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시대' 더 커지는 디지털 격차..."보편적 이용권 중요"

'AI 시대' 더 커지는 디지털 격차..."보편적 이용권 중요"

2025.07.27. 오전 04:36.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챗GPT 등 인공지능이 일상 속에 빠르게 확산하고 있지만, 디지털 소외계층에게는 여전히 먼 이야기인데요.

정부가 제시한 'AI 강국 도약'을 위해서는 이런 디지털 격차를 줄이기 위한 노력이 시급하다는 지적입니다.

권석화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경기도에서 노인 인구 비율이 가장 높은 포천시 관인면.

포천시는 지난해 12월부터 어르신들을 위한 'AI 사랑방'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키오스크와 카드 리더기 등 일상에서 자주 접하는 디지털 기기를 어려움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김전식 / 경기도 포천 : 사용할 줄 몰라서 뒷전에서 구경만 하고 지나가는 식으로 이렇게 했었는데 지금은 앞장서서 이렇게 좀 스스로 해보고 싶고, 스스로 결제 같은 것도 스스로 해보고…/ 젊은 사람들만 하는 게 아니라 우리도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생기고 좋아요.]

이렇게 일부 지자체가 취약계층의 디지털 교육에 관심을 갖고 있지만, 아직 부족한 실정입니다.

챗GPT 등 AI 기술은 빠르게 확산하고 있지만, 고령층과 장애인들은 간단한 디지털 기기 사용조차 어렵습니다.

실제로, 최근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이 발표한 '디지털 정보 격차 실태조사'에 따르면, AI 활용 경험률은 전체 국민의 절반인 51%였지만, 장애인과 고령층,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은 30% 수준에 머물렀습니다.

AI 기술 발전으로 사회적 약자들이 더 뒤처지면서 디지털 양극화를 고착시키고 있는 겁니다.

[고정여 / 경기도 포천 : 디지털 그 기계가 어려워서 사용을 잘 안 하고 있어요. 저는 카드도 사용 안 해요. (왜요?) 그냥 좀 어려운 것 같아서]

지난해 12월 디지털 기술의 보편적 이용권을 명시한 '디지털 포용법'이 국회를 통과했습니다.

이에 따라 국가와 지자체는 모든 사회 구성원들이 차별 없이 디지털 기술의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관련 시책을 마련해야 합니다.

하지만 선언적인 수준에 가까워 보다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정책과 지원이 이어져야 합니다.

[김여라 /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 모두가 디지털 사회의 그 혜택을 골고루 누리게 하기 위해서는 / 지금 하고 있는 정책들을 좀 더 홍보하고 모든 국민이 알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함께 디지털 사회를 잘 살아가는 것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정부가 'AI 3대 강국 도약'이라는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는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디지털 취약계층이 인공지능 기술에 소외되지 않도록 정책적으로 배려하고 제도적으로 지원하는 노력도 뒤따라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YTN 사이언스 권석화입니다.


영상취재 : 지준성
디자인 : 전휘린


YTN 권석화 (stoneflower@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