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태국과 캄보디아의 무력 충돌이 사흘째 이어지면서 전선이 캄보디아 서부-태국 동부 국경 지대까지 확대됐습니다.
현지시간 26일 태국 국방부에 따르면 이날 새벽 태국 동부 뜨랏주 세 곳에 캄보디아군이 침공했지만 태국 해군이 대응에 나서 캄보디아군을 격퇴했습니다.
캄보디아도 태국군이 뜨랏주와 맞닿은 캄보디아 서부 뽀삿주에 포탄 5발을 발사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지역은 그간 전투가 벌어진 캄보디아 북부-태국 동부 지역에서 남서쪽으로 250㎞가량 떨어진 곳입니다.
태국군은 이날 태국 동부 사깨오주에서도 충돌이 벌어졌다고 전해 캄보디아 국경과 접한 태국 7개 주 가운데 6개 주가 교전 지역이 됐습니다.
태국군에 따르면 이날까지 교전으로 민간인 14명과 군인 6명 등 모두 20명이 사망하고 60여 명이 다쳤습니다.
캄보디아군은 민간인 8명과 군인 5명 등 13명이 숨지고 70명이 부상했다고 전했습니다.
이번 교전으로 인한 사망자 규모는 2008∼2011년 국경 분쟁 당시 주요 교전 희생자 28명을 넘어섰다고 AFP 통신은 전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양국이 휴전에 원칙적으로 동의한 것으로 알려지는 등 사태 진정을 모색하는 움직임도 일고 있습니다.
##이하 웹용
캄보디아는 양국이 속한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등의 중재 움직임에 적극 반응했습니다.
훈 마네트 캄보디아 총리는 소셜미디어에서 올해 아세안 의장국인 말레이시아의 안와르 이브라힘 총리의 휴전 제안에 자신은 동의했으며, 태국 측도 동의한 것으로 안와르 총리에게 들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불과 한 시간 남짓 후 태국 측이 입장을 번복했다면서 이는 유감스러운 일이라고 말했습니다.
안와르 총리도 태국과 캄보디아가 휴전하고 국경에서 군대를 철수하는 데 합의했지만, 조치를 시행하기 전에 더 많은 시간을 요청했다고 말레이시아 관영 베르나마 통신에 밝혔습니다.
찌어 깨오 캄보디아 유엔 대사도 이날 새벽(미국 동부시간 25일 오후) 뉴욕에서 비공개로 열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긴급회의가 끝난 뒤 "조건 없고 즉각적인 휴전을 요청했다"면서 "분쟁의 평화적 해결을 촉구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니꼰뎃 발란꾸라 태국 외교부 대변인은 전날 오후부터 교전이 진정되기 시작했다면서 태국은 말레이시아의 지원을 받는 협상에 열려 있다고 말했습니다.
태국 측은 또 휴전 구상에 원칙적으로 동의하고 이를 검토하겠지만, 휴전은 "적절한 현장 상황"에 기반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마릿 싸응이얌퐁 태국 외교부 장관은 태국이 먼저 군사행동을 중단하지는 않을 것이라면서 캄보디아가 먼저 적대 행위를 중단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아울러 휴전이나 회담이 진행되려면 캄보디아가 무력 충돌을 끝내겠다는 진정성을 보여야 한다면서 양자 대화를 촉구했습니다.
이날 안보리 회의에서는 15개 이사국 모두가 양국에 긴장 완화, 자제, 평화적 분쟁 해결을 촉구했다고 한 외교관이 AP에 전했습니다.
유엔에 따르면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도 양국에 자제를 촉구하고 대화를 통해 분쟁을 해결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또 교전이 계속되면서 태국에서 일하는 캄보디아 이주노동자 수만 명이 캄보디아와 국경을 접한 태국 동부 찬타부리주로 몰려들어 귀국을 신청했다고 현지 방송이 전했습니다.
소셜미디어에는 태국에서 머무는 것이 더 이상 안전하지 않다는 태국 거주 캄보디아인들의 언급이 퍼지고 있습니다.
캄보디아 정부에 따르면 태국 내 캄보디아 이주노동자는 작년 현재 120만여 명에 이릅니다.
현재 총리직에서 직무정지된 패통탄 친나왓 태국 총리 겸 문화부 장관의 아버지인 탁신 친나왓 전 총리는 이날 대피소를 방문해 피난민들을 위로했습니다.
