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중국이 동북 지역 랴오닝성 다롄(大連) 조선소에서 랴오닝함·산둥함·푸젠함에 이은 네 번째 항공모함인 핵 추진 항모를 건조 중이라고 타이완 매체가 1일 전했습니다.
타이완 중국시보는 외신과 전문가 의견을 인용, 중국이 함재기 90대 이상을 탑재할 수 있는 004형 핵 추진 항모 건조에 착수하며 '대양 해군'으로 변모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중국시보는 중국의 새 항모가 미국의 제너럴 R.포드급에 필적할 역량을 갖췄다며, 배수량이 11만∼12만t에 달하고 길이는 330∼340m에 이를 것이라고 추정했습니다.
취역을 앞둔 3호 항모 푸젠함(배수량 8만5천t·320m)보다 규모가 커진 셈입니다.
이런 004형 항모에는 J-15T 중형 공격기 24∼30대와 J-35 스텔스기 20대 이상, KJ-600 조기경보기, 각종 무인기(드론) 등 90대 이상의 함재기가 실릴 것이라며, 이는 약 75대의 함재기를 탑재할 수 있는 미국 제너럴 R.포드급 항공모함을 앞선다고 매체는 전했습니다.
또 004형 항모가 중국 해군 최초로 핵 추진 방식을 채택할 예정이며, 400∼500㎿ 효율의 가압수형 원자로 2기를 통해 '무제한 항해'를 뒷받침할 것이라고 신문은 설명했습니다.
아울러 매체는 004형 항모가 서방 국가 '슈퍼 항모'의 갑판 공간 및 격납고, 후방 지원 설계를 모방했고, 푸젠함과 마찬가지로 '전자기 캐터펄트' 이륙 방식을 채용했다고 덧붙였습니다.
항공모함 갑판에서 함재기를 곧장 쏘아 올리는 전자기 캐터펄트 방식은 제한된 시간에 더 많은 이륙을 가능케 한다. 제너럴 R.포드함과 푸젠함 등이 전자기 캐터펄트 장치를 갖췄습니다.
중국이 네 번째 항공모함 건조에 들어갔다는 관측은 지난해에도 나왔습니다.
당시 홍콩 동방일보는 중국이 다롄 조선소에서 선체 너비가 약 40m에 달하는 항모를 만들기 시작했다며 진수까지 약 6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습니다.
지난해 3월 중국 연례 최대 정치행사 양회(兩會·전국인민대표대회와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에 대표 자격으로 참석한 위안화즈 중국군 해군 정치위원(상장)은 4호 항모에 관한 취재진의 질문에 "건조 중인 중국 항공모함에 기술적 병목 현상은 없다"고 답변했습니다.
그는 이 항모가 핵 추진 방식인지에 대해선 대해서는 "매우 이른 시일 내에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중국 국방부는 004형 항모 건조 상황을 공식 확인하지 않고 있습니다.
장샤오강 중국 국방부 대변인은 지난달 25일 정례 브리핑에서 핵 추진 방식의 중국 4호 항모가 다롄에서 곧 건조될 것이라는 외신 보도에 대해 "나는 구체적 상황을 파악하지 않고 있다"면서 "강조해야 할 것은 우리는 시종일관 국가 안보의 수요와 장비 기술의 발전에 근거해 항모 건설을 추진한다는 점"이라고 했습니다.
YTN 권영희 (kwonyh@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타이완 중국시보는 외신과 전문가 의견을 인용, 중국이 함재기 90대 이상을 탑재할 수 있는 004형 핵 추진 항모 건조에 착수하며 '대양 해군'으로 변모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중국시보는 중국의 새 항모가 미국의 제너럴 R.포드급에 필적할 역량을 갖췄다며, 배수량이 11만∼12만t에 달하고 길이는 330∼340m에 이를 것이라고 추정했습니다.
취역을 앞둔 3호 항모 푸젠함(배수량 8만5천t·320m)보다 규모가 커진 셈입니다.
이런 004형 항모에는 J-15T 중형 공격기 24∼30대와 J-35 스텔스기 20대 이상, KJ-600 조기경보기, 각종 무인기(드론) 등 90대 이상의 함재기가 실릴 것이라며, 이는 약 75대의 함재기를 탑재할 수 있는 미국 제너럴 R.포드급 항공모함을 앞선다고 매체는 전했습니다.
또 004형 항모가 중국 해군 최초로 핵 추진 방식을 채택할 예정이며, 400∼500㎿ 효율의 가압수형 원자로 2기를 통해 '무제한 항해'를 뒷받침할 것이라고 신문은 설명했습니다.
아울러 매체는 004형 항모가 서방 국가 '슈퍼 항모'의 갑판 공간 및 격납고, 후방 지원 설계를 모방했고, 푸젠함과 마찬가지로 '전자기 캐터펄트' 이륙 방식을 채용했다고 덧붙였습니다.
항공모함 갑판에서 함재기를 곧장 쏘아 올리는 전자기 캐터펄트 방식은 제한된 시간에 더 많은 이륙을 가능케 한다. 제너럴 R.포드함과 푸젠함 등이 전자기 캐터펄트 장치를 갖췄습니다.
중국이 네 번째 항공모함 건조에 들어갔다는 관측은 지난해에도 나왔습니다.
당시 홍콩 동방일보는 중국이 다롄 조선소에서 선체 너비가 약 40m에 달하는 항모를 만들기 시작했다며 진수까지 약 6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습니다.
지난해 3월 중국 연례 최대 정치행사 양회(兩會·전국인민대표대회와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에 대표 자격으로 참석한 위안화즈 중국군 해군 정치위원(상장)은 4호 항모에 관한 취재진의 질문에 "건조 중인 중국 항공모함에 기술적 병목 현상은 없다"고 답변했습니다.
그는 이 항모가 핵 추진 방식인지에 대해선 대해서는 "매우 이른 시일 내에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중국 국방부는 004형 항모 건조 상황을 공식 확인하지 않고 있습니다.
장샤오강 중국 국방부 대변인은 지난달 25일 정례 브리핑에서 핵 추진 방식의 중국 4호 항모가 다롄에서 곧 건조될 것이라는 외신 보도에 대해 "나는 구체적 상황을 파악하지 않고 있다"면서 "강조해야 할 것은 우리는 시종일관 국가 안보의 수요와 장비 기술의 발전에 근거해 항모 건설을 추진한다는 점"이라고 했습니다.
YTN 권영희 (kwonyh@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