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사대 도착한 누리호...발사 과정과 성공 판단 기준은?

발사대 도착한 누리호...발사 과정과 성공 판단 기준은?

2021.10.20. 오전 09:48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 진행 : 박광렬 앵커
■ 출연 : 이호성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연구원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앵커]
우리 기술로 만드는 첫 우주발체죠.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 발사가 이제 하루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앵커]
오늘 아침 누리호가 발사대로 옮겨졌는데요.

지금은 어떤 상황인지 고흥 나로호우주센터 연결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박광렬 앵커 전해 주시죠.

[앵커]
고흥 나로호우주센터에 나와 있습니다.

누리호, 아침 7시 20분부터 조립동에서 이동을 시작했고요.

애초 8시 반쯤이 계획이었는데 10분 정도 더 걸려서 발사대로 옮겨졌습니다.

누리호 발사, 오롯이 우리의 기술로 개발했고 정말 시도 자체로 뜻깊은 일인데요.

보다 자세한 내용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이호성 연구원과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어서 오세요.

[이호성]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앵커]
오랜만에 활짝 웃어도 되는 내용을 정말 다루게 됐습니다. 제가 최대한 편하게 질문을 드리도록 하겠고요.

날씨는 조금 쌀쌀합니다. 저도 이렇게 외투를 입었는데 지금 누리호가 그러니까 1.8km, 운동장 한 네 바퀴 반 정도를 1시간 20분 정도 만에 이동을 했습니다.

이게 성인 걷는 속도 정도인데 혹시 모를 상황에 대비해서인지 왜 이렇게 느리게 이동을 한 겁니까?

[이호성]
저희가 발사체를 개발하면서, 설계를 하면서 허용되는 진동 조건 또는 소음 조건 이런 것들이 있습니다.

그래서 그 허용되는 음향조건, 진동조건에 맞게끔 이렇게 그 안에서 설계했기 때문에 그 외의 상황이 오게 되면 그러면 안 되는 거거든요.

그래서 그런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저희가 아주 천천히 이동을 하면서, 실제로 센서를 달고 그 범위 내에 있는 조건인지 확인하면서 이동하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천천히 이동하게, 보시기에는 굉장히 답답하겠지만 천천히 이동을 하게 됐습니다.

[앵커]
그럼요. 장비를 위해서면 그것보다 더 느려도 상관없을 것 같은데 연구원님, 역사적인 이동순간이고 저희를 포함해서 방송사들이 생중계를 하고 싶었는데 이게 중계가 안 되더라고요.

혹시 어떤 문제가 생길까, 이거 어떤 이유입니까?

[이호성]
실제로 저희가 굉장히 조심해야 됩니다. 조심해야 되고 실제 저희는 설계나 제작에 참여한 연구원들도 그 현장, 실험하는 현장에는 들어가지 못하게 되어 있습니다.

그 이유는 뭐냐 하면 이런 트레스폰더 제작 자체가 이런 것들도 보안이고 그것을 어떻게 운반하고 운송하고 하는 것들이 거의 다 보안입니다.

그래서 아마 다른 나라에서도 그런 것들은 발표를 안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그 점은 궁금하시더라도 나중에 자료화면으로 보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앵커]
알겠습니다. 일단 지금 누리호가 그러니까 발사대로 이동을 마쳤습니다.

운동 경기로 치면 일단은 출발대의 모습은 드러낸 상황인데 눕혀서 이동을 했고 이제 세우는 과정이 남아 있습니다. 기립 과정을 거친다. 어떤 주의점이 있을까요?

[이호성]
아시다시피 저희가 지금 현재 연료들이 채워 있는 상태가 아닙니다.

그래서 그렇게 하다 보면 채워 있지 않기 때문에 저희가 음료수 캔을 보더라도 꽉 차 있는 상황에서는 굉장히 단단한데 우리가 음료를 다 먹고 난 다음에 빈 통에서는 상당히 손으로 눌러도 구부러지는 정도 아니겠습니까?

[앵커]
찌그러질 수도 있고 잘 넘어질 수도 있고.

[이호성]
그렇습니다. 그래서 지금 현재 상황이 그런 상황입니다.

