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자신의 무역 협상을 통해 한국 시장이 개방돼 앞으로 미국산 자동차를 많이 팔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현지 시간 5일 CNBC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그간의 무역 합의 결과를 과시하면서 "한국이 시장을 개방했는데 그건 앞으로 엄청난 사업이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어 "한국은 폐쇄된 국가였지만 이제 우리는 자동차와 트럭, SUV를 팔 수 있게 됐다"고 강조했습니다.
미국은 이번 무역 합의 전에도 한국에 자국산 자동차를 수출했지만, 한국의 자동차 안전·환경 기준이 비관세 장벽이라고 주장해왔습니다.
이번 한미 무역합의를 통해 한국은 미국의 안전 기준을 통과한 미국산 자동차는 한국 안전 기준도 충족한 것으로 인정하기로 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다른 나라들이 관세를 낮추기 위해 약속한 대미 투자가 미국이 갚아야 하는 대출이 아니라 미국에 주는 돈이라고 거듭 주장했습니다.
유럽연합 등이 약속한 투자를 하지 않으면 어떻게 되는지 묻는 진행자 질문에 트럼프 대통령은 "그렇게 되면 35% 관세를 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또 무역 합의의 세부 내용이 없다는 지적에 대해 "내가 원하는 아무것에나 6천억 달러를 투자한다는 게 세부 내용"이라고 덧붙였습니다.
YTN 홍상희 (sa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트럼프 대통령은 현지 시간 5일 CNBC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그간의 무역 합의 결과를 과시하면서 "한국이 시장을 개방했는데 그건 앞으로 엄청난 사업이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어 "한국은 폐쇄된 국가였지만 이제 우리는 자동차와 트럭, SUV를 팔 수 있게 됐다"고 강조했습니다.
미국은 이번 무역 합의 전에도 한국에 자국산 자동차를 수출했지만, 한국의 자동차 안전·환경 기준이 비관세 장벽이라고 주장해왔습니다.
이번 한미 무역합의를 통해 한국은 미국의 안전 기준을 통과한 미국산 자동차는 한국 안전 기준도 충족한 것으로 인정하기로 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다른 나라들이 관세를 낮추기 위해 약속한 대미 투자가 미국이 갚아야 하는 대출이 아니라 미국에 주는 돈이라고 거듭 주장했습니다.
유럽연합 등이 약속한 투자를 하지 않으면 어떻게 되는지 묻는 진행자 질문에 트럼프 대통령은 "그렇게 되면 35% 관세를 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또 무역 합의의 세부 내용이 없다는 지적에 대해 "내가 원하는 아무것에나 6천억 달러를 투자한다는 게 세부 내용"이라고 덧붙였습니다.
YTN 홍상희 (sa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