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네팔에서 정부의 SNS 접속 차단에 항의하는 유혈 시위가 일어나 19명이 숨진 지 하루 만에 총리가 사임했습니다.
샤르마 올리 네팔 총리는 대통령에게 사임 의사를 전달한 서한에서 "만연한 비정상적 상황을 고려하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을 촉진하기 위해 헌법에 따라 총리직에서 사임한다"고 밝혔습니다.
앞서 네팔 곳곳에선 대통령과 총리 자택에 불을 지르고 국회 의사당에 난입하는 등 격렬한 시위가 밤새 계속됐습니다.
이번 시위는 네팔 정부가 지난 5일부터 유튜브와 페이스북 등 당국에 등록되지 않은 SNS 26개의 접속을 차단하면서 촉발됐습니다.
네팔 정부의 SNS 차단 조치는 온라인 공간에서 이용자들의 발언을 제한해 인터넷 자유를 위축시키는 시도라고 AP 통신은 보도했습니다.
주로 20대로 구성된 시위대는 "SNS가 아닌 부패를 척결하라"는 구호를 외치며 시위를 나섰고, 경찰의 강경 진압으로 19명이 숨지고 5백여 명이 다쳤습니다.
네팔 정부는 대규모 시위가 유혈 충돌로 번지자 문제가 된 SNS 접속 차단 조치를 이날 해제했습니다.
YTN 정유신 (yusi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샤르마 올리 네팔 총리는 대통령에게 사임 의사를 전달한 서한에서 "만연한 비정상적 상황을 고려하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을 촉진하기 위해 헌법에 따라 총리직에서 사임한다"고 밝혔습니다.
앞서 네팔 곳곳에선 대통령과 총리 자택에 불을 지르고 국회 의사당에 난입하는 등 격렬한 시위가 밤새 계속됐습니다.
이번 시위는 네팔 정부가 지난 5일부터 유튜브와 페이스북 등 당국에 등록되지 않은 SNS 26개의 접속을 차단하면서 촉발됐습니다.
네팔 정부의 SNS 차단 조치는 온라인 공간에서 이용자들의 발언을 제한해 인터넷 자유를 위축시키는 시도라고 AP 통신은 보도했습니다.
주로 20대로 구성된 시위대는 "SNS가 아닌 부패를 척결하라"는 구호를 외치며 시위를 나섰고, 경찰의 강경 진압으로 19명이 숨지고 5백여 명이 다쳤습니다.
네팔 정부는 대규모 시위가 유혈 충돌로 번지자 문제가 된 SNS 접속 차단 조치를 이날 해제했습니다.
YTN 정유신 (yusi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