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고려 태조 왕건의 스승으로 알려진 희랑대사의 좌상이 보물에서 국보로 승격됩니다.
문화재청은 실존했던 고승의 모습을 재현한 유일한 조각품인 경남 합천 해인사의 건칠 희랑대사 좌상을 국보로 지정 예고했습니다.
희랑대사 좌상은 고려 때인 10세기 전반, 삼베 등에 옻칠을 해 여러 번 둘러 형상을 만드는 기법인 건칠과 나무 조각을 합쳐 만든 조각상입니다.
인자한 눈빛과 엷은 미소를 띤 입술, 얼굴 주름 등 생동감이 넘쳐 생전 모습을 연상하기 충분합니다.
희랑대사는 태조 왕건이 후삼국을 통일하는 데 큰 도움을 준 고려의 학승입니다.
희랑대사 좌상의 또 다른 특징은 신통력을 상징하는 작은 구멍이 가슴에 뚫려 있다는 점입니다.
희랑대사가 다른 스님의 수행을 돕기 위해 가슴에 작은 구멍을 뚫어 모기에게 피를 보시했다는 설화가 전해지고 있습니다.
이승은 [selee@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문화재청은 실존했던 고승의 모습을 재현한 유일한 조각품인 경남 합천 해인사의 건칠 희랑대사 좌상을 국보로 지정 예고했습니다.
희랑대사 좌상은 고려 때인 10세기 전반, 삼베 등에 옻칠을 해 여러 번 둘러 형상을 만드는 기법인 건칠과 나무 조각을 합쳐 만든 조각상입니다.
인자한 눈빛과 엷은 미소를 띤 입술, 얼굴 주름 등 생동감이 넘쳐 생전 모습을 연상하기 충분합니다.
희랑대사는 태조 왕건이 후삼국을 통일하는 데 큰 도움을 준 고려의 학승입니다.
희랑대사 좌상의 또 다른 특징은 신통력을 상징하는 작은 구멍이 가슴에 뚫려 있다는 점입니다.
희랑대사가 다른 스님의 수행을 돕기 위해 가슴에 작은 구멍을 뚫어 모기에게 피를 보시했다는 설화가 전해지고 있습니다.
이승은 [selee@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