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우리 정부가 오늘 무역 협상을 진행할 예정인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은 한일 간 경쟁 관계를 언급하며 "한국이 미일 무역 합의를 보고 욕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러트닉 장관은 CNBC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한국도 유럽과 마찬가지로 매우 협상을 타결하고 싶어 한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또 "한국과 일본은 서로 경계하기 때문에 한국이 일본의 협상 타결을 봤을 때 무슨 생각을 하고 있었을지 상상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어 한국이 협상 타결 소식에 난감해 했을 것이라며 "오늘(25일) 내 사무실에 한국 대표단이 와서 대화한다"고 말했습니다.
앞서 정부 관계자는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이 워싱턴DC 상무부에서 러트닉 장관을 만날 예정이라고 전했습니다.
러트닉 장관의 발언은 미국도 한국과 일본이 미국과의 무역 협상에서 서로 경쟁하는 위치라는 점을 충분히 인식하고 있다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앞서 일본은 미국에 5,500억 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를 약속하고, 자동차와 쌀 시장 등을 개방하는 조건으로 원래 25%였던 상호 관세와 자동차 관세를 15%로 낮추기로 합의했습니다.
특히 자동차의 경우 한일 양국의 대미 주력 수출 품목이란 점에서 한국이 최소한 일본 수준으로 관세를 낮추지 못하면 한국 자동차 업체들이 대미 수출에서 상대적으로 불리해질 수 있습니다.
미국도 이런 상황을 지렛대로 이용해 한국에 더 많은 양보를 압박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YTN 이승윤 (risungyo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러트닉 장관은 CNBC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한국도 유럽과 마찬가지로 매우 협상을 타결하고 싶어 한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또 "한국과 일본은 서로 경계하기 때문에 한국이 일본의 협상 타결을 봤을 때 무슨 생각을 하고 있었을지 상상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어 한국이 협상 타결 소식에 난감해 했을 것이라며 "오늘(25일) 내 사무실에 한국 대표단이 와서 대화한다"고 말했습니다.
앞서 정부 관계자는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이 워싱턴DC 상무부에서 러트닉 장관을 만날 예정이라고 전했습니다.
러트닉 장관의 발언은 미국도 한국과 일본이 미국과의 무역 협상에서 서로 경쟁하는 위치라는 점을 충분히 인식하고 있다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앞서 일본은 미국에 5,500억 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를 약속하고, 자동차와 쌀 시장 등을 개방하는 조건으로 원래 25%였던 상호 관세와 자동차 관세를 15%로 낮추기로 합의했습니다.
특히 자동차의 경우 한일 양국의 대미 주력 수출 품목이란 점에서 한국이 최소한 일본 수준으로 관세를 낮추지 못하면 한국 자동차 업체들이 대미 수출에서 상대적으로 불리해질 수 있습니다.
미국도 이런 상황을 지렛대로 이용해 한국에 더 많은 양보를 압박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YTN 이승윤 (risungyo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