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최근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전문직 비자, H-1B 비자 수수료를 무려 100배나 올려서 논란인데요.
사실상 인도를 겨냥한 조치였지만, 정작 미국 기업들과 의료계가 타격을 입는다는 반발이 커지자 뒤늦게 봉합에 나섰지만, 혼란만 키우고 있다는 지적입니다.
김선중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사]
지난해 미국에서 전문직 비자인 'H-1B' 비자를 받은 사람은 인도 출신이 28만 명으로 전체의 71%를 차지합니다.
중국이 그다음이지만 4만6천 명으로 12%에 불과합니다.
결국, 전문직 비자 수수료 인상은 사실상 관세 협상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갈등을 빚은 인도 정부를 직접 겨냥한 조치입니다.
[도널드 트럼프 / 미국 대통령 : 10만 달러 (1억4천만 원) 내기 싫겠죠? 그럼 미국인을 고용하세요. 미국인을 뽑으면 혜택이 있을 겁니다.]
하지만 수수료 인상으로 정작 발등에 불이 떨어진 건 미국 의료계입니다.
현재 미국 의사 4명 가운데 한 명은 해외에서 의대를 졸업했는데, 이 중 인도 출신이 23%에 달합니다.
대부분 H-1B 비자로 들어와 의료진이 부족한 지역에서 활동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당장 의료진 수급에 비상이 걸린 미국병원협회가 항의하고 나서자, 백악관은 의사의 경우 예외를 인정할 수 있다고 한발 물러섰지만. 추가대책은 여전히 불투명합니다.
[벤자민 존슨 / 미국이민변호사협회 사무총장 : 매우 무책임하고 무분별한 이번 조치는 미국 전역을 큰 혼란에 빠뜨릴 겁니다.]
여기다 구글이나 아마존 같은 주요 미국 기업들의 볼멘소리도 작지 않아서 제외 대상이 더 늘어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옵니다.
결국, 인도를 겨냥한 트럼프의 비자 공격은 별 효과도 없이 미국 내 혼란만 키울 것이라는 지적입니다.
YTN 김선중입니다
영상편집:한경희
YTN 김선중 (kimsj@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최근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전문직 비자, H-1B 비자 수수료를 무려 100배나 올려서 논란인데요.
사실상 인도를 겨냥한 조치였지만, 정작 미국 기업들과 의료계가 타격을 입는다는 반발이 커지자 뒤늦게 봉합에 나섰지만, 혼란만 키우고 있다는 지적입니다.
김선중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사]
지난해 미국에서 전문직 비자인 'H-1B' 비자를 받은 사람은 인도 출신이 28만 명으로 전체의 71%를 차지합니다.
중국이 그다음이지만 4만6천 명으로 12%에 불과합니다.
결국, 전문직 비자 수수료 인상은 사실상 관세 협상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갈등을 빚은 인도 정부를 직접 겨냥한 조치입니다.
[도널드 트럼프 / 미국 대통령 : 10만 달러 (1억4천만 원) 내기 싫겠죠? 그럼 미국인을 고용하세요. 미국인을 뽑으면 혜택이 있을 겁니다.]
하지만 수수료 인상으로 정작 발등에 불이 떨어진 건 미국 의료계입니다.
현재 미국 의사 4명 가운데 한 명은 해외에서 의대를 졸업했는데, 이 중 인도 출신이 23%에 달합니다.
대부분 H-1B 비자로 들어와 의료진이 부족한 지역에서 활동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당장 의료진 수급에 비상이 걸린 미국병원협회가 항의하고 나서자, 백악관은 의사의 경우 예외를 인정할 수 있다고 한발 물러섰지만. 추가대책은 여전히 불투명합니다.
[벤자민 존슨 / 미국이민변호사협회 사무총장 : 매우 무책임하고 무분별한 이번 조치는 미국 전역을 큰 혼란에 빠뜨릴 겁니다.]
여기다 구글이나 아마존 같은 주요 미국 기업들의 볼멘소리도 작지 않아서 제외 대상이 더 늘어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옵니다.
결국, 인도를 겨냥한 트럼프의 비자 공격은 별 효과도 없이 미국 내 혼란만 키울 것이라는 지적입니다.
YTN 김선중입니다
영상편집:한경희
YTN 김선중 (kimsj@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