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오는 22일 아프리카에서는 처음으로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개막하는 주요 20개국, G20 정상회의 참석을 둘러싸고 미국과 남아공이 갈등을 빚고 있습니다.
의장국인 남아공 시릴 라마포사 대통령은 지난 20일 기자회견에서 "당초 회의에 불참할 방침이던 미국이 어떤 형태로든 참여하겠다고 알려와 논의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라마포사 대통령은 "이것은 긍정적인 신호"라며 "세계 최대 경제국인 미국도 반드시 참여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 발언대로라면 백인들이 남아공에서 박해받고 있으며 반미주의 의제를 내세운다는 이유로 사상 처음으로 G20 정상회의 보이콧을 선언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상대로 라마포사 대통령이 외교적 성과를 거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미국 정부는 라마포사 대통령의 주장을 허위라고 일축하며 불쾌감을 드러냈습니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남아공 주재 미국 대표가 현장에 가는 것은 단지 미국이 차기 G20 개최국임을 확인하고 행사가 종료될 때 의장직을 인계받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어 "남아공 대통령의 허위 주장처럼 공식 회담에 참여하기 위한 건 아니다"라고 강조한 뒤 라마포사 대통령이 미국과 트럼프 대통령을 상대로 함부로 말하고 있다며 비난했습니다.
현지 언론은 남아공 대통령실이 의장국 인수인계 행사에 미국이 각료 대신 마크 딜라드 주남아공 대사대리를 파견하기로 한 결정을 불편해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빈센트 마궤니아 남아공 대통령실 대변인은 SNS를 통해 "대통령이 의장국을 일개 대사대리에게 넘기지 않을 것"이라고 밝혀 미국과의 갈등은 이어지고 있습니다.
올해 G20 정상회의는 오는 22∼23일 요하네스버그 나스렉 구역의 엑스포센터에서 '연대·평등·지속가능성'을 주제로 열립니다.
미국은 남아공의 G20 우선순위는 미국의 정책 입장과 상충한다며 합의된 입장을 전제로 한 어떤 정상회의 결과문서도 미국의 동의 없이 채택하는 것에 반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남아공 정부는 정상회의 폐막을 전후해 개발도상국의 부채 경감과 글로벌 불평등 해소를 위한 약속을 담은 '요하네스버그 정상 선언' 채택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YTN 이경아 (kalee@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의장국인 남아공 시릴 라마포사 대통령은 지난 20일 기자회견에서 "당초 회의에 불참할 방침이던 미국이 어떤 형태로든 참여하겠다고 알려와 논의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라마포사 대통령은 "이것은 긍정적인 신호"라며 "세계 최대 경제국인 미국도 반드시 참여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 발언대로라면 백인들이 남아공에서 박해받고 있으며 반미주의 의제를 내세운다는 이유로 사상 처음으로 G20 정상회의 보이콧을 선언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상대로 라마포사 대통령이 외교적 성과를 거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미국 정부는 라마포사 대통령의 주장을 허위라고 일축하며 불쾌감을 드러냈습니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남아공 주재 미국 대표가 현장에 가는 것은 단지 미국이 차기 G20 개최국임을 확인하고 행사가 종료될 때 의장직을 인계받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어 "남아공 대통령의 허위 주장처럼 공식 회담에 참여하기 위한 건 아니다"라고 강조한 뒤 라마포사 대통령이 미국과 트럼프 대통령을 상대로 함부로 말하고 있다며 비난했습니다.
현지 언론은 남아공 대통령실이 의장국 인수인계 행사에 미국이 각료 대신 마크 딜라드 주남아공 대사대리를 파견하기로 한 결정을 불편해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빈센트 마궤니아 남아공 대통령실 대변인은 SNS를 통해 "대통령이 의장국을 일개 대사대리에게 넘기지 않을 것"이라고 밝혀 미국과의 갈등은 이어지고 있습니다.
올해 G20 정상회의는 오는 22∼23일 요하네스버그 나스렉 구역의 엑스포센터에서 '연대·평등·지속가능성'을 주제로 열립니다.
미국은 남아공의 G20 우선순위는 미국의 정책 입장과 상충한다며 합의된 입장을 전제로 한 어떤 정상회의 결과문서도 미국의 동의 없이 채택하는 것에 반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남아공 정부는 정상회의 폐막을 전후해 개발도상국의 부채 경감과 글로벌 불평등 해소를 위한 약속을 담은 '요하네스버그 정상 선언' 채택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YTN 이경아 (kalee@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