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뉴욕 총회를 앞두고 영국과 캐나다가 주요 7개국, G7 가운데 처음으로 팔레스타인을 독립 국가로 공식 인정했습니다.
이스라엘은 살인자에게 보상을 주는 행위라며 팔레스타인 국가는 절대 존재하지 못할 것이라고 재차 강조했습니다.
정유신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유엔 총회를 하루 앞둔 현지 시간 21일, 영국과 캐나다, 호주가 팔레스타인을 독립 국가로 공식 인정했습니다.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는 성명을 통해 이같이 발표하고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의 평화로운 미래를 위해 동반자로 협력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이어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도 가자 지구 평화와 '두 국가 해법'에 대한 희망을 되살리기 위해 팔레스타인 국가를 인정한다고 밝혔습니다.
[키어 스타머 / 영국 총리 : 폭력과 고통의 종식, 그리고 모든 당사자의 평화와 안보를 위한 최선의 희망인 두 국가 해법을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주요 7개국, G7 가운데 팔레스타인의 주권을 인정한 것은 영국과 캐나다가 처음입니다.
다만 팔레스타인 국가 인정이 하마스에 대한 보상이 아니라면서 인질 석방을 촉구했습니다.
영국 현지 언론들은 영국 외교사의 부채인 팔레스타인 분쟁 역사에 중대한 국면을 맞았다고 전했습니다.
영국은 지난 1917년 유대인의 팔레스타인 정착을 지지한다는 '밸푸어 선언'으로 분쟁의 씨앗을 제공했다는 평가를 받아왔습니다.
[후삼 점롯 / 팔레스타인 자치정부 영국 주재 대표부 : 영국이 팔레스타인 국민의 고통에 직접적인 역할을 했다는 역사적 불의를 바로잡는 시작입니다.]
영연방 3국의 합류로 193개 유엔 회원국 가운데 팔레스타인을 주권 국가로 인정한 나라는 모두 150개국으로 늘었습니다.
이에 대해 이스라엘은 살인자에게 보상하는 것이나 마찬가지라며 즉각 반발했습니다.
[베냐민 네타냐후 / 이스라엘 총리 : 당신들은 테러리즘에 엄청난 보상을 주고 있습니다. 요르단 강 서쪽 팔레스타인 국가는 절대 존재하지 않을 것입니다.]
이스라엘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추가로 G7 회원국인 프랑스에 이어, 유엔총회 기간 룩셈부르크, 벨기에 등도 잇따라 동참을 선언할 예정입니다.
하지만 미국이 팔레스타인 국가 승인에 반대하고 있어 실제 국가 인정보다 이스라엘 압박을 위한 상징적인 차원에 머물 것이란 전망이 나옵니다.
YTN 정유신입니다.
YTN 정유신 (yusi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뉴욕 총회를 앞두고 영국과 캐나다가 주요 7개국, G7 가운데 처음으로 팔레스타인을 독립 국가로 공식 인정했습니다.
이스라엘은 살인자에게 보상을 주는 행위라며 팔레스타인 국가는 절대 존재하지 못할 것이라고 재차 강조했습니다.
정유신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유엔 총회를 하루 앞둔 현지 시간 21일, 영국과 캐나다, 호주가 팔레스타인을 독립 국가로 공식 인정했습니다.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는 성명을 통해 이같이 발표하고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의 평화로운 미래를 위해 동반자로 협력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이어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도 가자 지구 평화와 '두 국가 해법'에 대한 희망을 되살리기 위해 팔레스타인 국가를 인정한다고 밝혔습니다.
[키어 스타머 / 영국 총리 : 폭력과 고통의 종식, 그리고 모든 당사자의 평화와 안보를 위한 최선의 희망인 두 국가 해법을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주요 7개국, G7 가운데 팔레스타인의 주권을 인정한 것은 영국과 캐나다가 처음입니다.
다만 팔레스타인 국가 인정이 하마스에 대한 보상이 아니라면서 인질 석방을 촉구했습니다.
영국 현지 언론들은 영국 외교사의 부채인 팔레스타인 분쟁 역사에 중대한 국면을 맞았다고 전했습니다.
영국은 지난 1917년 유대인의 팔레스타인 정착을 지지한다는 '밸푸어 선언'으로 분쟁의 씨앗을 제공했다는 평가를 받아왔습니다.
[후삼 점롯 / 팔레스타인 자치정부 영국 주재 대표부 : 영국이 팔레스타인 국민의 고통에 직접적인 역할을 했다는 역사적 불의를 바로잡는 시작입니다.]
영연방 3국의 합류로 193개 유엔 회원국 가운데 팔레스타인을 주권 국가로 인정한 나라는 모두 150개국으로 늘었습니다.
이에 대해 이스라엘은 살인자에게 보상하는 것이나 마찬가지라며 즉각 반발했습니다.
[베냐민 네타냐후 / 이스라엘 총리 : 당신들은 테러리즘에 엄청난 보상을 주고 있습니다. 요르단 강 서쪽 팔레스타인 국가는 절대 존재하지 않을 것입니다.]
이스라엘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추가로 G7 회원국인 프랑스에 이어, 유엔총회 기간 룩셈부르크, 벨기에 등도 잇따라 동참을 선언할 예정입니다.
하지만 미국이 팔레스타인 국가 승인에 반대하고 있어 실제 국가 인정보다 이스라엘 압박을 위한 상징적인 차원에 머물 것이란 전망이 나옵니다.
YTN 정유신입니다.
YTN 정유신 (yusi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