 (실제 코로나19 때도) 저런 존재가 있었으면 얼마나 좋았을까, 이런 생각이….]
최근 잇따라 '장르물'에 출연한 뒤 꽤 오랜만에 일상적 인물로 돌아온 배두나, 그때 그 시절의 풋풋한 기분마저 들었습니다.
[배두나 / 배우 : 젊은 세대는 잘 모를 저의 초창기가 있습니다. 초창기 때 저의 풋풋했던 모습을, 다시금 불러와서 그 초창기 때 배두나가 다시 연기하는 듯한 느낌이 들었던 작품이에요 [바이러스]는….]
돌이켜보면 배우 배두나의 시작은 마치 옆집에 사는 것 같은, 그러나 스쳐 지나가기엔 유독 눈에 띄는 일상적인 캐릭터들이었습니다.
그중에서도 봉준호 감독의 첫 장편 [플란다스의 개]는 진지한 배우의 꿈을 심어줬고, 세계로 걸어나갈 문도 동시에 열어줬습니다.
[배두나 / 배우 : 미국 영화도 하고 일본 영화도 하고 프랑스 영화도 하고 종횡무진하면서 여기저기서 일하는지 많이 물어보시는데 전 사실 제가 문을 두드려본 적은 없어요. 제 영화들이 저를 데리고 가는 거거든요? 그게 아직도 안 끝났을지도 모르겠다는 생각도 들어요. 그 한 작품만은 아니겠지만, 그 작품이 내 안의 문도 열었지만 나를 어디로 데리고 가는 문들도 계속 열어요.]
그렇게 일본, 할리우드, 프랑스 등 국경의 경계는 물론, 판타지와 SF 등 다양한 장르를 넘나든 배두나.
독보적인 연기세계의 중심엔 언제나 '마음'이 있었습니다.
[배두나 / 배우 : 공통점은 마음을 갖고 있다. 로봇 같은 연기가 아니라 마음을 갖고 있는 인형이라든가…. 마음이 있는 비현실적인 캐릭터를 현실에 발을 붙이는 캐릭터로 만드는 작업, 그것이 제가 되게 많이 해왔던 작업인 거 같고요.]
그 마음들은 운 좋게 초창기부터 만났던 좋은 감독들과 함께 빚어낸 거라며 수줍게 웃었지만,
[배두나 / 배우 : (거쳐온 감독들이) 진짜 한 명 한 명 주옥같아요. 정말 저렇게 아무것도 모르는 백지 같은 사람을 사람들이 다 물 들여서 예쁜 물을 예쁜 색칠을 해서 어떤 한 배우로 키워내는 거잖아요? 온 영화계가 같이 키우는 거예요, 배우를. 너무 감동적이네요~]
기회 앞에 주저하지 않는 배두나기에 가능했던 일이란 걸 영화계도 알고 있습니다.
[배두나 / 배우 : 한 번 사는 세상인데 조금 미련이 남을 거 같다, 이걸 안 해본 것에 대해서는 그럴 때는 그냥 과감하게 하는 거예요. (실패가 두렵기도 하세요?) 실패요? 실패는 당연히 하는 거라고 전 생각해요.]
이제는 너무 다양한 색으로 물들어 단 하나의 수식어로는 설명하기 어려운 배두나, 스스로 달고 싶은 수식어는 그래서 더 간결합니다.
[배두나 / 배우 : 전 직업이 배우라 어떻게 불려도 상관없고 그냥 '배우 배두나'라는 게 되게 중요한데 그거 외에는 욕심부리고 싶은 거 별로 없는 거 같고요. 배우 배두나가 제일 좋은 것 같은데…. 그중에서 조금 듣기 좋은 수식어가 있다면, '믿고 보는' 정도….]
YTN 송재인입니다.
영상기자 : 곽영주 이수연
화면제공 : 홍보사 '흥미진진', 넷플릭스
YTN 송재인 (sunny@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아무리 낯선 배역도, 마치 원래 어딘가 존재하던 인물처럼 자연스럽게 표현해내는 배우 배두나 씨가 이번엔 '사랑을 말하는 재난 영화'로 돌아왔습니다.
장르는 물론, 국경의 경계를 넘나들며 지금 같은 연기 세계를 구축할 수 있던 건 좋은 스승들을 만났기 때문이라며 영화계에 사랑을 전했는데요.
송재인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꿈도, 일도, 마음도 뭐 하나 쉽지 않은 삶에 냉소로 일관하던 그녀.