그래서 굉장히 조심스럽게 운반을 하고 또 각 단별로 하중이 균일하게 집중되지 않게 이런 상황에서 기립을 해야 되기 때문에 이렇게 아주 천천히 기립을 하게 되겠습니다.

[앵커]

기립을 마치고도 또 많은 준비작업을 필요할 것 같은데요. 이후에 지금 오늘은 어떤 작업들이 예정되어 있습니까?

[이호성]
오늘은 저희가 기립한 다음에는 발사대에 있는 여러 가지 엄브리컬이라든가 연료나.

[앵커]
엄브리컬을 쉽게 설명해 주시죠.

[이호성]
엄브리컬은 뭐냐면 우리가 탱크나 아니면 전시 시그널 이런 것들을 주기 위해서 발사대에서 사용하는 것.

[앵커]
일종에 탯줄 역할을 한다고 보면 됩니까?

[이호성]
맞습니다. 그래서 엄브리컬이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그래서 엄브리컬을 통해서 우리가 연료를 주입하고 산화제를 주입하게 되겠습니다. 그런 것들이 제대로 되어 있는지 또 새지가 않는지, 이런 것들을 갖다가 저희가 체크하게 되겠죠.

그리고 정기적으로 가는 전기시그널들이 모든 것들이 다 작동을 하고 있는지 이런 것들이 확인돼야 이제 내일 발사가 가능합니다.

[앵커]
저희가 자동차를 움직이려면 연료인 기름이 필요합니다.

마찬가지로 누리호도 연료가 필요하겠죠. 그런데 이 연료가 케로신, 이게 액체 연료라고 들었어요.

이게 고체연료랑 비교해서 어떤 특징이 있는 겁니까?

[이호성]
우리가 아시다시피 뭔가 타거나 이렇게 연소를 시키려면 산소가 필요하게 됩니다. 그런데 우주 환경에서는 그러한 산소가 희박하죠, 여기보다.

그렇기 때문에 저희가 산소를 여기서 싣고 가는 것입니다.

그래서 케로신과 액체산소를 저희가 싣고 가고 고체인 경우에는 저희가 화약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고체로 발라서 언제든지 저장하고 있다가 아무 데나, 아무 때나 필요할 때 한 10년이나 20년 후에도 불을 붙이면 그게 작동이 되는 그런 상황이고요.

액체연료는 아시다시피 액체산소를 사용하기 때문에 극저온에서 사용하기 때문에 발사 전에 주입해야 됩니다.

그래서 그런 차이가 있습니다.

[앵커]
좀 더 효율이 좋다, 이렇게 볼 수가 있는 건가요?

그런 성능 면에서는 어떤가요? 액체와 고체를 비교했을 때?

[이호성]
훨씬 더 효율이 좋기 때문에 발사체에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앵커]
이 케로신이라는 액체연료도 국내에서 오롯이 국내기술로 생산한 겁니까?

[이호성]
네, 맞습니다. 저희가 정유산업이 제대로 되어 있지... 아주 크기 때문에 등유입니다, 사실 말씀드리면. 그렇기 때문에 저희가 굉장히 손쉽게 얻을 수 있는 재료고요.

그다음에 러시아 소유스 때부터 사용됐던 거기 때문에 거기에도 사용됐기 때문에 안전합니다.

그래서 우리가 다른 많이 아시는 그런 액체산소나 이런 것도 액체수소 이런 것으로 같이 사용하게 되면 이제 극저온에서 또는 고압에서 이런 것들이 불이 붙기도 쉽고 취급하기가 굉장히 나쁜데 이것은 상온에서 사용할 수 있고 그렇기 때문에 안전성에 굉장히 좋다고 하겠습니다.

[앵커]
그러니까 효율도 높고 안전하고 무엇보다 우리 기술이라는 특징이 있겠는데요.

내일 발사, 이게 지금 다른 말로는 시험비행이라고 볼 수 있는데 지금 가장 중점적으로 점검해야 할 점, 어떤 게 있을까요?

[이호성]
저희가 지금은 모든 시험은 다 그동안 해왔지만 각 분야별로 다 해 온 것이고요.

