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미국에서 유명 우익 활동가 찰리 커크가 살해된 이후 정치 분열과 폭력이 매우 위험한 수준이라는 우려가 커진 가운데 공화당 내에서 증오의 정치를 끝내자는 목소리가 나와 주목받고 있습니다.
커크 암살 사건이 발생한 유타주의 스펜서 콕스 주지사는 기자회견을 통해 "우리는 폭력에 폭력을 돌려주고 증오에 증오를 돌려줄 수 있는데 그게 정치 폭력의 문제"라고 말했습니다.
또 "항상 상대방을 손가락질할 수 있기 때문에 폭력이 전이되는데 어느 지점에서 출구를 찾지 않으면 훨씬 더 나빠질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정치가 분노처럼 느껴지는 나라를 물려받고 있다"면서 "분노가 유일한 선택지처럼 느껴지지만 다른 길을 선택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젊은 세대는 지금 우리가 고통을 겪는 것과 매우 다른 문화를 만들 기회가 있다"며 "젊은 세대와 다른 세대의 다름을 받아들이고 힘들어도 대화를 하자"고 제안했습니다.
지난 10일 유타주 대학 강연 중 암살된 커크(31)는 우익 단체 '터닝포인트 USA'의 창립자로 젊은 보수층에서 인기가 많아 '마가'(MAGA·트럼프 강성 지지층) 청년의 아이콘 같은 존재였습니다.
커크 암살 이후 극우 활동가들은 커크의 죽음을 기뻐하는 사람들을 폭로하라며 복수를 조장하고 있으며, 아이다호에서는 커크 추모 행사에서 충돌이 발생하기도 했습니다.
월스트리트 저널(WSJ)은 콕스 주지사가 정치적 리더십을 보여줬다면서 정치인은 정파가 아니라 미국인 모두를 대표한다는 점을 트럼프 대통령 등 모든 정치인이 인식해야 한다고 주문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콕스 주지사와 달리 통합을 당부하기보다는 "좌익의 급진주의자들이 문제다. 그들은 사납고 끔찍하며 정치적으로 능숙하다"고 비판했습니다.
WSJ은 콕스 주지사가 재임 기간 공화당과 민주당 간 간극을 좁히려고 노력했으며 이런 태도가 공화당 텃밭인 유타에서 콕스 주지사에 대한 반감을 일으키기도 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콕스 주지사는 2022년 3월 여성으로 성을 전환한 선수의 여성 스포츠 경기 참가를 금지하는 법안에 거부권을 행사했는데 이 결정으로 공화당 내에서 많은 비판을 받았습니다.
콕스 주지사는 2016년에 대권에 도전한 트럼프를 두고 "우리의 위대한 나라가 상징하는 것 중 최악을 대표한다"고 비판했으며, 2020년 대선 때도 트럼프에 투표하지 않았습니다.
콕스 주지사는 2024년 트럼프 당시 대선 후보가 암살 시도를 비껴간 이후에야 트럼프를 지지했으며 트럼프 후보에게 나라를 통합해달라고 요청하는 공개서한을 보냈습니다.
또 소셜미디어 기업들이 중독성 있는 기능을 만들고, 미성년자에 피해를 준다는 이유로 소송을 제기했으며, 어린이의 소셜미디어 사용을 금지하는 법안을 옹호하기도 했습니다.
이어 전날 기자회견에서도 "소셜미디어는 지금 우리 사회의 암"이라면서 "사람들이 기기를 끄고, 잔디를 만지고, 가족을 껴안고, 밖에 나가서 사회에 좋은 일을 하기를 권한다"고 말했습니다.
YTN 이승윤 (risungyo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커크 암살 사건이 발생한 유타주의 스펜서 콕스 주지사는 기자회견을 통해 "우리는 폭력에 폭력을 돌려주고 증오에 증오를 돌려줄 수 있는데 그게 정치 폭력의 문제"라고 말했습니다.
또 "항상 상대방을 손가락질할 수 있기 때문에 폭력이 전이되는데 어느 지점에서 출구를 찾지 않으면 훨씬 더 나빠질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정치가 분노처럼 느껴지는 나라를 물려받고 있다"면서 "분노가 유일한 선택지처럼 느껴지지만 다른 길을 선택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젊은 세대는 지금 우리가 고통을 겪는 것과 매우 다른 문화를 만들 기회가 있다"며 "젊은 세대와 다른 세대의 다름을 받아들이고 힘들어도 대화를 하자"고 제안했습니다.
지난 10일 유타주 대학 강연 중 암살된 커크(31)는 우익 단체 '터닝포인트 USA'의 창립자로 젊은 보수층에서 인기가 많아 '마가'(MAGA·트럼프 강성 지지층) 청년의 아이콘 같은 존재였습니다.
커크 암살 이후 극우 활동가들은 커크의 죽음을 기뻐하는 사람들을 폭로하라며 복수를 조장하고 있으며, 아이다호에서는 커크 추모 행사에서 충돌이 발생하기도 했습니다.
월스트리트 저널(WSJ)은 콕스 주지사가 정치적 리더십을 보여줬다면서 정치인은 정파가 아니라 미국인 모두를 대표한다는 점을 트럼프 대통령 등 모든 정치인이 인식해야 한다고 주문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콕스 주지사와 달리 통합을 당부하기보다는 "좌익의 급진주의자들이 문제다. 그들은 사납고 끔찍하며 정치적으로 능숙하다"고 비판했습니다.
WSJ은 콕스 주지사가 재임 기간 공화당과 민주당 간 간극을 좁히려고 노력했으며 이런 태도가 공화당 텃밭인 유타에서 콕스 주지사에 대한 반감을 일으키기도 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콕스 주지사는 2022년 3월 여성으로 성을 전환한 선수의 여성 스포츠 경기 참가를 금지하는 법안에 거부권을 행사했는데 이 결정으로 공화당 내에서 많은 비판을 받았습니다.
콕스 주지사는 2016년에 대권에 도전한 트럼프를 두고 "우리의 위대한 나라가 상징하는 것 중 최악을 대표한다"고 비판했으며, 2020년 대선 때도 트럼프에 투표하지 않았습니다.
콕스 주지사는 2024년 트럼프 당시 대선 후보가 암살 시도를 비껴간 이후에야 트럼프를 지지했으며 트럼프 후보에게 나라를 통합해달라고 요청하는 공개서한을 보냈습니다.
또 소셜미디어 기업들이 중독성 있는 기능을 만들고, 미성년자에 피해를 준다는 이유로 소송을 제기했으며, 어린이의 소셜미디어 사용을 금지하는 법안을 옹호하기도 했습니다.
이어 전날 기자회견에서도 "소셜미디어는 지금 우리 사회의 암"이라면서 "사람들이 기기를 끄고, 잔디를 만지고, 가족을 껴안고, 밖에 나가서 사회에 좋은 일을 하기를 권한다"고 말했습니다.
YTN 이승윤 (risungyo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