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새 정부는 'AI 3대 강국' 도약을 위해 필수 기반시설인 국가 AI 컴퓨팅 센터의 건립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주무 부처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책임을 회피하려는 소극적인 자세로 공모를 진행해 사업이 표류하고 있다는 지적입니다.
이성규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정부는 AI 기술 육성에 100조 원을 투입하고 AI 전문가를 정책의 전면에 내세워 'AI 3대 강국'으로 발돋움하겠다는 구상입니다.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후보자 : AI 세계 3대 강국 실현을 차질 없이 이행하고 과학기술 기반 진짜 성장을 추진하기 위해서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이를 위해 가장 시급한 것은 AI 인프라.
과기정통부는 최대 2조5천억 원을 투입해 국가 인공지능(AI) 컴퓨팅 센터 구축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국가 중점 사업인데도 민간 투자 공모에 지난 5월 30일에 이어 지난달 13일 두 차례나 유찰됐습니다.
이 사업은 정부와 민간이 특수목적법인을 설립해 운영하는데, 정부 지분이 51%로 민간의 자율성을 보장받기 어려운 구조입니다.
또, 국가 AI 컴퓨팅 센터가 민간에 저렴한 인프라 제공을 위한 사업이라 수익성이 불투명한 것도 민간의 참여를 꺼리게 만드는 이유입니다.
때문에 과기정통부가 사업의 실현 가능성보다 손실의 책임을 회피하려 안일하게 사업을 추진한다는 비판이 나옵니다.
[조성배 / 연세대 컴퓨터과학과 교수 : (과기정통부가) 해 본 적이 없잖아요. 그래서 이제까지 하던 방식대로 그냥 공고하고 입찰하는 과정도 그랬고, 수익 모델이나 이런 것에 대해서도 심각하게 고려를 하지 못한 부분도 없잖아 있습니다.]
민간 참여가 확정돼도 부지 선정과 주민 설득은 쉽지 않지만, 뚜렷한 대책은 보이지 않습니다.
[김덕진 / IT커뮤니케이션연구소장 : 이 데이터 센터를 대규모로 지을 때 생각보다 그 지역 주민의 반발이라든지 아니면 우리가 잘못 알고 있는 여러 가지 인식들을 과연 정부에서 어떻게 깨고 사람들에게 안심시킬 수 있을지….]
상황이 이런데도 주무 부처인 과기정통부가 사업자 공모라는 첫 단추부터 관행적으로 두 차례나 밀어붙이면서 'AI 강국 도약'과는 엇박자만 내고 있다는 지적입니다.
YTN 사이언스 이성규입니다.
영상취재 : 지준성
영상편집 : 황유민
그래픽 : 정은옥
YTN 이성규 (risewise@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새 정부는 'AI 3대 강국' 도약을 위해 필수 기반시설인 국가 AI 컴퓨팅 센터의 건립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주무 부처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책임을 회피하려는 소극적인 자세로 공모를 진행해 사업이 표류하고 있다는 지적입니다.
이성규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정부는 AI 기술 육성에 100조 원을 투입하고 AI 전문가를 정책의 전면에 내세워 'AI 3대 강국'으로 발돋움하겠다는 구상입니다.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후보자 : AI 세계 3대 강국 실현을 차질 없이 이행하고 과학기술 기반 진짜 성장을 추진하기 위해서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이를 위해 가장 시급한 것은 AI 인프라.
과기정통부는 최대 2조5천억 원을 투입해 국가 인공지능(AI) 컴퓨팅 센터 구축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국가 중점 사업인데도 민간 투자 공모에 지난 5월 30일에 이어 지난달 13일 두 차례나 유찰됐습니다.
이 사업은 정부와 민간이 특수목적법인을 설립해 운영하는데, 정부 지분이 51%로 민간의 자율성을 보장받기 어려운 구조입니다.
또, 국가 AI 컴퓨팅 센터가 민간에 저렴한 인프라 제공을 위한 사업이라 수익성이 불투명한 것도 민간의 참여를 꺼리게 만드는 이유입니다.
때문에 과기정통부가 사업의 실현 가능성보다 손실의 책임을 회피하려 안일하게 사업을 추진한다는 비판이 나옵니다.
[조성배 / 연세대 컴퓨터과학과 교수 : (과기정통부가) 해 본 적이 없잖아요. 그래서 이제까지 하던 방식대로 그냥 공고하고 입찰하는 과정도 그랬고, 수익 모델이나 이런 것에 대해서도 심각하게 고려를 하지 못한 부분도 없잖아 있습니다.]
민간 참여가 확정돼도 부지 선정과 주민 설득은 쉽지 않지만, 뚜렷한 대책은 보이지 않습니다.
[김덕진 / IT커뮤니케이션연구소장 : 이 데이터 센터를 대규모로 지을 때 생각보다 그 지역 주민의 반발이라든지 아니면 우리가 잘못 알고 있는 여러 가지 인식들을 과연 정부에서 어떻게 깨고 사람들에게 안심시킬 수 있을지….]
상황이 이런데도 주무 부처인 과기정통부가 사업자 공모라는 첫 단추부터 관행적으로 두 차례나 밀어붙이면서 'AI 강국 도약'과는 엇박자만 내고 있다는 지적입니다.
YTN 사이언스 이성규입니다.
영상취재 : 지준성
영상편집 : 황유민
그래픽 : 정은옥
YTN 이성규 (risewise@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