하루아침에 온 세상이 사랑과 온기로 충만하게 느껴집니다.
코로나19로 개봉이 미뤄졌던 '사랑 바이러스' 영화가 6년 만에 드디어 관객들과 만났습니다.
[배두나 / 배우 : 사랑에 빠지는 바이러스의 치사율이 저한테만 적용이 안 돼서, 다른 감염자들을 구원할 수 있는 되게 특별한 존재거든요, 택선이. 그래서 (실제 코로나19 때도) 저런 존재가 있었으면 얼마나 좋았을까, 이런 생각이….]
최근 잇따라 '장르물'에 출연한 뒤 꽤 오랜만에 일상적 인물로 돌아온 배두나, 그때 그 시절의 풋풋한 기분마저 들었습니다.
[배두나 / 배우 : 젊은 세대는 잘 모를 저의 초창기가 있습니다. 초창기 때 저의 풋풋했던 모습을, 다시금 불러와서 그 초창기 때 배두나가 다시 연기하는 듯한 느낌이 들었던 작품이에요 [바이러스]는….]
돌이켜보면 배우 배두나의 시작은 마치 옆집에 사는 것 같은, 그러나 스쳐 지나가기엔 유독 눈에 띄는 일상적인 캐릭터들이었습니다.
그중에서도 봉준호 감독의 첫 장편 [플란다스의 개]는 진지한 배우의 꿈을 심어줬고, 세계로 걸어나갈 문도 동시에 열어줬습니다.
[배두나 / 배우 : 미국 영화도 하고 일본 영화도 하고 프랑스 영화도 하고 종횡무진하면서 여기저기서 일하는지 많이 물어보시는데 전 사실 제가 문을 두드려본 적은 없어요. 제 영화들이 저를 데리고 가는 거거든요? 그게 아직도 안 끝났을지도 모르겠다는 생각도 들어요. 그 한 작품만은 아니겠지만, 그 작품이 내 안의 문도 열었지만 나를 어디로 데리고 가는 문들도 계속 열어요.]
그렇게 일본, 할리우드, 프랑스 등 국경의 경계는 물론, 판타지와 SF 등 다양한 장르를 넘나든 배두나.
독보적인 연기세계의 중심엔 언제나 '마음'이 있었습니다.
[배두나 / 배우 : 공통점은 마음을 갖고 있다. 로봇 같은 연기가 아니라 마음을 갖고 있는 인형이라든가…. 마음이 있는 비현실적인 캐릭터를 현실에 발을 붙이는 캐릭터로 만드는 작업, 그것이 제가 되게 많이 해왔던 작업인 거 같고요.]
그 마음들은 운 좋게 초창기부터 만났던 좋은 감독들과 함께 빚어낸 거라며 수줍게 웃었지만,
[배두나 / 배우 : (거쳐온 감독들이) 진짜 한 명 한 명 주옥같아요. 정말 저렇게 아무것도 모르는 백지 같은 사람을 사람들이 다 물 들여서 예쁜 물을 예쁜 색칠을 해서 어떤 한 배우로 키워내는 거잖아요? 온 영화계가 같이 키우는 거예요, 배우를. 너무 감동적이네요~]
기회 앞에 주저하지 않는 배두나기에 가능했던 일이란 걸 영화계도 알고 있습니다.
[배두나 / 배우 : 한 번 사는 세상인데 조금 미련이 남을 거 같다, 이걸 안 해본 것에 대해서는 그럴 때는 그냥 과감하게 하는 거예요. (실패가 두렵기도 하세요?) 실패요? 실패는 당연히 하는 거라고 전 생각해요.]
이제는 너무 다양한 색으로 물들어 단 하나의 수식어로는 설명하기 어려운 배두나, 스스로 달고 싶은 수식어는 그래서 더 간결합니다.
[배두나 / 배우 : 전 직업이 배우라 어떻게 불려도 상관없고 그냥 '배우 배두나'라는 게 되게 중요한데 그거 외에는 욕심부리고 싶은 거 별로 없는 거 같고요. 배우 배두나가 제일 좋은 것 같은데…. 그중에서 조금 듣기 좋은 수식어가 있다면, '믿고 보는' 정도….]
YTN 송재인입니다.
영상기자 : 곽영주 이수연
화면제공 : 홍보사 '흥미진진', 넷플릭스
YTN 송재인 (sunny@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