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러시아 등 주요 산유국 협의체인 오펙 플러스(OPEC+)가 원유 생산 할당량을 2년 만에 최고 수준으로 올리기로 하면서 국제유가가 하락했습니다.
블룸버그 통신은 현지시각 3일 사우디아라비아 등 오펙플러스 회원국들이 화상회의를 열고 다음 달부터 하루 원유 생산량을 54만7천 배럴 더 늘리기로 합의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이는 아랍에미리트(UAE)에 승인됐던 하루 30만 배럴의 추가 증산도 포함된 것입니다.
증산이 결정된 뒤 국제유가는 소폭 하락했습니다.
브렌트유 10월 인도분은 1% 하락해 배럴당 69.27달러로 내려왔고, 서부 텍사스산 원유 9월 인도분은 0.6% 떨어진 66.93달러에 거래됐습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이번 증산 결정이 지난해 1월부터 시행된 하루 220만 배럴의 자발적 감산 전략을 전면적으로 철회하는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사우디와 이라크, UAE 등 8개 회원국은 지난 2023년 전기차 확산과 중국의 석유 수요 부진에 대한 우려가 일자 석유 가격을 지탱하기 위해 전략적 감산에 나섰습니다.
하지만 당초 3개월로 예고됐던 감산 조치는 석유 가격 하락을 막지 못했고, 미국과 브라질, 캐나다가 증산에 나서면서 OPEC+의 시장 점유율 하락으로 이어졌습니다.
결국 지난해 12월 OPEC+는 올해 3월부터 감산을 점진적 철회하겠다고 예고했고, 예고했던 일정을 약 1년 앞당겨 빠른 속도로 증산에 나섰습니다.
OPEC+의 증산에도 불구하고 이스라엘과 이란 간 무력충돌로 공급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는 지정학적 긴장과 미국의 관세 정책 등이 가격 지지대 역할을 했습니다.
하지만 이번 증산 결정으로 올겨울에는 원유의 공급과잉이 발생할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중국의 수요 둔화와 미국·캐나다·브라질의 공급 증대로 올해 4분기에는 하루 200만 배럴의 공급 과잉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JP모건 체이스와 골드만삭스는 올해 말쯤이면 국제유가가 60달러 수준까지 하락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의 경고대로 러시아의 원유 수출에 제재가 부과될 경우 공급 차질이 빚어지며 유가에 영향을 줄 가능성도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OPEC+의 또 다른 한 축인 러시아에 우크라이나 전쟁의 휴전을 요구하며 러시아산 원유를 수입하는 나라에 2차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압박하고 있습니다.
YTN 기정훈 (prodi@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블룸버그 통신은 현지시각 3일 사우디아라비아 등 오펙플러스 회원국들이 화상회의를 열고 다음 달부터 하루 원유 생산량을 54만7천 배럴 더 늘리기로 합의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이는 아랍에미리트(UAE)에 승인됐던 하루 30만 배럴의 추가 증산도 포함된 것입니다.
증산이 결정된 뒤 국제유가는 소폭 하락했습니다.
브렌트유 10월 인도분은 1% 하락해 배럴당 69.27달러로 내려왔고, 서부 텍사스산 원유 9월 인도분은 0.6% 떨어진 66.93달러에 거래됐습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이번 증산 결정이 지난해 1월부터 시행된 하루 220만 배럴의 자발적 감산 전략을 전면적으로 철회하는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사우디와 이라크, UAE 등 8개 회원국은 지난 2023년 전기차 확산과 중국의 석유 수요 부진에 대한 우려가 일자 석유 가격을 지탱하기 위해 전략적 감산에 나섰습니다.
하지만 당초 3개월로 예고됐던 감산 조치는 석유 가격 하락을 막지 못했고, 미국과 브라질, 캐나다가 증산에 나서면서 OPEC+의 시장 점유율 하락으로 이어졌습니다.
결국 지난해 12월 OPEC+는 올해 3월부터 감산을 점진적 철회하겠다고 예고했고, 예고했던 일정을 약 1년 앞당겨 빠른 속도로 증산에 나섰습니다.
OPEC+의 증산에도 불구하고 이스라엘과 이란 간 무력충돌로 공급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는 지정학적 긴장과 미국의 관세 정책 등이 가격 지지대 역할을 했습니다.
하지만 이번 증산 결정으로 올겨울에는 원유의 공급과잉이 발생할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중국의 수요 둔화와 미국·캐나다·브라질의 공급 증대로 올해 4분기에는 하루 200만 배럴의 공급 과잉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JP모건 체이스와 골드만삭스는 올해 말쯤이면 국제유가가 60달러 수준까지 하락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의 경고대로 러시아의 원유 수출에 제재가 부과될 경우 공급 차질이 빚어지며 유가에 영향을 줄 가능성도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OPEC+의 또 다른 한 축인 러시아에 우크라이나 전쟁의 휴전을 요구하며 러시아산 원유를 수입하는 나라에 2차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압박하고 있습니다.
YTN 기정훈 (prodi@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