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미국과 중국 간 관세전쟁이 이어지는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3개월여 만에 전화 통화를 했습니다.
중국 관영 매체 인민일보는 오늘(19일) "시 주석이 트럼프 대통령과 통화했다"고 짧게 전했습니다.
이번 통화는 지난 14∼15일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열린 미·중 고위급 무역 협상에서 중국 동영상 플랫폼 틱톡의 미국 사업 처리에 대해 큰 틀의 합의가 이뤄진 데 이어 이뤄졌습니다.
통화에서는 틱톡 문제를 비롯해 관세와 희토류·반도체 수출 통제, 중국의 미국산 대두 구매 등이 논의됐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양측은 또 다음 달 31일부터 이틀간 우리나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를 전후로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을 방문하는 방안을 두고 협상 중인 것으로 전해집니다.
앞서 양 정상은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직전인 올해 1월에 이어 지난 6월에도 통화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6월 통화 당시 "시 주석이 중국 방문을 초청했으며 이에 화답했다"고 밝혔습니다.
YTN 신윤정 (yjshine@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중국 관영 매체 인민일보는 오늘(19일) "시 주석이 트럼프 대통령과 통화했다"고 짧게 전했습니다.
이번 통화는 지난 14∼15일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열린 미·중 고위급 무역 협상에서 중국 동영상 플랫폼 틱톡의 미국 사업 처리에 대해 큰 틀의 합의가 이뤄진 데 이어 이뤄졌습니다.
통화에서는 틱톡 문제를 비롯해 관세와 희토류·반도체 수출 통제, 중국의 미국산 대두 구매 등이 논의됐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양측은 또 다음 달 31일부터 이틀간 우리나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를 전후로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을 방문하는 방안을 두고 협상 중인 것으로 전해집니다.
앞서 양 정상은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직전인 올해 1월에 이어 지난 6월에도 통화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6월 통화 당시 "시 주석이 중국 방문을 초청했으며 이에 화답했다"고 밝혔습니다.
YTN 신윤정 (yjshine@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