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이재명 대통령은 미국과 교착 상태에 있는 무역 협상에서 안전장치 없이 현재 미국의 요구를 수용할 경우, 한국 경제가 1997년 외환위기와 맞먹는 위기에 빠질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대통령 집무실에서 진행된 로이터와의 인터뷰에서 투자 처리 방식에 대한 이견 때문에 한미 간 무역 합의 내용을 문서화 하지 못했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특히 "통화 스와프 없이 미국이 요구하는 방식대로 3,500억 달러를 모두 현금으로 투자한다면, 한국은 1997년 금융위기 당시와 같은 상황에 직면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또 이번 미국 뉴욕 방문을 통해 유엔 총회 연설과 안전보장이사회 토의 주재를 통해 "민주주의 국가 한국이 돌아왔다"는 메시지를 세계에 전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어 "조지아주 구금 사태에 대해 한국 국민이 분노했지만, 이번 단속이 한미 동맹을 훼손하지는 않을 것"이라며,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 근로자 체류 허용을 제안한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했습니다.
YTN 이승윤 (risungyo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이 대통령은 대통령 집무실에서 진행된 로이터와의 인터뷰에서 투자 처리 방식에 대한 이견 때문에 한미 간 무역 합의 내용을 문서화 하지 못했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특히 "통화 스와프 없이 미국이 요구하는 방식대로 3,500억 달러를 모두 현금으로 투자한다면, 한국은 1997년 금융위기 당시와 같은 상황에 직면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또 이번 미국 뉴욕 방문을 통해 유엔 총회 연설과 안전보장이사회 토의 주재를 통해 "민주주의 국가 한국이 돌아왔다"는 메시지를 세계에 전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어 "조지아주 구금 사태에 대해 한국 국민이 분노했지만, 이번 단속이 한미 동맹을 훼손하지는 않을 것"이라며,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 근로자 체류 허용을 제안한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했습니다.
YTN 이승윤 (risungyo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