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세계 최대 국부펀드인 노르웨이 국부펀드의 니콜라이 탕엔 최고경영자(CEO)가 인공지능(AI)의 급속한 확산이 전 세계의 사회적·지정학적 불평등을 심화할 위험이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현지 시간 23일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탕엔 CEO는 FT와 인터뷰에서 첨단 AI 모델에 대한 접근 비용이 점점 높아지면서 AI가 부유층과 빈곤층 간의 격차는 물론 국가 간 격차도 확대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탕엔 CEO는 "(AI를 활용하려면) 사전 교육과 전력, 디지털 인프라가 필요하다"면서 "이것은 전 세계의 차이를 증폭시킬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하고 "사회 분열 가능성도 있다"면서 "이것(AI)을 감당할 수 있는 국가와 그렇지 못한 국가로 전 세계가 양분되는 실질적 가능성이 있다"고 짚었습니다.
또 AI 규제에 대한 서로 다른 접근 방식이 유럽과 미국의 성장률 격차를 확대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그는 "미국은 AI(기술)는 많고 규제는 많지 않다. 유럽은 AI는 많지 않고 규제는 많다"면서 EU의 과도한 규제 경향이 경제 성장을 저해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전직 헤지펀드 투자자 출신인 그는 정부와 대기업들이 머지않아 불균등한 (AI) 도입이 초래하는 결과에 대처해야 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노동시장의 혼란, 접근성과 공정성의 문제 등이 한꺼번에 불거질 수 있고, 또한 정책입안자들이 기술변화의 속도에 뒤처질 위험이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탕엔 CEO는 "우리는 어떤 것도 예측하기 어려운 시대에 살고 있다"며 "이제는 민첩성(agility), 문화, 다가올 상황에 대한 사회의 대비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2조 달러 규모의 자금을 운용하는 노르웨이 국부펀드를 이끄는 그는 최근 시장을 뒤흔들고 있는 AI 거품 논란에 대해서도 언급했습니다.
그는 AI 투자의 엄청난 붐이 거품의 특징을 많이 띠고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세계 경제에 궁극적으로 그렇게 나쁘지 않은 것일 수도 있다고 봤습니다.
일부가 과대평가 됐다고 해도 AI로 유입되는 자본의 급증이 결국 생산성을 높이는 기술 개발을 촉진하게 할 것이라는 겁니다.
"버블이라고 해도 그렇게 나쁜 버블은 아닐 수도 있다"면서 자동화, 데이터 처리, 모델 개발 등의 발전에 따른 장기적 이익을 가져올 가능성을 짚었다고 FT는 전했습니다.
또 투자자들이 직면한 도전은 소수의 강력한 플랫폼 기업들이 지배하는 시장에서 진짜 혁신과 과장된 선전을 구별하는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AI가 이미 노르웨이 국부펀드의 운영 방식도 바꿔놓고 있다고 탕엔 CEO는 짚었습니다.
그는 "5년 전만 해도 기술 부서는 구석에서 일하는 존재였다. 지금은 영웅이 됐다"며 "이 조직에서는 700명 중 460명이 실제로 코딩을 한다"고 말했습니다.
YTN 김잔디 (jandi@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현지 시간 23일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탕엔 CEO는 FT와 인터뷰에서 첨단 AI 모델에 대한 접근 비용이 점점 높아지면서 AI가 부유층과 빈곤층 간의 격차는 물론 국가 간 격차도 확대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탕엔 CEO는 "(AI를 활용하려면) 사전 교육과 전력, 디지털 인프라가 필요하다"면서 "이것은 전 세계의 차이를 증폭시킬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하고 "사회 분열 가능성도 있다"면서 "이것(AI)을 감당할 수 있는 국가와 그렇지 못한 국가로 전 세계가 양분되는 실질적 가능성이 있다"고 짚었습니다.
또 AI 규제에 대한 서로 다른 접근 방식이 유럽과 미국의 성장률 격차를 확대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그는 "미국은 AI(기술)는 많고 규제는 많지 않다. 유럽은 AI는 많지 않고 규제는 많다"면서 EU의 과도한 규제 경향이 경제 성장을 저해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전직 헤지펀드 투자자 출신인 그는 정부와 대기업들이 머지않아 불균등한 (AI) 도입이 초래하는 결과에 대처해야 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노동시장의 혼란, 접근성과 공정성의 문제 등이 한꺼번에 불거질 수 있고, 또한 정책입안자들이 기술변화의 속도에 뒤처질 위험이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탕엔 CEO는 "우리는 어떤 것도 예측하기 어려운 시대에 살고 있다"며 "이제는 민첩성(agility), 문화, 다가올 상황에 대한 사회의 대비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2조 달러 규모의 자금을 운용하는 노르웨이 국부펀드를 이끄는 그는 최근 시장을 뒤흔들고 있는 AI 거품 논란에 대해서도 언급했습니다.
그는 AI 투자의 엄청난 붐이 거품의 특징을 많이 띠고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세계 경제에 궁극적으로 그렇게 나쁘지 않은 것일 수도 있다고 봤습니다.
일부가 과대평가 됐다고 해도 AI로 유입되는 자본의 급증이 결국 생산성을 높이는 기술 개발을 촉진하게 할 것이라는 겁니다.
"버블이라고 해도 그렇게 나쁜 버블은 아닐 수도 있다"면서 자동화, 데이터 처리, 모델 개발 등의 발전에 따른 장기적 이익을 가져올 가능성을 짚었다고 FT는 전했습니다.
또 투자자들이 직면한 도전은 소수의 강력한 플랫폼 기업들이 지배하는 시장에서 진짜 혁신과 과장된 선전을 구별하는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AI가 이미 노르웨이 국부펀드의 운영 방식도 바꿔놓고 있다고 탕엔 CEO는 짚었습니다.
그는 "5년 전만 해도 기술 부서는 구석에서 일하는 존재였다. 지금은 영웅이 됐다"며 "이 조직에서는 700명 중 460명이 실제로 코딩을 한다"고 말했습니다.
YTN 김잔디 (jandi@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