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미국의 유명 백화점 체인 '콜스'(Kohls)가 '밈주식'(온라인에서 입소문을 타고 개인 투자자들이 몰리는 주식) 투자자들의 표적이 되면서 주가가 급등락을 거듭했습니다.
뉴욕 증시에서 콜스 주식은 개장 직후 전장 대비 105% 폭등 출발했다가 상승 폭을 반납한 뒤 등락을 거듭한 뒤 전장 대비 37.75% 오른 14달러 선에서 거래됐습니다.
장중 거래량은 평소 거래량의 15배 이상 수준으로 폭증했는데 콜스 측의 주목할 만한 공시나 발표가 없었다는 점에서 밈주식 투자자들이 콜스를 공략 대상으로 삼은 것은 아니냐는 분석이 나옵니다.
실제로 미국 개인투자자들이 자주 찾는 온라인 사이트 레딧의 주식 토론방 '월스트리트 베츠'에선 콜스를 잠재적 밈주식 공략 대상으로 언급하는 글들이 게재됐습니다.
CNBC 방송은 콜스가 과거 게임스톱처럼 밈주식 투자자들이 노릴만한 주된 요소를 두루 갖췄다고 분석했습니다.
미국 개인 투자자들이 친숙한 전통적인 백화점 체인인 데다 실적 부진이 장기화하고, 발행주식의 공매도 대차거래 잔고 비중이 발행주식의 절반에 이를 정도로 공매도 투자가 쏠렸기 때문입니다.
앞서 콜스는 올해 매출이 전년 대비 5∼7% 감소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발표했습니다.
보통 헤지펀드나 기관 투자자들은 주가 하락을 예상하는 종목의 공매도 포지션을 늘립니다.
개인 투자자들이 해당 주식을 대량 매수해 주가를 급속히 끌어올릴 경우 기관 투자자들은 2021년 게임스톱 사태 때처럼 '숏 스퀴즈'에 내몰릴 수 있습니다.
숏 스퀴즈는 공매도 투자자가 빌렸던 주식을 갚기 위해 공개 시장에서 주식을 매수하는 과정에서 주가를 추가로 끌어올리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YTN 이승윤 (risungyo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뉴욕 증시에서 콜스 주식은 개장 직후 전장 대비 105% 폭등 출발했다가 상승 폭을 반납한 뒤 등락을 거듭한 뒤 전장 대비 37.75% 오른 14달러 선에서 거래됐습니다.
장중 거래량은 평소 거래량의 15배 이상 수준으로 폭증했는데 콜스 측의 주목할 만한 공시나 발표가 없었다는 점에서 밈주식 투자자들이 콜스를 공략 대상으로 삼은 것은 아니냐는 분석이 나옵니다.
실제로 미국 개인투자자들이 자주 찾는 온라인 사이트 레딧의 주식 토론방 '월스트리트 베츠'에선 콜스를 잠재적 밈주식 공략 대상으로 언급하는 글들이 게재됐습니다.
CNBC 방송은 콜스가 과거 게임스톱처럼 밈주식 투자자들이 노릴만한 주된 요소를 두루 갖췄다고 분석했습니다.
미국 개인 투자자들이 친숙한 전통적인 백화점 체인인 데다 실적 부진이 장기화하고, 발행주식의 공매도 대차거래 잔고 비중이 발행주식의 절반에 이를 정도로 공매도 투자가 쏠렸기 때문입니다.
앞서 콜스는 올해 매출이 전년 대비 5∼7% 감소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발표했습니다.
보통 헤지펀드나 기관 투자자들은 주가 하락을 예상하는 종목의 공매도 포지션을 늘립니다.
개인 투자자들이 해당 주식을 대량 매수해 주가를 급속히 끌어올릴 경우 기관 투자자들은 2021년 게임스톱 사태 때처럼 '숏 스퀴즈'에 내몰릴 수 있습니다.
숏 스퀴즈는 공매도 투자자가 빌렸던 주식을 갚기 위해 공개 시장에서 주식을 매수하는 과정에서 주가를 추가로 끌어올리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YTN 이승윤 (risungyo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