최종적으로 1단, 2단, 3단을 조립해서 저희가 시험하는 건 처음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지금 현재는 각 단 별로 우리가 필요한, 이것이 아까 말씀드린 대로 비행시험이거든요.

플라잉 테스트거든요. 그래서 테스트를 하면서 저희가 얻을 수 있는 모든 자료를 제대로 얻을 수 있는지 이런 것들을 확인하는 작업이 되겠습니다.

그래서 말씀하신 것처럼 아까 엄브리컬로 다 들어가면서 집어넣은 액체나 연료를 주입하면서도 그것이 기민상태 이런 것들이 되겠고 제대로 압력이 작동하고 있는지 이런 것들을 확인하게 되겠습니다.

[앵커]
지금 보면 37만 개 정도의 무수한 부품을 정상적으로 동작을 하는지 지상에서 할 수 있는 시험은 다 했다, 이렇게 말씀하셨는데. 그런데 아무리 지상에서, 제가 그 전에 영상을 보니까 75톤급 액체엔진 연소실험까지 30초, 100초 이렇게 하신 걸 봤는데 그래도 아무리 많이 해도 이게 실제 발사를 해 보지 않으면 알 수 없는 게 있다고 하던데 그런 부분 어떤 부분인가요?

[이호성]
그 부분은 우주 환경에서 연소가 되다 보니까 우주 환경과 똑같은 환경을 만들 수가 없습니다, 육지 상에서는. 그리고 더군다나 저희가 짧은 시간 안정화되고 이런 것들은 저희가 확인했지만 이런 긴 시간 동안 그 연료가 다 탈 동안 안정화가 되는지 이런 것들이 확인이 될 수 없고요.

그렇기 때문에 저희가 시험에서 얻어야 되는 데이터들이 굉장히 많습니다.

[앵커]
로켓이 1단, 2단, 3단 이렇게 구성되어 있다고 들었어요.

그런 1단, 2단, 3단이 그러니까 지금 화면으로 나가지만 밑이 1단, 2단, 3단, 이런 식이고 이렇게 쏴지면서 분리가 되는 건데 그런 건 정말 비행과정을 통해서밖에 검증이 쉽지 않겠어요. 최대한 지상에서 하겠지만.

[이호성]
맞습니다. 저희가 지상에서 할 수 있는 데 한계가 있고요. 저희가 사실은 이것을 설계하고 예측하고 분석을 해서 저희는 이제 이렇게 되리라 예상을 하고 거기에 만족했지만 실제로 그렇게 되는지 검증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래서 저희가 이것을 플라잉 테스트, 비행시험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앵커]
누리호의 목표는 1.5톤급 실용위성을 고도 600~800km 궤도에 올리는 건데 이번에는 진짜 위성은 아니고 모형, 같은 크기의 모형만 실립니다.

보통은 본 궤도에 오르고 교신을 통해서 성공여부를 판단하는데 이번에는 어떻게 판단을 하게 됩니까?

[이호성]
그래서 말씀드린 대로 지금 저희가 비행시험을 하고 있기 때문에 제대로 위성을 원하는 궤도에 올릴 수 있는지 그런 것들을 저희가 확인을 해야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저희가 같은 중량의 모사체를 싣고 오게 되는데 저희가 중요시하는 건 3단에서 연소가 끝났을 시점 그리고 끝났을 때 끝나고 난 다음에 궤도에 진입시키는 것.

그래서 궤도에 진입시킬 때, 그러면 분리할 때 이럴 때 신호를 저희가 다 받고 있습니다.

그래서 언제 분리가 되고 연소가 언제 끝나고 언제 분리가 되고. 그다음에 그 장면 자체도 저희가 카메라로 다 찍고 있습니다.

그래서 그렇게 돼서 그 궤도에 저희가 관측소가 팔라우에도 있고 우주센터에도 있고 해서 그 궤도에 정확히 도달했다는 것을 저희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앵커]
개발자로서 굉장히 떨리는 순간일 것 같은데 저희가 12시 시간에도 또 연결이 예정이 되어 있습니다.

그때 더 자세한 얘기를 들어보도록 하겠고요. 지금까지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이호성 억눌려 연구원과 함께했습니다. 오늘 말씀 감사합니다.

[이호성]
감사합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