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노이 정상회담 앞두고 북한 침투"...트럼프 "처음 듣는 얘기"

"하노이 정상회담 앞두고 북한 침투"...트럼프 "처음 듣는 얘기"

2025.09.06. 오전 07:35.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과거 재임 시절 '김정은 도청장치'를 설치하기 위해 북한에 미 해군 특수부대를 투입했지만, 민간인을 사살하고 작전은 실패에 그쳤다고 뉴욕타임스가 보도했습니다.

이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은 처음 듣는 얘기라며 작전에 대해 알지 못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박영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2018년 싱가포르에서 열린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의 첫 정상회담,

트럼프 대통령 1기 임기 초반 한껏 긴장이 고조됐던 북미 관계는 분위기가 완전히 바뀌는 듯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 미국 대통령 : 아주 아주 좋습니다. 우리는 훌륭한 관계입니다.]

그런데 이 시기에 트럼프 대통령은 '김정은 도청장치 작전'을 직접 승인했고,

9.11 테러를 일으킨 오사마 빈 라덴을 제거한 미 해군 최정예 특수부대 '실팀6'가 수개월 간의 훈련을 거쳐 2019년 초 북한 해안에 침투합니다.

하지만 북한 어선의 출현으로 작전 실패,

발각될 것을 우려한 미 특수부대는 선박에 타고 있던 민간인들을 모두 사살하고 돌아옵니다.

작전 실패 후, 같은 해 2월 말 하노이 북미 정상회담은 예정대로 열렸지만 결렬됐고, 5월에 북한은 미사일 시험발사를 재개했습니다.

이어 6월, 북미 정상은 판문점에서 또 한 번 역사적 장면을 연출했지만, 악수가 다였습니다.

뉴욕타임스는 전현직 당국자 수십 명을 인용해 '김정은 도청작전'을 폭로하면서, 북한이 이 작전을 얼마나 파악했는지는 불분명하다고 보도했습니다.

또 당시 트럼프 대통령에겐 김정은의 의중을 파악하는 것이 최우선과제였다고 분석했습니다.

뉴욕타임스는 트럼프 행정부가 이 작전을 미 의회에조차 보고하지 않은 점은 법 위반 소지가 있다고도 지적했습니다.

2기 취임 이후 김정은 위원장과 만나겠다고 거듭 밝혀온 트럼프 대통령, 이 작전은 모르는 얘기라고 주장했습니다.

하지만 '북한 침투와 민간인 사살'을 폭로한 이번 보도로 향후 북미대화 추진에도 파장이 예상됩니다.

YTN 박영진입니다.

영상편집 : 이영훈


YTN 박영진 (jkw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