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영국 반독점 당국이 미국의 애플과 구글에 '전략적 시장 지위'(SMS)를 부여하면서 더 광범위한 조사를 예고했습니다.
두 회사는 곧바로 반발했습니다.
영국 경쟁시장청(CMA)은 현지 시간 22일, 두 업체가 모바일 운영체제와 앱스토어, 모바일 웹 브라우저 시장에서 상당하고 공고한 시장 지배력과 전략적 중요성을 지니고 있어 SMS 기업으로 지정했다고 밝혔습니다.
SMS는 올해부터 시행된 '디지털시장법'에 따라 도입됐습니다.
불공정 경쟁 기업으로 판단하는 의미는 아니지만, 경쟁 촉진과 혁신 증진을 위한 조치를 요구하는 등 당국이 개입할 근거가 됩니다.
CMA의 디지털 시장 담당 이사 윌 헤이터는 "앱 경제는 영국 국내총생산(GDP)의 1.5%를 창출하고 약 40만 개의 일자리를 지원한다"며 "이 시장이 기업에 유리하게 작동해 투자와 혁신을 촉진하고 영국에 필요한 성장을 주도할 수 있도록 하는 게 중요하다"고 밝혔습니다.
구글의 올리버 베델 수석 경쟁 담당 이사는 이번 결정에 대해 "실망스럽고 불균형적이며 부당하다"고 밝혔다고 블룸버그통신이 전했습니다.
애플 대변인도 성명에서 "영국이 유럽연합(EU) 식 규정을 도입하면 애플의 제품과 서비스 개발이 저해되고, 사용자의 개인정보 보호 및 보안 수준이 약화할 것"이라며 "EU의 규제가 애플 사용자에게 미친 영향을 목격했는데 영국이 같은 길을 따르지 않길 촉구한다"고 밝혔습니다.
YTN 유투권 (r2kw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두 회사는 곧바로 반발했습니다.
영국 경쟁시장청(CMA)은 현지 시간 22일, 두 업체가 모바일 운영체제와 앱스토어, 모바일 웹 브라우저 시장에서 상당하고 공고한 시장 지배력과 전략적 중요성을 지니고 있어 SMS 기업으로 지정했다고 밝혔습니다.
SMS는 올해부터 시행된 '디지털시장법'에 따라 도입됐습니다.
불공정 경쟁 기업으로 판단하는 의미는 아니지만, 경쟁 촉진과 혁신 증진을 위한 조치를 요구하는 등 당국이 개입할 근거가 됩니다.
CMA의 디지털 시장 담당 이사 윌 헤이터는 "앱 경제는 영국 국내총생산(GDP)의 1.5%를 창출하고 약 40만 개의 일자리를 지원한다"며 "이 시장이 기업에 유리하게 작동해 투자와 혁신을 촉진하고 영국에 필요한 성장을 주도할 수 있도록 하는 게 중요하다"고 밝혔습니다.
구글의 올리버 베델 수석 경쟁 담당 이사는 이번 결정에 대해 "실망스럽고 불균형적이며 부당하다"고 밝혔다고 블룸버그통신이 전했습니다.
애플 대변인도 성명에서 "영국이 유럽연합(EU) 식 규정을 도입하면 애플의 제품과 서비스 개발이 저해되고, 사용자의 개인정보 보호 및 보안 수준이 약화할 것"이라며 "EU의 규제가 애플 사용자에게 미친 영향을 목격했는데 영국이 같은 길을 따르지 않길 촉구한다"고 밝혔습니다.
YTN 유투권 (r2kw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