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방사성 동위원소 치료제는 의료용 방사성 동위원소를 활용해 난치 암 치료 등에 쓰이는데요.
그동안 전량 수입에 의존했던 의료용 동위원소 악티늄을 국내에서 생산하는 길이 마련돼 관련 치료제 개발이 탄력을 받을 전망입니다.
이성규 기잡니다.
[기자]
미국 FDA가 승인한 전립선암 치료제인 플루빅토와 신경내분비암 치료제인 루타테라.
이들 치료제는 모두 방사성 동위원소 루테튬 177을 활용한 방사성 동위원소 치료제입니다.
방사선을 내뿜어 암세포를 파괴하는 루테튬 177에 암세포만 특이적으로 인식하는 유도물질을 달아 유도 미사일처럼 암세포만 정밀 타격하는 원립니다.
방사성 동위원소 치료제는 기존 화학 항암제와 달리 화학적 반응이 없어 부작용이 거의 없고, 적은 양으로도 암세포를 죽여 최근 주목받고 있습니다.
방사성 동위원소 가운데 악티늄 225는 방사선을 내뿜어 암세포를 살상하는 능력이 루테튬 177보다 10배 이상 커 차세대 의료용 동위원소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악티늄 225를 활용한 연구는 그동안 악티늄을 전량 수입해야 해 제약이 많았습니다.
최근 한국원자력의학원이 입자가속기인 사이클로트론을 이용한 악티늄 225 생산 허가를 획득했습니다.
이로써 악티늄 225의 안정적인 공급이 가능해져 이를 활용한 난치 암 치료제 개발 연구도 탄력을 받을 전망입니다.
[이교철 / 한국원자력의학원 RI응용부 책임연구원 : 현재는 전립선과 신경 내분비를 저희 기관에서 하고 있고요. 그 외에 신장암이 됐건 별도의 유방암, 대장암 이런 종류의 새로운 표적을 찾아서 의약품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의학원은 국내 4개 방사성의약품 기업과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관련 연구를 공동으로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그동안 많이 쬐면 몸에 안 좋다는 인식이 강했던 방사성 물질.
과학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난치 암 치료의 새로운 대안으로 거듭나고 있습니다.
YTN 사이언스 이성규입니다.
영상취재 : 지준성
그래픽 : 권향화
YTN 이성규 (sklee95@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방사성 동위원소 치료제는 의료용 방사성 동위원소를 활용해 난치 암 치료 등에 쓰이는데요.
그동안 전량 수입에 의존했던 의료용 동위원소 악티늄을 국내에서 생산하는 길이 마련돼 관련 치료제 개발이 탄력을 받을 전망입니다.
이성규 기잡니다.
[기자]
미국 FDA가 승인한 전립선암 치료제인 플루빅토와 신경내분비암 치료제인 루타테라.
이들 치료제는 모두 방사성 동위원소 루테튬 177을 활용한 방사성 동위원소 치료제입니다.
방사선을 내뿜어 암세포를 파괴하는 루테튬 177에 암세포만 특이적으로 인식하는 유도물질을 달아 유도 미사일처럼 암세포만 정밀 타격하는 원립니다.
방사성 동위원소 치료제는 기존 화학 항암제와 달리 화학적 반응이 없어 부작용이 거의 없고, 적은 양으로도 암세포를 죽여 최근 주목받고 있습니다.
방사성 동위원소 가운데 악티늄 225는 방사선을 내뿜어 암세포를 살상하는 능력이 루테튬 177보다 10배 이상 커 차세대 의료용 동위원소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악티늄 225를 활용한 연구는 그동안 악티늄을 전량 수입해야 해 제약이 많았습니다.
최근 한국원자력의학원이 입자가속기인 사이클로트론을 이용한 악티늄 225 생산 허가를 획득했습니다.
이로써 악티늄 225의 안정적인 공급이 가능해져 이를 활용한 난치 암 치료제 개발 연구도 탄력을 받을 전망입니다.
[이교철 / 한국원자력의학원 RI응용부 책임연구원 : 현재는 전립선과 신경 내분비를 저희 기관에서 하고 있고요. 그 외에 신장암이 됐건 별도의 유방암, 대장암 이런 종류의 새로운 표적을 찾아서 의약품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의학원은 국내 4개 방사성의약품 기업과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관련 연구를 공동으로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그동안 많이 쬐면 몸에 안 좋다는 인식이 강했던 방사성 물질.
과학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난치 암 치료의 새로운 대안으로 거듭나고 있습니다.
YTN 사이언스 이성규입니다.
영상취재 : 지준성
그래픽 : 권향화
YTN 이성규 (sklee95@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