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올해 노벨 물리학상을 공동 수상한 존 클라크 미국 UC버클리 교수는 수상 소식을 접하고 '인생 최고의 놀라움'이라고 소감을 밝혔습니다.
영국 출신의 클라크 교수는 현지시간 7일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위원회의 발표 직후 언론과의 통화에서 정말 깜짝 놀랐다며 우리 연구가 노벨상의 기반이 될 수 있다는 생각은 전혀 해본 적이 없다고 전했습니다.
클라크 교수는 함께 상을 받은 미셸 드보레 예일대 교수, 존 마티니스 UC 샌타바버라 교수에게 경의를 표하며 "그들의 공헌이 압도적"이라고 밝혔습니다.
또 "우리의 발견은 어떤 면에서는 양자 컴퓨팅의 기반이라 할 수 있다"며 "휴대전화가 작동하는 근본적인 이유 중 하나는 바로 이 모든 연구 덕분"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클라크 교수 등 3인은 거시적인 규모에서 나타나는 양자역학적 효과를 연구한 공로로 노벨물리학상을 받았습니다.
노벨위원회는 양자역학은 모든 디지털 기술의 기반으로 매우 유용하다며, 올해 수상자들이 양자컴퓨터, 양자 센서 등 차세대 양자 기술 개발의 기회를 제공했다고 평가했습니다.
YTN 김선중 (kimsj@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영국 출신의 클라크 교수는 현지시간 7일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위원회의 발표 직후 언론과의 통화에서 정말 깜짝 놀랐다며 우리 연구가 노벨상의 기반이 될 수 있다는 생각은 전혀 해본 적이 없다고 전했습니다.
클라크 교수는 함께 상을 받은 미셸 드보레 예일대 교수, 존 마티니스 UC 샌타바버라 교수에게 경의를 표하며 "그들의 공헌이 압도적"이라고 밝혔습니다.
또 "우리의 발견은 어떤 면에서는 양자 컴퓨팅의 기반이라 할 수 있다"며 "휴대전화가 작동하는 근본적인 이유 중 하나는 바로 이 모든 연구 덕분"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클라크 교수 등 3인은 거시적인 규모에서 나타나는 양자역학적 효과를 연구한 공로로 노벨물리학상을 받았습니다.
노벨위원회는 양자역학은 모든 디지털 기술의 기반으로 매우 유용하다며, 올해 수상자들이 양자컴퓨터, 양자 센서 등 차세대 양자 기술 개발의 기회를 제공했다고 평가했습니다.
YTN 김선중 (kimsj@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