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J.D. 밴스 미국 부통령은 미군이 이스라엘과 하마스의 휴전 합의 이행을 감시하겠지만 가자 지구에 직접 주둔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행정부 입장을 재확인했습니다.
밴스 부통령은 현지 시간 12일 ABC뉴스 인터뷰에서 이스라엘과 가자에 병력을 배치하는 게 우리의 의도나 계획은 아니라며 평화가 지속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감시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이미 중부사령부에 배치된 군인들이 휴전 합의를 감시할 것이라면서 "이스라엘군이 합의한 경계선까지 철수하는지, 하마스가 무고한 이스라엘인들을 공격하지 않는지, 평화가 실제로 지속되고 오래 가는지 보장하기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일을 포함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앞서 트럼프 행정부는 중부사령부가 휴전 합의 지원을 위해 약 200명의 병력을 파견할 예정이라고 밝히면서 정확한 위치를 공개하지 않아 미국 내에서 위험한 가자 현장에 미군이 주둔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돼왔습니다.
밴스 부통령은 또 하마스가 붙잡고 있는 인질 20명이 이스라엘 현지 시간 13일 오전에 석방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습니다.
이와 함께 밴스 부통령은 트럼프 행정부가 민주당 성향 도시에 주 방위군을 보내기 위해 내란법 발동을 검토하냐는 질문에 "대통령은 모든 선택지를 들여다보고 있지만 내란법을 발동할 필요를 느끼지 못했다"고 답했습니다.
YTN 정유신 (yusi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밴스 부통령은 현지 시간 12일 ABC뉴스 인터뷰에서 이스라엘과 가자에 병력을 배치하는 게 우리의 의도나 계획은 아니라며 평화가 지속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감시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이미 중부사령부에 배치된 군인들이 휴전 합의를 감시할 것이라면서 "이스라엘군이 합의한 경계선까지 철수하는지, 하마스가 무고한 이스라엘인들을 공격하지 않는지, 평화가 실제로 지속되고 오래 가는지 보장하기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일을 포함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앞서 트럼프 행정부는 중부사령부가 휴전 합의 지원을 위해 약 200명의 병력을 파견할 예정이라고 밝히면서 정확한 위치를 공개하지 않아 미국 내에서 위험한 가자 현장에 미군이 주둔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돼왔습니다.
밴스 부통령은 또 하마스가 붙잡고 있는 인질 20명이 이스라엘 현지 시간 13일 오전에 석방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습니다.
이와 함께 밴스 부통령은 트럼프 행정부가 민주당 성향 도시에 주 방위군을 보내기 위해 내란법 발동을 검토하냐는 질문에 "대통령은 모든 선택지를 들여다보고 있지만 내란법을 발동할 필요를 느끼지 못했다"고 답했습니다.
YTN 정유신 (yusi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