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달 하순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 사실상 전면 보이콧을 선언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현지 시간 7일 자신의 SNS에 글을 올려 올해 G20 회의에 미국 당국자들이 참석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남아공에서 G20 회의가 열리는 것은 정말 부끄러운 일"이라며 네덜란드 정착민 후손인 '아프리카너'들이 땅·농장 몰수, 살인·폭력 등 피해를 보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남아공 정부가 아프리카너를 박해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G20 회의 불참을 공언해왔습니다.
당초 트럼프 대통령을 대신해 J.D. 밴스 부통령이 G20에 참석할 것으로 알려졌지만 이마저도 '없던 일'이 됐습니다.
영국 가디언은 익명을 요구한 한 당국자를 인용, 밴스 부통령이 G20 정상회에 참석하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남아공 정부가 소수 백인 농민의 박해를 방치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남아공 정부는 인종차별이 끝난 지 30년이 지난 뒤에도 여전히 백인의 생활 수준이 흑인들보다 훨씬 더 높다고 반박합니다.
시릴 라마포사 남아공 대통령은 이런 내용을 트럼프 대통령에게 직접 설명하기도 했습니다.
남아공 정부의 이런 노력에도 G20 회의를 향한 트럼프 행정부의 비판은 계속되고 있습니다.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은 올해 2월 남아공에서 열린 G20 외교장관회의를 보이콧했고,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도 7월에 열린 G20 재무장관·중앙은행총재회의에 불참했습니다.
G20 주제인 '연대, 평등, 지속가능성'이 결국 '반미주의'라는 이유에서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5월 백악관을 방문한 라마포사 대통령의 면전에서 남아공의 백인 농부 집단 살해 의혹을 주장하며 면박을 주기도 했습니다.
미국 정부는 지난달 미국의 난민 수용 규모를 대폭 줄이면서 동시에 남아공 백인은 우대해 수용하기로 결정했는데, 남아공 정부가 이들을 박해하고 있다는 이유에서입니다.
YTN 김잔디 (jandi@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트럼프 대통령은 현지 시간 7일 자신의 SNS에 글을 올려 올해 G20 회의에 미국 당국자들이 참석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남아공에서 G20 회의가 열리는 것은 정말 부끄러운 일"이라며 네덜란드 정착민 후손인 '아프리카너'들이 땅·농장 몰수, 살인·폭력 등 피해를 보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남아공 정부가 아프리카너를 박해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G20 회의 불참을 공언해왔습니다.
당초 트럼프 대통령을 대신해 J.D. 밴스 부통령이 G20에 참석할 것으로 알려졌지만 이마저도 '없던 일'이 됐습니다.
영국 가디언은 익명을 요구한 한 당국자를 인용, 밴스 부통령이 G20 정상회에 참석하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남아공 정부가 소수 백인 농민의 박해를 방치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남아공 정부는 인종차별이 끝난 지 30년이 지난 뒤에도 여전히 백인의 생활 수준이 흑인들보다 훨씬 더 높다고 반박합니다.
시릴 라마포사 남아공 대통령은 이런 내용을 트럼프 대통령에게 직접 설명하기도 했습니다.
남아공 정부의 이런 노력에도 G20 회의를 향한 트럼프 행정부의 비판은 계속되고 있습니다.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은 올해 2월 남아공에서 열린 G20 외교장관회의를 보이콧했고,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도 7월에 열린 G20 재무장관·중앙은행총재회의에 불참했습니다.
G20 주제인 '연대, 평등, 지속가능성'이 결국 '반미주의'라는 이유에서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5월 백악관을 방문한 라마포사 대통령의 면전에서 남아공의 백인 농부 집단 살해 의혹을 주장하며 면박을 주기도 했습니다.
미국 정부는 지난달 미국의 난민 수용 규모를 대폭 줄이면서 동시에 남아공 백인은 우대해 수용하기로 결정했는데, 남아공 정부가 이들을 박해하고 있다는 이유에서입니다.
YTN 김잔디 (jandi@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