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바다 얼음 감소 등 남극의 환경 변화로 해수면이 상승해 어느 시점에는 전 세계 해안 도시들이 물에 잠길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네릴리 아브람 호주국립대 교수 등 기후변화 학자들은 현지 시간 20일 과학 저널 네이처에 게재한 논문에서 남극 기후체계가 돌아올 수 없는 지점을 넘어서고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연구진은 남극의 바다 얼음, 남극 수역의 해류, 남극의 생태계가 '체제 변화' 수준으로 급변했다고 분석했습니다.
현재 지구 온난화 추세로 빙상과 빙붕이 녹으면 해수면이 최소 3m 상승해 세계 해안 도시들이 침수될 것이라고 연구진은 경고했습니다.
연구진은 위성사진을 분석해 남극의 바다 얼음이 2014년 이후 대륙 해안에서 120km 정도 후퇴했다며 북극에서 50년간 이뤄진 것과 비교해도 3배나 빨랐다고 진단했습니다.
남극해가 흰 얼음으로 덮여있으면 태양광이 거기에 반사돼 에너지가 우주로 빠져나가지만 푸른 바다는 열을 거의 모두 흡수합니다.
아브람 교수는 "우리가 향후 10∼20년 동안 내보낼 온실가스에 남극 얼음이 얼마나 많이, 빨리 사라질지 결정될 것"이라며 악순환을 멈출 유일한 방안으로 온실가스 배축 억제를 제시했습니다.
YTN 신호 (sino@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네릴리 아브람 호주국립대 교수 등 기후변화 학자들은 현지 시간 20일 과학 저널 네이처에 게재한 논문에서 남극 기후체계가 돌아올 수 없는 지점을 넘어서고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연구진은 남극의 바다 얼음, 남극 수역의 해류, 남극의 생태계가 '체제 변화' 수준으로 급변했다고 분석했습니다.
현재 지구 온난화 추세로 빙상과 빙붕이 녹으면 해수면이 최소 3m 상승해 세계 해안 도시들이 침수될 것이라고 연구진은 경고했습니다.
연구진은 위성사진을 분석해 남극의 바다 얼음이 2014년 이후 대륙 해안에서 120km 정도 후퇴했다며 북극에서 50년간 이뤄진 것과 비교해도 3배나 빨랐다고 진단했습니다.
남극해가 흰 얼음으로 덮여있으면 태양광이 거기에 반사돼 에너지가 우주로 빠져나가지만 푸른 바다는 열을 거의 모두 흡수합니다.
아브람 교수는 "우리가 향후 10∼20년 동안 내보낼 온실가스에 남극 얼음이 얼마나 많이, 빨리 사라질지 결정될 것"이라며 악순환을 멈출 유일한 방안으로 온실가스 배축 억제를 제시했습니다.
YTN 신호 (sino@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