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반도체 업체 넥스페리아를 둘러싼 중국과 네덜란드의 갈등으로 글로벌 업체들의 자동차 생산이 차질을 빚는 가운데, 중국 상무부가 현재의 공급망 혼란의 근원과 책임이 네덜란드 측에 있다며 비판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중국 상무부 대변인은 8일 홈페이지에 게재한 자료를 통해 "네덜란드 측이 중국 기업의 합법적 권익을 침해하고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의 안정을 회복하기 위한 실질적 행동을 보이지 않고 있다"며 이같이 주장했습니다.
해당 발언은 최근 빈센트 카레만스 네덜란드 경제부 장관이 자신의 SNS에 "넥스페리아 반도체가 며칠 안에 유럽과 전 세계에 공급될 것이라고 믿는다"고 게재한 것에 대한 상무부 입장을 요청한 기자 질의에 대변인이 답하는 형태로 발표됐습니다.
카레만스 장관은 현지 시간 6일 SNS에 "미중 무역 협정에 따라 중국 넥스페리아 공장이 반도체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는 통보를 중국과 미국으로부터 받았다"면서 "이는 중국 상무부가 유럽 위원회에 제공한 정보와도 일치한다"고 밝혔습니다.
상무부 대변인은 이에 대해 "중국은 네덜란드가 말뿐인 입장 표명에 그치지 말고, 실질적이고 건설적인 방안을 조속히 제시해 실제 행동에 나서서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의 안정을 회복시키기를 희망한다"면서 "행정적 수단으로 기업 내부 사무에 개입·간섭하는 행위를 중단해 넥스페리아 문제를 조속히 해결하길 바란다"고 촉구했습니다.
넥스페리아는 네덜란드에 본사를 둔 회사지만, 2019년 중국 최대 스마트폰 조립 업체인 윙테크가 지분 전량을 인수해 실질 지배권은 중국에 있습니다.
미국은 대중(對中) 반도체 통제의 연장선에서 지난 9월 넥스페리아를 제재 리스트에 올렸고, 네덜란드 정부도 그에 발맞춰 이 회사의 자산·지식재산권을 동결하고 경영권을 박탈했습니다.
중국 상무부는 즉각 반발하며 넥스페리아 제품 약 80%를 생산하는 중국 내 핵심 시설의 수출을 막았습니다.
현대자동차·폴크스바겐·BMW·메르세데스-벤츠·도요타 등 완성차 기업에 쓰이는 범용 반도체를 생산하는 해당 시설이 수출을 막자, 관련 업계는 생산에 차질을 빚게 됐습니다.
이후 지난달 30일 부산 정상회담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상호 수출 통제 조치를 일부 유예하기로 하면서, 네덜란드는 난처한 상황에 놓이게 됐습니다.
네덜란드 정부는 이와 관련해 "중국 당국 및 국제 파트너들과 계속 접촉하면서 반도체 공급망 균형을 회복하고 넥스페리아 및 우리 경제에 좋은 건설적 해결책을 찾고자 노력 중"이라는 원론적 입장만 내놨습니다.
이달 1일 중국 상무부는 기업 상황을 고려해 조건에 부합하는 수출(신청)에 면제를 부여할 것이라고 밝히면서도, 네덜란드 정부를 향해서는 부당한 간섭으로 글로벌 산업·공급망 혼란을 초래했다고 비판했습니다.
상무부는 4일에도 재차 입장문을 내고 "중국은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의 안정·안전에 대한 책임지는 태도로 조건에 부합하는 수출에 (금지 조치를) 면제해 넥스페리아(중국)의 공급 재개 촉진을 위해 노력한다고 선포했다"며 "하지만 네덜란드는 계속 고집스레 문제를 해결하는 실제 행동을 취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한편, 블룸버그 통신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일부 자동차 제조업체들과 부품 유통업체들이 중국 상무부에 수출 통제 예외(면제) 승인을 신청하기 시작했지만, 실제로 어떤 기업들이 반도체를 받았는지는 알려진 바 없습니다.