탁신 전 총리는 30여 년간 절친이었던 캄보디아 실권자 훈 센 상원의장에 대해 기자들에게 "그의 행동은 불안정한 사고방식을 반영한다"면서 "그는 자신의 행동을 반성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YTN 정유신 (yusi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현지시간 26일 태국 국방부에 따르면 이날 새벽 태국 동부 뜨랏주 세 곳에 캄보디아군이 침공했지만 태국 해군이 대응에 나서 캄보디아군을 격퇴했습니다.
캄보디아도 태국군이 뜨랏주와 맞닿은 캄보디아 서부 뽀삿주에 포탄 5발을 발사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지역은 그간 전투가 벌어진 캄보디아 북부-태국 동부 지역에서 남서쪽으로 250㎞가량 떨어진 곳입니다.
태국군은 이날 태국 동부 사깨오주에서도 충돌이 벌어졌다고 전해 캄보디아 국경과 접한 태국 7개 주 가운데 6개 주가 교전 지역이 됐습니다.
태국군에 따르면 이날까지 교전으로 민간인 14명과 군인 6명 등 모두 20명이 사망하고 60여 명이 다쳤습니다.
캄보디아군은 민간인 8명과 군인 5명 등 13명이 숨지고 70명이 부상했다고 전했습니다.
이번 교전으로 인한 사망자 규모는 2008∼2011년 국경 분쟁 당시 주요 교전 희생자 28명을 넘어섰다고 AFP 통신은 전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양국이 휴전에 원칙적으로 동의한 것으로 알려지는 등 사태 진정을 모색하는 움직임도 일고 있습니다.
##이하 웹용
캄보디아는 양국이 속한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등의 중재 움직임에 적극 반응했습니다.
훈 마네트 캄보디아 총리는 소셜미디어에서 올해 아세안 의장국인 말레이시아의 안와르 이브라힘 총리의 휴전 제안에 자신은 동의했으며, 태국 측도 동의한 것으로 안와르 총리에게 들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불과 한 시간 남짓 후 태국 측이 입장을 번복했다면서 이는 유감스러운 일이라고 말했습니다.
안와르 총리도 태국과 캄보디아가 휴전하고 국경에서 군대를 철수하는 데 합의했지만, 조치를 시행하기 전에 더 많은 시간을 요청했다고 말레이시아 관영 베르나마 통신에 밝혔습니다.
찌어 깨오 캄보디아 유엔 대사도 이날 새벽(미국 동부시간 25일 오후) 뉴욕에서 비공개로 열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긴급회의가 끝난 뒤 "조건 없고 즉각적인 휴전을 요청했다"면서 "분쟁의 평화적 해결을 촉구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니꼰뎃 발란꾸라 태국 외교부 대변인은 전날 오후부터 교전이 진정되기 시작했다면서 태국은 말레이시아의 지원을 받는 협상에 열려 있다고 말했습니다.
태국 측은 또 휴전 구상에 원칙적으로 동의하고 이를 검토하겠지만, 휴전은 "적절한 현장 상황"에 기반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마릿 싸응이얌퐁 태국 외교부 장관은 태국이 먼저 군사행동을 중단하지는 않을 것이라면서 캄보디아가 먼저 적대 행위를 중단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아울러 휴전이나 회담이 진행되려면 캄보디아가 무력 충돌을 끝내겠다는 진정성을 보여야 한다면서 양자 대화를 촉구했습니다.
이날 안보리 회의에서는 15개 이사국 모두가 양국에 긴장 완화, 자제, 평화적 분쟁 해결을 촉구했다고 한 외교관이 AP에 전했습니다.
유엔에 따르면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도 양국에 자제를 촉구하고 대화를 통해 분쟁을 해결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또 교전이 계속되면서 태국에서 일하는 캄보디아 이주노동자 수만 명이 캄보디아와 국경을 접한 태국 동부 찬타부리주로 몰려들어 귀국을 신청했다고 현지 방송이 전했습니다.
소셜미디어에는 태국에서 머무는 것이 더 이상 안전하지 않다는 태국 거주 캄보디아인들의 언급이 퍼지고 있습니다.
캄보디아 정부에 따르면 태국 내 캄보디아 이주노동자는 작년 현재 120만여 명에 이릅니다.
현재 총리직에서 직무정지된 패통탄 친나왓 태국 총리 겸 문화부 장관의 아버지인 탁신 친나왓 전 총리는 이날 대피소를 방문해 피난민들을 위로했습니다.
탁신 전 총리는 30여 년간 절친이었던 캄보디아 실권자 훈 센 상원의장에 대해 기자들에게 "그의 행동은 불안정한 사고방식을 반영한다"면서 "그는 자신의 행동을 반성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YTN 정유신 (yusi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