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2년 연속 노벨상 수상자 배출...AI·양자 선두 주자 입증

구글, 2년 연속 노벨상 수상자 배출...AI·양자 선두 주자 입증

2025.10.08. 오전 04:33.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세계 최대 검색 엔진 업체 구글이 2년 연속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했습니다.

현지 시간 7일,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위원회가 발표한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에 존 클라크, 미셸 드보레, 존 마티니스 등 3인이 선정됐습니다.

이들은 거시 규모에서 나타나는 양자역학적 효과를 연구한 공로를 인정받았습니다.

이 가운데 드보레는 미국 예일대와 샌타바버라 캘리포니아대(UC샌타바버라) 교수이면서 구글 양자 AI(Google Quantum AI)의 수석 과학자이기도 합니다.

프랑스 파리 출신의 그는 구글이 지난해 '윌로우(Willow)'라는 양자 칩으로 구동되는 컴퓨터가 세계 최첨단 슈퍼컴퓨터로는 10의 25제곱년이 걸리는 문제를 5분 만에 해결했다며 발표한 논문에 이름을 올렸습니다.

UC샌타바버라 명예교수인 마티니스는 2014년 구글에 합류해 2020년 구글을 떠날 때까지 '양자 우위'(quantum supremacy) 달성을 목표로 유용한 양자 하드웨어를 구축하는 프로젝트를 이끌었습니다.

양자 우위는 양자 컴퓨터가 고전적인 컴퓨터보다 더 빠르게 특정 과제를 수행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후 구글은 2019년 실제로 양자 우위를 달성했다면서, 자체 제작한 칩으로 구동되는 컴퓨터가 가장 빠른 슈퍼컴퓨터로는 약 1만 년이 걸릴 작업을 200초 만에 수행해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는 기술 기업들과 스타트업들 사이에서 양자 컴퓨팅 분야의 주도권을 잡기 위한 경쟁을 촉발했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지난해 노벨 화학상 수상자(3명) 명단에는 구글 AI 조직인 딥마인드의 데미스 허사비스 최고경영자(CEO)와 존 점퍼 연구원이 이름을 올렸습니다.

허사비스는 바둑 AI로 유명한 알파고의 아버지로 불리며, 단백질 구조를 파악하는 AI 모델 '알파폴드'를 개발한 주역이기도 합니다.

또 지난해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명단에는 구글 부사장을 지낸 제프리 힌턴 캐나다 토론토대 교수(공동 수상)가 포함됐습니다.

'AI 대부'로 평가받는 힌턴 교수는 2013년 자신이 개발한 AI 이미지 인식 기술이 인수되면서 구글에 합류했다가 2023년 구글을 떠났습니다.

그는 AI의 발전을 "무섭다"고 말하는 등 AI 기술의 인류 위협을 경고해왔습니다.

2022년 11월 출시된 생성형 AI인 챗GPT로 전 세계 AI 열풍이 불면서 AI는 지난해 노벨상을 접수했습니다.

양자 컴퓨팅은 의약과 에너지 등 분야에서 기존 슈퍼컴퓨터로도 풀지 못했던 인류의 난제를 해결할 기술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구글이 지난해 AI에 이어 올해에는 양자 컴퓨팅으로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하면서 최첨단 기술의 선두 주자임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습니다.




YTN 신윤정 (yjshine@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