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관세'로 미국 식품업계 울상..."관세 면제 적용해야"

'트럼프 관세'로 미국 식품업계 울상..."관세 면제 적용해야"

2025.08.25. 오후 1:13.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미국 식품업계가 '트럼프 관세'로 인한 어려움을 호소하며 주요 농수산물에 대한 관세 예외를 요구하고 있다고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가 보도했습니다.

신문은 상당수 식품이 미국 내에서 적정 가격에 생산될 수 없고, 특히 상호관세 영향을 받는 국가 중에는 미국이 대량 생산하지 않는 품목을 생산하는 나라들이 있어 가격 인상 폭이 커질 수 밖에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다만 로비 단체들은 관세 전체를 공격하기보다는 제각기 관세 면제를 요청하는 단편적 접근법을 택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수산물 무역 조합인 미국수산협회의 개빈 기븐스 최고전략책임자는 "수산물은 다른 식품과 근본적으로 다르다"며 "우리는 수산물 전체에 대해 면제를 원한다"고 말했습니다.

협회는 미국에서 소비되는 식품 대부분은 자국 내에서 주로 생산되고 5분의 1 정도만 수입하는 데 반해 수산물은 미국 소비량의 85%를 해외에서 들여온다는 점을 이유로 들었습니다.

예를 들어 전체 소비량의 90%를 수입하는 새우의 경우 3분의 1을 인도에서 들여오는데, 러시아산 원유 수입을 이유로 50% 관세를 물리면 새우 가격은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높아진다는 것입니다.

미국 내 어획량은 이미 지속 가능한 최대 생산량에 도달해 더는 늘릴 수 없고, 규제 때문에 양식업의 확장도 어렵다는 설명도 덧붙였습니다.

상무부 데이터에 따르면 미국의 수산물 무역 적자는 2022년 기준으로 240억 달러, 33조 원에 달했습니다.

반면 농산물 무역단체인 국제신선농산물협회의 레베카 애드콕 대관 담당 부회장은 "관세 논의에서 과일과 채소를 제외해달라고 요구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미국의 과일·채소 수입액은 360억 달러로 상당수가 멕시코와 페루, 캐나다 등에서 들여오고 있습니다.

월마트 등을 회원사로 둔 식품산업협회는 최근 보고서에서 오이의 경우 수입 비중이 1990년 35%에서 90%로 급증했는데, 오이 90%를 국내에서 생산하려면 온실 재배가 필요해 가격이 오를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앤디 해리그 식품산업협회 부회장은 "관세는 가격을 올리도록 설계돼 있다"며 "일부 관세는 눈에 띄는 인상폭을 가져올 정도로 상당한 수준"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전미요식업협회도 지난달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부 대표에게 서한을 보내 "신선 식재료에 관세가 부과되면 음식 가격이 급등할 것"이라며 "식음료 제품은 미국이 대규모 적자를 보는 품목이 아닌 만큼 관세 면제를 원한다"고 밝혔습니다.

신문은 관세 예외나 멕시코와 캐나다와의 무역협정에 따라 일부 식품에 대한 관세 면제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다며, 러트닉 상무장관도 커피, 망고 등 미국에서 생산되지 않는 천연자원에는 관세 예외를 시사했다고 전했습니다.




YTN 권준기 (jkw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