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미 국무부 당국자는 북한 비핵화 주제가 아닐 경우 미국과의 대화 가능성을 시사한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의 최근 담화를 관심 있게 보고 있으며 북한과도 협상할 의지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세스 베일리 국무부 동아태국 부차관보 대행은 현지 시간 7일 미 버지니아주 알링턴에서 열린 한국전쟁 참전용사 유해 송환 브리핑에서 북한 지도부에서 나온 고위급 성명들을 봤으며 김여정의 담화에 관심을 갖고 주목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베일리 부차관보 대행은 "새로운 한국 정부는 한반도 전역에서 긴장을 줄이기 위해 의미 있는 조치를 하고 북한에 관여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줬다"면서 "트럼프 대통령과 이재명 한국 대통령 모두 북한과의 외교와 관여에 대한 헌신을 보여줬다"고 밝혔습니다.
앞서 김여정 부부장은 지난달 29일 담화에서 미국이 북한의 불가역적인 핵보유국 지위와 능력, 근본적으로 달라진 지정학적 환경 등 변화된 현실을 인정한다는 전제로 미국에 다른 접촉 출로를 모색해보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김여정 부부장의 당시 발언은 북한의 비핵화를 목표로 한 협상은 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하고, 미국이 북한의 핵무기 보유를 용인할 경우 핵 군축이나 군사적 충돌 위험 관리 등의 대화에는 나설 수도 있다는 입장을 시사한 것으로 해석됐습니다.
베일리 부차관보 대행은 또 한국전쟁 미군 장병 유해 송환이 2018년 6월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북한의 공동성명에 중요한 항목으로 포함돼 있다며 "우리는 공동성명에 서술된 원칙들에 여전히 전념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또 "트럼프 대통령은 두 번째 임기를 시작한 이래 이런 정책 목표들을 달성하기 위해 북한과 협상에 관여할 의지가 있다는 점을 분명히 밝혀왔다"고 말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2018년 싱가포르 정상회담에서 새로운 북미관계 수립, 한반도 평화 체제 구축,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위한 노력, 전쟁포로와 실종자 유해 수습 등 4개 항목을 골자로 한 공동 성명을 발표했습니다.
베일리 부차관보 대행은 이와 함께 "우리는 북한의 불안정한 행동을 포함한 공격 행위를 억제하고 도발에 대응하기 위해 모든 권력 도구를 이용해 동북아시아의 안보를 강화하는 데 전념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YTN 홍상희 (sa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세스 베일리 국무부 동아태국 부차관보 대행은 현지 시간 7일 미 버지니아주 알링턴에서 열린 한국전쟁 참전용사 유해 송환 브리핑에서 북한 지도부에서 나온 고위급 성명들을 봤으며 김여정의 담화에 관심을 갖고 주목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베일리 부차관보 대행은 "새로운 한국 정부는 한반도 전역에서 긴장을 줄이기 위해 의미 있는 조치를 하고 북한에 관여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줬다"면서 "트럼프 대통령과 이재명 한국 대통령 모두 북한과의 외교와 관여에 대한 헌신을 보여줬다"고 밝혔습니다.
앞서 김여정 부부장은 지난달 29일 담화에서 미국이 북한의 불가역적인 핵보유국 지위와 능력, 근본적으로 달라진 지정학적 환경 등 변화된 현실을 인정한다는 전제로 미국에 다른 접촉 출로를 모색해보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김여정 부부장의 당시 발언은 북한의 비핵화를 목표로 한 협상은 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하고, 미국이 북한의 핵무기 보유를 용인할 경우 핵 군축이나 군사적 충돌 위험 관리 등의 대화에는 나설 수도 있다는 입장을 시사한 것으로 해석됐습니다.
베일리 부차관보 대행은 또 한국전쟁 미군 장병 유해 송환이 2018년 6월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북한의 공동성명에 중요한 항목으로 포함돼 있다며 "우리는 공동성명에 서술된 원칙들에 여전히 전념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또 "트럼프 대통령은 두 번째 임기를 시작한 이래 이런 정책 목표들을 달성하기 위해 북한과 협상에 관여할 의지가 있다는 점을 분명히 밝혀왔다"고 말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2018년 싱가포르 정상회담에서 새로운 북미관계 수립, 한반도 평화 체제 구축,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위한 노력, 전쟁포로와 실종자 유해 수습 등 4개 항목을 골자로 한 공동 성명을 발표했습니다.
베일리 부차관보 대행은 이와 함께 "우리는 북한의 불안정한 행동을 포함한 공격 행위를 억제하고 도발에 대응하기 위해 모든 권력 도구를 이용해 동북아시아의 안보를 강화하는 데 전념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YTN 홍상희 (sa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