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보기

FNN 방송화면
AD
최근 일본에서 500엔 동전과 비슷하게 생긴 한국의 500원 동전을 이용한 결제 피해가 늘고 있다는 현지 보도가 나왔다.
20일 일본 방송 FNN에 따르면, 최근 음식점·주유소 등 현금 결제가 잦은 업종을 중심으로 500엔(약 4,700원) 대신 500원 짜리 동전으로 결제해 가게 측이 손해를 보는 사례가 전국적으로 잇따르고 있다.
도쿄 신주쿠구 신오쿠보의 우동 가게 점주 이토 다카시(69) 씨는 "(500원이) 500엔과 겉모습이 비슷해 손님이 놓고 가면 바로 알아보기 힘들다"며 지난 10년 동안만 약 15건의 동일 피해를 겪었다고 밝혔다.
500원의 가치는 일본 돈으로 약 50엔에 불과해, 한 번 잘못 받으면 즉시 매장 손해로 직결된다.
이토 씨는 "주방에서는 손님의 동작을 볼 수 없고, 바쁜 점심 시간에는 빠르게 돈을 놓고 가는 손님을 확인하기 어렵다"며 "눈이 좋지 않아 500엔과 500원을 금세 구별하기도 힘들다"고 토로했다.
미야기·오사키시의 주유소, 후쿠시마·니혼마쓰시의 라멘집 점주 역시 "식재료 원가도 오르는 상황이어서 꽤 충격이었다"며 "(당시 500원을 낸 건) 일본인이었고, 아무렇지 않게 꺼내는 걸로 봐서 상습범이 아닌가 싶다"고 말했다.
관광업에 종사한다는 한 누리꾼은 "한국과 일본을 묶어 찾는 외국인 관광객들이 잘 모르고 내는 경우도 많다"고 전했다.
30년 전인 1999년에도 일본에서는 500원 동전 일부를 깎아 무게를 500엔과 정확히 맞춘 뒤 자판기에 넣고 거스름돈을 챙기는 범죄가 잇따라 발생한 바 있다. 당시 일본 정부는 신형 500엔 동전 발행과 자판기 개선 등의 대응책을 내놨다.
YTN digital 이유나 (lyn@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20일 일본 방송 FNN에 따르면, 최근 음식점·주유소 등 현금 결제가 잦은 업종을 중심으로 500엔(약 4,700원) 대신 500원 짜리 동전으로 결제해 가게 측이 손해를 보는 사례가 전국적으로 잇따르고 있다.
도쿄 신주쿠구 신오쿠보의 우동 가게 점주 이토 다카시(69) 씨는 "(500원이) 500엔과 겉모습이 비슷해 손님이 놓고 가면 바로 알아보기 힘들다"며 지난 10년 동안만 약 15건의 동일 피해를 겪었다고 밝혔다.
500원의 가치는 일본 돈으로 약 50엔에 불과해, 한 번 잘못 받으면 즉시 매장 손해로 직결된다.
이토 씨는 "주방에서는 손님의 동작을 볼 수 없고, 바쁜 점심 시간에는 빠르게 돈을 놓고 가는 손님을 확인하기 어렵다"며 "눈이 좋지 않아 500엔과 500원을 금세 구별하기도 힘들다"고 토로했다.
미야기·오사키시의 주유소, 후쿠시마·니혼마쓰시의 라멘집 점주 역시 "식재료 원가도 오르는 상황이어서 꽤 충격이었다"며 "(당시 500원을 낸 건) 일본인이었고, 아무렇지 않게 꺼내는 걸로 봐서 상습범이 아닌가 싶다"고 말했다.
관광업에 종사한다는 한 누리꾼은 "한국과 일본을 묶어 찾는 외국인 관광객들이 잘 모르고 내는 경우도 많다"고 전했다.
30년 전인 1999년에도 일본에서는 500원 동전 일부를 깎아 무게를 500엔과 정확히 맞춘 뒤 자판기에 넣고 거스름돈을 챙기는 범죄가 잇따라 발생한 바 있다. 당시 일본 정부는 신형 500엔 동전 발행과 자판기 개선 등의 대응책을 내놨다.
YTN digital 이유나 (lyn@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