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중국의 대표적인 기업인 알리바바와 중국군 사이에 군사적 연계가 있다고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알리바바가 중국군의 '작전'에 기술적인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는 내용의 백악관 국가안보 메모를 입수했다고 보도했습니다.
메모를 보면 알리바바는 알리바바 클라우드 사용자의 IP 주소, 와이파이 정보, 결제 기록 등 민감한 고객 데이터를 중국 정부와 중국군에 제공했습니다.
특히 알리바바 직원들이 중국군에 이른바 '제로데이' 취약점과 관련한 정보를 넘긴 것으로 의심했습니다.
제로데이 취약점이란, 네트워크 사용 기기에서 취약점은 발견됐지만, 아직 보안 패치가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사실상 사이버 공격에 무방비 상태를 나타내는 말입니다.
이 메모는 한국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이 정상회담을 통해 무역 전쟁을 1년간 중단하기로 결정한 직후인 지난 1일 작성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알리바바는 이에 대해 "터무니없는 소리"라며 "명백히 여론을 조작하고 알리바바를 헐뜯으려는 시도"라고 반발했습니다.
YTN 김선중 (kimsj@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알리바바가 중국군의 '작전'에 기술적인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는 내용의 백악관 국가안보 메모를 입수했다고 보도했습니다.
메모를 보면 알리바바는 알리바바 클라우드 사용자의 IP 주소, 와이파이 정보, 결제 기록 등 민감한 고객 데이터를 중국 정부와 중국군에 제공했습니다.
특히 알리바바 직원들이 중국군에 이른바 '제로데이' 취약점과 관련한 정보를 넘긴 것으로 의심했습니다.
제로데이 취약점이란, 네트워크 사용 기기에서 취약점은 발견됐지만, 아직 보안 패치가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사실상 사이버 공격에 무방비 상태를 나타내는 말입니다.
이 메모는 한국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이 정상회담을 통해 무역 전쟁을 1년간 중단하기로 결정한 직후인 지난 1일 작성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알리바바는 이에 대해 "터무니없는 소리"라며 "명백히 여론을 조작하고 알리바바를 헐뜯으려는 시도"라고 반발했습니다.
YTN 김선중 (kimsj@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