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성 8백명 모은 트럼프 "핵 역량 업그레이드"...미 연방정부 셧다운 초읽기

장성 8백명 모은 트럼프 "핵 역량 업그레이드"...미 연방정부 셧다운 초읽기

2025.10.01. 오전 04:58.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트럼프 미 대통령이 전 세계 미군 부대 지휘관을 소집한 회의에서 이념 대신 군의 능력주의를 강조하고 핵 역량도 업그레이드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예산안을 둘러싼 협상이 불발되면서 미 연방정부의 일시 업무정지, 셧다운이 초읽기에 들어갔습니다.

워싱턴 연결합니다. 홍상희 특파원

전 세계에서 복무 중인 지휘관들을 이례적으로 모두 소집했는데, 국방전략 발표는 없었죠?

[기자]
네. 오늘 오전 버지니아주 콴티코 해병기지에서 전군 지휘관 회의가 열렸는데요.

미국은 물론 전 세계에서 복무하고 있는 장성 가운데 지휘관 수백 명이 소집됐지만, 미군의 국방 전략 발표는 없었고, 능력주의를 강조한 정신교육의 자리가 됐다는 평가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72분 동안 연설을 이어갔는데요. 여기서 자신이 핵을 재건했고, 업그레이드할 거라며 핵 역량을 강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중국과 러시아의 핵 능력이 발전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건데요. 들어보시죠.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우리는 잠수함 분야에서 러시아와 중국보다 25년 앞서 있습니다. 러시아는 실제로 잠수함 분야에서 2위, 중국은 3위죠. 하지만 그들은 따라오고 있습니다. 핵도 훨씬 뒤처져 있지만 5년 안에 같아질 겁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오늘 전군 지휘관 회의에서 군의 우선순위는 본토 수호라고 강조했습니다.

자신의 이민정책인 국경 통제와 이민자 단속을 강조하기 위한 발언으로 보이는데, 미국은 지금 내부로부터 침략을 당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LA와 워싱턴DC에 주 방위군을 투입해 범죄가 줄었다고 주장하면서 이런 도시들을 군과 주 방위군의 훈련기지로 사용해야 한다며 곧 시카고로 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또 미국 군대의 목적은 감정 보호가 아니라 국가를 지키는 거라며 정치적 올바름이 아닌 실력을 기준으로 군대를 운영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앵커]
오늘 전군 지휘관 회의를 소집한 헤그세스 미 국방 장관도 정치적 올바름을 배격하겠다고 밝혔죠?

[기자]
헤그세스 장관은 오늘 연설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마찬가지로 군 내에서 인종과 성에 차별을 두지 않는 정치적 올바름의 리더십 시대는 끝났다고 선언했습니다.

그러면서 미군은 사회적 이슈가 아닌 전투력 강화에만 집중할 거라며 오늘부터 병과의 기준이 남성 기준이 될 거라며 뚱뚱한 군인은 용납하지 않겠다는 말도 했습니다. 들어보시죠.

[피트 헤그세스/미 국방장관 : 솔직히 전투 대형이든 어떤 대형이든 뚱뚱한 군인을 보는 건 지겹습니다. 신병이든 4성 장군이든, 키와 몸무게 기준을 충족하고 신체단련 테스트를 통과해야 합니다.]

또 여군에 대해서도 남성과 같은 체력 기준을 적용할 거라고 말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앞서 국방부 명칭을 전쟁부로 바꾸라고 지시했는데요.

헤그세스 장관은 또 국방부의 시대는 끝났고, 전쟁부의 유일한 임무는 방어가 아닌 전쟁 준비라고 강조했습니다.

미군 내 대규모 고위급 물갈이도 예고했습니다.

앞으로 리더십에 많은 변화가 있을거라며 다음달 군 혁신과 역량 개혁에 대해 발표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앵커]
미 연방정부의 일시적 업무정지 상태인 셧다운이 예상되고 있다고요?

[기자]
네. 어제 트럼프 대통령과 여야 지도부의 합의 도출 실패 이후 오늘도 예산안에 대한 합의점을 찾지 못하면서 셧다운이 현실화할 전망입니다.

미 연방정부의 2025 회계연도는 이곳 시간으로 9월 30일 자정, 한국시간으로 오늘 오후 1시에 종료되는데요.

만약 미 의회가 상원에서 앞서 민주당이 반대해 부결된 7주일짜리 임시 예산안을 오늘 밤 자정까지 처리하지 하지 못할 경우 연방정부는 10월 1일부터 일시적 업무정지 상태에 들어가게 됩니다.

트럼프 대통령도 셧다운이 발생할 것 같다며 민주당을 비난했습니다. 들어보시죠.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글쎄요, 아마도 셧다운이 발생할 겁니다. 그들(민주당)은 불법 이민자들에게 엄청난 메디케어를 제공하고 싶어 하기 때문입니다.]

이번 공화당과 민주당의 협상에서 최대 쟁점은 이른바 오바마 케어 보조금 연장 문제입니다.

민주당은 올해 말 종료되는 보조금을 계속 지급하고, 노인 의료보험인 메디케어의 예산 삭감을 돌려놓으라고 요구하고 있습니다.

셧다운이 시작되면 치안 등 필수 기능을 제외한 연방정부 업무가 중단되고 대부분의 공무원들이 무급 휴직에 들어갑니다.

지난 1980년 이후 미 연방정부에서 14번의 셧다운이 있었고, 트럼프 1기 행정부였던 2018년 12월 34일 동안 가장 긴 셧다운이 이어졌는데요.

오늘 협상이 타결되지 않을 경우 15번째 셧다운 사태가 발생하게 됩니다.

지금까지 워싱턴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영상편집: 강은지


YTN 홍상희 (sa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