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보기

ⓒ연합뉴스
AD
미국 조지아주 한국 기업 공장 건설 현장에서 이민 단속으로 구금됐다가 석방된 한국인 근로자가 미 이민세관단속국(ICE)을 상대로 한 소송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10일(현지 시간) 미국 ABC 방송은 지난 9월 조지아에서 구금됐다 풀려나 귀국한 한국인 김 모 씨를 비롯한 근로자 약 200명이 ICE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할 준비를 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김 씨 등은 ICE의 불법적인 경찰권 행사, 인종 프로파일링(피부색, 인종 등을 기반으로 용의자를 추적하는 수사 방식), 인권침해, 과도한 물리력 행사, 불법적 체포 등에 대한 문제를 제기할 예정이다.
김 씨는 ABC에 "잘못된 사실을 바로잡고 싶다. 우리는 아직도 적합한 설명이나 사과를 받지 못했다"며 "나는 이제 여행으로도 미국에 가고 싶지 않다. 하지만 일 때문에 꼭 가야 한다면 할 수 없다"고 말했다.
단기 상용 목적의 B1 비자로 미국에 입국했다는 그는 조지아주 서배너의 현대-LG엔솔 배터리 합작공장 건설에 여념이 없었다며 "트럼프 행정부가 약속한 미국 제조업 부흥에 기여하고 있다고 생각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지난 9월 4일 오전 ICE가 공장에 진입해 비자 종류에 따라 근로자들을 분류하고, 체포영장 집행을 시작하면서 모든 게 변했다고 덧붙였다.
김 씨는 "대다수 근로자가 영어를 잘 몰랐고 체포영장이 무슨 뜻인지도 몰랐다"며 "총기로 중무장한 경찰과 헬리콥터가 출동해 마치 영화의 한 장면 같았다"고 회상했다. 이어 "아무런 설명도 없이 구금당했고,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도 몰랐다"며 "몇몇 근로자들은 족쇄가 채워진 채 걷다가 넘어지기도 했다"고 설명했다.
체포된 한국인 300여 명은 이민국 구금시설로 이송돼, 60명 정도로 나뉘어 커다란 방에 수용됐다. 김 씨는 "구치소는 춥고 불결했으며, 침대에는 곰팡이가 피었고, 냄새나는 물만 주어졌다"며 "경비원들은 한국인 앞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이야기를 하고, 눈을 옆으로 찢으며 동양인을 모욕했다"고 주장했다.
김 씨는 다른 한국인들과 함께 일주일 후 석방돼 한국으로 돌아갔지만, 아직도 마음을 진정시키지 못하고 있다면서 "아직도 왜 ICE가 우리를 체포했는지, 그리고 왜 일주일이나 우리를 붙잡아뒀는지 그 이유를 알고 싶다"고 호소했다.
백악관 아비게일 잭슨 대변인은 ABC에 보낸 입장문에서 "모든 외국인 근로자는 적법한 노동 허가를 받아 미국에 입국해야 한다"며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을 사업하기 가장 좋은 나라로 만들려 하지만, 연방 이민법도 철저히 집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현대차는 "공장은 2026년 상반기에 완공 예정이며, 모든 법과 규정을 준수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YTN digital 이유나 (lyn@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10일(현지 시간) 미국 ABC 방송은 지난 9월 조지아에서 구금됐다 풀려나 귀국한 한국인 김 모 씨를 비롯한 근로자 약 200명이 ICE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할 준비를 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김 씨 등은 ICE의 불법적인 경찰권 행사, 인종 프로파일링(피부색, 인종 등을 기반으로 용의자를 추적하는 수사 방식), 인권침해, 과도한 물리력 행사, 불법적 체포 등에 대한 문제를 제기할 예정이다.
김 씨는 ABC에 "잘못된 사실을 바로잡고 싶다. 우리는 아직도 적합한 설명이나 사과를 받지 못했다"며 "나는 이제 여행으로도 미국에 가고 싶지 않다. 하지만 일 때문에 꼭 가야 한다면 할 수 없다"고 말했다.
단기 상용 목적의 B1 비자로 미국에 입국했다는 그는 조지아주 서배너의 현대-LG엔솔 배터리 합작공장 건설에 여념이 없었다며 "트럼프 행정부가 약속한 미국 제조업 부흥에 기여하고 있다고 생각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지난 9월 4일 오전 ICE가 공장에 진입해 비자 종류에 따라 근로자들을 분류하고, 체포영장 집행을 시작하면서 모든 게 변했다고 덧붙였다.
김 씨는 "대다수 근로자가 영어를 잘 몰랐고 체포영장이 무슨 뜻인지도 몰랐다"며 "총기로 중무장한 경찰과 헬리콥터가 출동해 마치 영화의 한 장면 같았다"고 회상했다. 이어 "아무런 설명도 없이 구금당했고,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도 몰랐다"며 "몇몇 근로자들은 족쇄가 채워진 채 걷다가 넘어지기도 했다"고 설명했다.
체포된 한국인 300여 명은 이민국 구금시설로 이송돼, 60명 정도로 나뉘어 커다란 방에 수용됐다. 김 씨는 "구치소는 춥고 불결했으며, 침대에는 곰팡이가 피었고, 냄새나는 물만 주어졌다"며 "경비원들은 한국인 앞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이야기를 하고, 눈을 옆으로 찢으며 동양인을 모욕했다"고 주장했다.
김 씨는 다른 한국인들과 함께 일주일 후 석방돼 한국으로 돌아갔지만, 아직도 마음을 진정시키지 못하고 있다면서 "아직도 왜 ICE가 우리를 체포했는지, 그리고 왜 일주일이나 우리를 붙잡아뒀는지 그 이유를 알고 싶다"고 호소했다.
백악관 아비게일 잭슨 대변인은 ABC에 보낸 입장문에서 "모든 외국인 근로자는 적법한 노동 허가를 받아 미국에 입국해야 한다"며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을 사업하기 가장 좋은 나라로 만들려 하지만, 연방 이민법도 철저히 집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현대차는 "공장은 2026년 상반기에 완공 예정이며, 모든 법과 규정을 준수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YTN digital 이유나 (lyn@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