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제88회 아카데미 시상식 : 오스카 수상자는 리어나도 디캐프리오!]
리어나도 디캐프리오 수상 장면 보셨는데요.
왜 리어나도 디캐프리오지?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 아닌가? 하신 분들 많으실 겁니다.
1998년 영화 '타이타닉'의 이 유명한 포스터에는 그의 이름이 분명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라고 적혀 있었습니다.
언제, 어떻게 이 이름이 '리어나도 디캐프리오'로 바뀐 걸까요?
국립국어원 누리집에도 같은 질문이 올라왔습니다.
"요즘 언론에서 리어나도 디캐프리오로 쓰던데 맞는 건가요?"
답변에는 "미국 남자 배우의 외래어 표기는 '디캐프리오, 리어나도'와 같이 쓰도록 정하였습니다"라고 적혀있습니다.
외래어표기법에서는 인명이나 지명은 원지음, 그러니까 원래 지역의 발음대로 따르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습니다.
Leonardo DiCaprio 라는 이름은 '리어나도 디캐프리오'라고 읽는 것이 영어식 발음에 가깝다고 본 것이죠.
브라질의 축구황제 호나우두와 레알 마드리드의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역시 철자는 같은데 표기가 다르죠.
호나우두는 '우' 발음을 강조하는 브라질식 포르투갈어로, 크리스티아누는 포르투갈 본토 발음으로 호날두라고 표기합니다.
전 세계 선수들이 모이는 올림픽이나 월드컵 시즌에는 기자들도 외국 선수 이름 표기에 애를 먹습니다.
국립국어원은 외국 선수 표기 통일안을 내놓고 여기 따르도록 권고하고 있는데요.
브라질의 축구선수 호나우딩요가 호나우지뉴로, 영국 선수 마이클 오웬이 마이클 오언이 된 것이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리어나도 디캐프리오 수상 장면 보셨는데요.
왜 리어나도 디캐프리오지?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 아닌가? 하신 분들 많으실 겁니다.
1998년 영화 '타이타닉'의 이 유명한 포스터에는 그의 이름이 분명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라고 적혀 있었습니다.
언제, 어떻게 이 이름이 '리어나도 디캐프리오'로 바뀐 걸까요?
국립국어원 누리집에도 같은 질문이 올라왔습니다.
"요즘 언론에서 리어나도 디캐프리오로 쓰던데 맞는 건가요?"
답변에는 "미국 남자 배우의 외래어 표기는 '디캐프리오, 리어나도'와 같이 쓰도록 정하였습니다"라고 적혀있습니다.
외래어표기법에서는 인명이나 지명은 원지음, 그러니까 원래 지역의 발음대로 따르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습니다.
Leonardo DiCaprio 라는 이름은 '리어나도 디캐프리오'라고 읽는 것이 영어식 발음에 가깝다고 본 것이죠.
브라질의 축구황제 호나우두와 레알 마드리드의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역시 철자는 같은데 표기가 다르죠.
호나우두는 '우' 발음을 강조하는 브라질식 포르투갈어로, 크리스티아누는 포르투갈 본토 발음으로 호날두라고 표기합니다.
전 세계 선수들이 모이는 올림픽이나 월드컵 시즌에는 기자들도 외국 선수 이름 표기에 애를 먹습니다.
국립국어원은 외국 선수 표기 통일안을 내놓고 여기 따르도록 권고하고 있는데요.
브라질의 축구선수 호나우딩요가 호나우지뉴로, 영국 선수 마이클 오웬이 마이클 오언이 된 것이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