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유럽 지도자들이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평화 협정의 조건으로 양국 전선 사이에 40km 규모의 완충지대를 조성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폴리티코 유럽판이 현지시간 28일 보도했습니다.
폴리티코는 이날 유럽 외교관 5명을 인용해 유럽의 군 관계자와 당국자들이 우크라이나의 종전이나 휴전 시 적용할 우크라이나 안전보장 방안 중 하나로 이 같은 안을 고려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유럽 외교관들은 해당 구상이 철통 같은 경계를 유지하는 한반도의 분단 선보다는 냉전 시대 동·서독을 가르던 방식에 비유한다고 폴리티코는 설명했습니다.
과거 서독과 동독 간에는 공식적인 완충지대는 없었지만, 경계구역 설정 등을 통해 군사적 충돌을 경계했습니다.
다만 완충지대에 파병할 다국적군의 규모는 아직 결정되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유럽 당국자들은 약 4천~6만 명 파견을 논의하고 있지만, 유럽 각국은 자신들이 보낼 수 있는 병력 규모에 대해서 구체적인 언급을 하지 않고 있습니다.
또 일부 국가는 우크라이나 파병에 부정적입니다.
특히 폴란드를 포함한 나토의 동유럽 국가들은 우크라이나에 파병할 경우 자국의 방어가 약화할 수 있다는 우려를 미국 국방부에 전달했다고 당국자들은 설명했습니다.
유럽 외교관들은 우크라이나에 배치되는 다국적군은 완충지대 순찰과 우크라이나군 훈련 등 두 가지 역할을 맡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다른 당국자들은 프랑스와 영국이 다국적군 주둔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다만 지난 25일 댄 케인 미 합참의장과 알렉서스 그린케위치 나토 유럽동맹 최고사령관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나토 군 수뇌부 화상회의에서는 완충지대 조성 방안에 대한 언급은 없었다고 한 당국자는 전했습니다.
폴리티코는 이 같은 유럽의 구상에 대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전투를 멈출 뜻을 보이지 않는 가운데 "지푸라기를 잡는 심정"으로 나온 방안이라고 짚었습니다.
아울러 이 매체는 우크라이나가 이 방안을 수용할지 불확실하고 미국도 관련 논의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며 완충지대 조성 방안의 실현 가능성에 대한 의문을 드러냈습니다.
YTN 박영진 (yjpark@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폴리티코는 이날 유럽 외교관 5명을 인용해 유럽의 군 관계자와 당국자들이 우크라이나의 종전이나 휴전 시 적용할 우크라이나 안전보장 방안 중 하나로 이 같은 안을 고려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유럽 외교관들은 해당 구상이 철통 같은 경계를 유지하는 한반도의 분단 선보다는 냉전 시대 동·서독을 가르던 방식에 비유한다고 폴리티코는 설명했습니다.
과거 서독과 동독 간에는 공식적인 완충지대는 없었지만, 경계구역 설정 등을 통해 군사적 충돌을 경계했습니다.
다만 완충지대에 파병할 다국적군의 규모는 아직 결정되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유럽 당국자들은 약 4천~6만 명 파견을 논의하고 있지만, 유럽 각국은 자신들이 보낼 수 있는 병력 규모에 대해서 구체적인 언급을 하지 않고 있습니다.
또 일부 국가는 우크라이나 파병에 부정적입니다.
특히 폴란드를 포함한 나토의 동유럽 국가들은 우크라이나에 파병할 경우 자국의 방어가 약화할 수 있다는 우려를 미국 국방부에 전달했다고 당국자들은 설명했습니다.
유럽 외교관들은 우크라이나에 배치되는 다국적군은 완충지대 순찰과 우크라이나군 훈련 등 두 가지 역할을 맡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다른 당국자들은 프랑스와 영국이 다국적군 주둔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다만 지난 25일 댄 케인 미 합참의장과 알렉서스 그린케위치 나토 유럽동맹 최고사령관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나토 군 수뇌부 화상회의에서는 완충지대 조성 방안에 대한 언급은 없었다고 한 당국자는 전했습니다.
폴리티코는 이 같은 유럽의 구상에 대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전투를 멈출 뜻을 보이지 않는 가운데 "지푸라기를 잡는 심정"으로 나온 방안이라고 짚었습니다.
아울러 이 매체는 우크라이나가 이 방안을 수용할지 불확실하고 미국도 관련 논의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며 완충지대 조성 방안의 실현 가능성에 대한 의문을 드러냈습니다.
YTN 박영진 (yjpark@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