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호세 무뇨스 현대차 사장은 한국산 자동차에 대한 미국의 관세율을 현행 25%에서 15%로 낮출 수 있도록 한미 양국이 무역협상 후속 합의에 빨리 도달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말했습니다.
또 미 조지아주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합작 공장 건설 현장에서 한국인들이 체포됐다가 풀려난 사건과 관련해선 전문 기술인력 단기출장에 대한 한미 간 해결책 도출을 기대했습니다.
무뇨스 사장은 미국 뉴욕 맨해튼 '더 셰드'에서 열린 '2025 최고경영자 인베스터 데이'에서 최근 현안과 중장기 전략을 발표하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특히 미국 관세의 재무 영향에 관한 질의에 "이번 실적 전망은 25% 관세율을 기준으로 한 것"이라며 "관세율이 15%로 내려온다면 기존 실적 전망을 유지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현대차는 이번 행사에서 올해 연결 부문 영업이익률 목표를 25% 관세의 영향을 반영해 기존 7∼8%에서 6∼7%로 하향 조정했습니다.
무뇨스 사장은 "사업 운영의 초점은 항상 고객에 있다"며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은 수익을 극대화하고, 더 나은 이익을 얻으려고 노력하는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한국은 지난 7월 자동차 관세를 25%에서 15%로 인하하는 방안을 미국과 합의했지만, 관세 협상 후속 협의를 둘러싸고 난항이 이어지면서 여전히 25% 관세가 유지되는 상태입니다.
반면 일본은 지난 16일부터 미국에 수출하는 자동차 관세를 15%로 인하해 적용받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조지아주 구금 사태와 관련해서는 "구금자 상당수가 현대차 운영을 지원하는 조지아 공장에서 첨단 배터리 생산기술의 최종 보정과 테스트 작업을 담당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무뇨스 사장은 "한미가 단기 출장, 특히 전문 기술 인력에 대한 상호 유익한 해결책을 도출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습니다.
또 "협력 업체 직원들이 억류된 것으로 인해 직원들과 가족들이 겪었을 스트레스와 어려움을 이해하며, 이들이 안전하게 한국으로 돌아간 것에 안도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어 "현대차는 지난 40년간 미국 사회의 일부였고 조지아주에선 15년 이상 사업을 운영해왔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조지아주 신규 공장은 조지아 주 역사상 최대 규모의 경제 개발 프로젝트로, 수천 가구에 장기적인 경제적 혜택을 제공하면서 지역 변화에 기여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가 앞으로도 현대차의 미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소개했습니다.
현대차는 이번 행사에서 전기차의 일시적 수요 둔화, 관세 등 복합위기 돌파를 위해 향후 5년간 77조 3천억 원을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또 2030년 글로벌 판매 목표를 555만 대로 잡고, 60%에 해당하는 330만 대를 전기차(EV), 하이브리드차(HEV) 등 친환경차로 채우겠다고 설명했습니다.
현대차가 해외에서 애널리스트와 기관투자자 등을 상대로 인베스터 데이 행사를 연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무뇨스 사장은 현대차 최고운영책임자(COO) 겸 북미 권역 본부장을 역임한 뒤 지난해 11월 외국인으로는 처음으로 현대차 대표이사 사장에 올랐습니다.
YTN 이승윤 (risungyo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또 미 조지아주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합작 공장 건설 현장에서 한국인들이 체포됐다가 풀려난 사건과 관련해선 전문 기술인력 단기출장에 대한 한미 간 해결책 도출을 기대했습니다.
무뇨스 사장은 미국 뉴욕 맨해튼 '더 셰드'에서 열린 '2025 최고경영자 인베스터 데이'에서 최근 현안과 중장기 전략을 발표하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특히 미국 관세의 재무 영향에 관한 질의에 "이번 실적 전망은 25% 관세율을 기준으로 한 것"이라며 "관세율이 15%로 내려온다면 기존 실적 전망을 유지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현대차는 이번 행사에서 올해 연결 부문 영업이익률 목표를 25% 관세의 영향을 반영해 기존 7∼8%에서 6∼7%로 하향 조정했습니다.
무뇨스 사장은 "사업 운영의 초점은 항상 고객에 있다"며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은 수익을 극대화하고, 더 나은 이익을 얻으려고 노력하는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한국은 지난 7월 자동차 관세를 25%에서 15%로 인하하는 방안을 미국과 합의했지만, 관세 협상 후속 협의를 둘러싸고 난항이 이어지면서 여전히 25% 관세가 유지되는 상태입니다.
반면 일본은 지난 16일부터 미국에 수출하는 자동차 관세를 15%로 인하해 적용받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조지아주 구금 사태와 관련해서는 "구금자 상당수가 현대차 운영을 지원하는 조지아 공장에서 첨단 배터리 생산기술의 최종 보정과 테스트 작업을 담당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무뇨스 사장은 "한미가 단기 출장, 특히 전문 기술 인력에 대한 상호 유익한 해결책을 도출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습니다.
또 "협력 업체 직원들이 억류된 것으로 인해 직원들과 가족들이 겪었을 스트레스와 어려움을 이해하며, 이들이 안전하게 한국으로 돌아간 것에 안도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어 "현대차는 지난 40년간 미국 사회의 일부였고 조지아주에선 15년 이상 사업을 운영해왔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조지아주 신규 공장은 조지아 주 역사상 최대 규모의 경제 개발 프로젝트로, 수천 가구에 장기적인 경제적 혜택을 제공하면서 지역 변화에 기여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가 앞으로도 현대차의 미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소개했습니다.
현대차는 이번 행사에서 전기차의 일시적 수요 둔화, 관세 등 복합위기 돌파를 위해 향후 5년간 77조 3천억 원을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또 2030년 글로벌 판매 목표를 555만 대로 잡고, 60%에 해당하는 330만 대를 전기차(EV), 하이브리드차(HEV) 등 친환경차로 채우겠다고 설명했습니다.
현대차가 해외에서 애널리스트와 기관투자자 등을 상대로 인베스터 데이 행사를 연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무뇨스 사장은 현대차 최고운영책임자(COO) 겸 북미 권역 본부장을 역임한 뒤 지난해 11월 외국인으로는 처음으로 현대차 대표이사 사장에 올랐습니다.
YTN 이승윤 (risungyo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