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은 우크라이나 전쟁 종전 협상의 핵심 쟁점 중 하나인 대우크라이나 안전보장과 관련,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의 기여 옵션으로 거론한 '공중 지원'에 들어갈 비용은 미국의 대유럽 무기 판매 이윤으로 충당할 수 있다는 견해를 밝혔습니다.
베센트 장관은 '대우크라이나 공중지원 비용이 미국 납세자의 부담이 된다는 것은 타당한 우려인가'라는 질문에 "나는 우려하지 않는다"며 "1월 20일 취임 이후 트럼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에 더 이상 돈을 보내지 않는다고 말해왔다"고 답했습니다.
이어 "우리는 유럽에 무기를 판매하고 있고, 유럽은 그것을 우크라이나에 팔고 있다"며 "트럼프 대통령은 (유럽에 수출하는) 그 무기들에 10%의 이윤을 붙이는데, 그래서 아마도 그 10%가 공중 지원 비용을 커버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또 미국이 우크라이나와 지난 4월 말 체결한 이른바 '광물협정'을 거론하며 "분쟁이 끝나면 미국 납세자들에게 큰 보상이 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아울러 베센트 장관은 상대국에 부과한 고율 관세 유예를 최근 90일 연장하고, 첨단 반도체, 희토류 관련 수출 통제를 각각 완화한 미중 양국 관계에 대해 "지금 현상(status quo·현재 상황)이 매우 잘 작동하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또 "우리는 중국과 매우 좋은 대화를 해왔고, (연장한 관세 유예 기간이 만료되는) 11월 이전에 다시 그들을 볼 것으로 생각한다"고 덧붙였습니다.
YTN 권영희 (kwonyh@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베센트 장관은 '대우크라이나 공중지원 비용이 미국 납세자의 부담이 된다는 것은 타당한 우려인가'라는 질문에 "나는 우려하지 않는다"며 "1월 20일 취임 이후 트럼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에 더 이상 돈을 보내지 않는다고 말해왔다"고 답했습니다.
이어 "우리는 유럽에 무기를 판매하고 있고, 유럽은 그것을 우크라이나에 팔고 있다"며 "트럼프 대통령은 (유럽에 수출하는) 그 무기들에 10%의 이윤을 붙이는데, 그래서 아마도 그 10%가 공중 지원 비용을 커버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또 미국이 우크라이나와 지난 4월 말 체결한 이른바 '광물협정'을 거론하며 "분쟁이 끝나면 미국 납세자들에게 큰 보상이 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아울러 베센트 장관은 상대국에 부과한 고율 관세 유예를 최근 90일 연장하고, 첨단 반도체, 희토류 관련 수출 통제를 각각 완화한 미중 양국 관계에 대해 "지금 현상(status quo·현재 상황)이 매우 잘 작동하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또 "우리는 중국과 매우 좋은 대화를 해왔고, (연장한 관세 유예 기간이 만료되는) 11월 이전에 다시 그들을 볼 것으로 생각한다"고 덧붙였습니다.
YTN 권영희 (kwonyh@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