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미국 이민 당국이 미국에 정박한 유람선의 필리핀인 선원들을 표적으로 마구잡이식 취업비자 취소와 추방 조치를 남발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습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현지시간 15일 호화 유람선 '카니발 선샤인'에서 일하다 미국에서 추방된 필리핀인 요리사 마르셀로 모랄레스의 사례를 소개했습니다.
모랄레스는 지난 6월 28일 유람선이 정박한 미국 버지니아주 노퍽항에 머무르다 미 세관국경보호국(CBP) 요원들에 의해 조사를 받았습니다.
당시 요원들은 약 3시간 동안의 조사에서 마르셀로에게 아동 음란물을 본 것을 인정하라고 압박하며, 5~10년간 감옥에 갇힐 수 있다고 협박했다고 전했습니다.
또 법적인 방어 기회도 주지 않고, 물이나 음식도 주지 않았다며 범죄자 취급을 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후 모랄레스를 포함해 카니발 선샤인의 필리핀인 선원 10명은 미국에서 10년간 일할 수 있는 C1/D 비자가 취소됐다는 통보를 받고 일자리를 모두 잃었습니다.
미국 로스앤젤레스에 소재한 시민단체 '필리핀노동자센터'는 지난 4월 이후 모랄레스처럼 유람선 등에서 일하다가 비자 취소·추방 조치를 당한 필리핀인 선원은 알려진 것만 최소 113명에 이르며, 실제로는 더 많을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모랄레스의 사례와 비슷하게 선원들이 증거도 없고, 기소도 되지 않았지만, 법적 조력도 받지 못한 채 아동 음란물을 봤다는 혐의를 뒤집어쓰고 추방됐다고 지적했습니다.
이 단체 관계자는 현지 방송과 인터뷰에서 트럼프 행정부가 각 기관에 할당한 목표 추방 실적을 채우기 위해 필리핀인 선원들이 표적이 됐을 수 있다는 의혹을 제기했습니다.
최근 로이터 통신은 이민 단속 전담기구인 이민세관단속국(ICE) 직원 9명의 인터뷰를 통해 실적 압박에 대한 반발이 커지고 있다고 폭로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의 이민 정책을 주도하는 스티븐 밀러 백악관 부비서실장은 지난 5월 ICE 회의에 참석해 하루에 3천 명을 체포하라고 지시했습니다.
YTN 김선중 (kimsj@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현지시간 15일 호화 유람선 '카니발 선샤인'에서 일하다 미국에서 추방된 필리핀인 요리사 마르셀로 모랄레스의 사례를 소개했습니다.
모랄레스는 지난 6월 28일 유람선이 정박한 미국 버지니아주 노퍽항에 머무르다 미 세관국경보호국(CBP) 요원들에 의해 조사를 받았습니다.
당시 요원들은 약 3시간 동안의 조사에서 마르셀로에게 아동 음란물을 본 것을 인정하라고 압박하며, 5~10년간 감옥에 갇힐 수 있다고 협박했다고 전했습니다.
또 법적인 방어 기회도 주지 않고, 물이나 음식도 주지 않았다며 범죄자 취급을 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후 모랄레스를 포함해 카니발 선샤인의 필리핀인 선원 10명은 미국에서 10년간 일할 수 있는 C1/D 비자가 취소됐다는 통보를 받고 일자리를 모두 잃었습니다.
미국 로스앤젤레스에 소재한 시민단체 '필리핀노동자센터'는 지난 4월 이후 모랄레스처럼 유람선 등에서 일하다가 비자 취소·추방 조치를 당한 필리핀인 선원은 알려진 것만 최소 113명에 이르며, 실제로는 더 많을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모랄레스의 사례와 비슷하게 선원들이 증거도 없고, 기소도 되지 않았지만, 법적 조력도 받지 못한 채 아동 음란물을 봤다는 혐의를 뒤집어쓰고 추방됐다고 지적했습니다.
이 단체 관계자는 현지 방송과 인터뷰에서 트럼프 행정부가 각 기관에 할당한 목표 추방 실적을 채우기 위해 필리핀인 선원들이 표적이 됐을 수 있다는 의혹을 제기했습니다.
최근 로이터 통신은 이민 단속 전담기구인 이민세관단속국(ICE) 직원 9명의 인터뷰를 통해 실적 압박에 대한 반발이 커지고 있다고 폭로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의 이민 정책을 주도하는 스티븐 밀러 백악관 부비서실장은 지난 5월 ICE 회의에 참석해 하루에 3천 명을 체포하라고 지시했습니다.
YTN 김선중 (kimsj@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