YTN 김잔디 (jandi@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중국 상무부 대변인은 8일 홈페이지에 게재한 자료를 통해 "네덜란드 측이 중국 기업의 합법적 권익을 침해하고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의 안정을 회복하기 위한 실질적 행동을 보이지 않고 있다"며 이같이 주장했습니다.
해당 발언은 최근 빈센트 카레만스 네덜란드 경제부 장관이 자신의 SNS에 "넥스페리아 반도체가 며칠 안에 유럽과 전 세계에 공급될 것이라고 믿는다"고 게재한 것에 대한 상무부 입장을 요청한 기자 질의에 대변인이 답하는 형태로 발표됐습니다.
카레만스 장관은 현지 시간 6일 SNS에 "미중 무역 협정에 따라 중국 넥스페리아 공장이 반도체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는 통보를 중국과 미국으로부터 받았다"면서 "이는 중국 상무부가 유럽 위원회에 제공한 정보와도 일치한다"고 밝혔습니다.
상무부 대변인은 이에 대해 "중국은 네덜란드가 말뿐인 입장 표명에 그치지 말고, 실질적이고 건설적인 방안을 조속히 제시해 실제 행동에 나서서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의 안정을 회복시키기를 희망한다"면서 "행정적 수단으로 기업 내부 사무에 개입·간섭하는 행위를 중단해 넥스페리아 문제를 조속히 해결하길 바란다"고 촉구했습니다.
넥스페리아는 네덜란드에 본사를 둔 회사지만, 2019년 중국 최대 스마트폰 조립 업체인 윙테크가 지분 전량을 인수해 실질 지배권은 중국에 있습니다.
미국은 대중(對中) 반도체 통제의 연장선에서 지난 9월 넥스페리아를 제재 리스트에 올렸고, 네덜란드 정부도 그에 발맞춰 이 회사의 자산·지식재산권을 동결하고 경영권을 박탈했습니다.
중국 상무부는 즉각 반발하며 넥스페리아 제품 약 80%를 생산하는 중국 내 핵심 시설의 수출을 막았습니다.
현대자동차·폴크스바겐·BMW·메르세데스-벤츠·도요타 등 완성차 기업에 쓰이는 범용 반도체를 생산하는 해당 시설이 수출을 막자, 관련 업계는 생산에 차질을 빚게 됐습니다.
이후 지난달 30일 부산 정상회담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상호 수출 통제 조치를 일부 유예하기로 하면서, 네덜란드는 난처한 상황에 놓이게 됐습니다.
네덜란드 정부는 이와 관련해 "중국 당국 및 국제 파트너들과 계속 접촉하면서 반도체 공급망 균형을 회복하고 넥스페리아 및 우리 경제에 좋은 건설적 해결책을 찾고자 노력 중"이라는 원론적 입장만 내놨습니다.
이달 1일 중국 상무부는 기업 상황을 고려해 조건에 부합하는 수출(신청)에 면제를 부여할 것이라고 밝히면서도, 네덜란드 정부를 향해서는 부당한 간섭으로 글로벌 산업·공급망 혼란을 초래했다고 비판했습니다.
상무부는 4일에도 재차 입장문을 내고 "중국은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의 안정·안전에 대한 책임지는 태도로 조건에 부합하는 수출에 (금지 조치를) 면제해 넥스페리아(중국)의 공급 재개 촉진을 위해 노력한다고 선포했다"며 "하지만 네덜란드는 계속 고집스레 문제를 해결하는 실제 행동을 취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한편, 블룸버그 통신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일부 자동차 제조업체들과 부품 유통업체들이 중국 상무부에 수출 통제 예외(면제) 승인을 신청하기 시작했지만, 실제로 어떤 기업들이 반도체를 받았는지는 알려진 바 없습니다.
YTN 김잔디 (jandi@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