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화장품 사재기 나선 미국인들..".트럼프 관세 맞고 가격 뛸라"

한국 화장품 사재기 나선 미국인들..".트럼프 관세 맞고 가격 뛸라"

2025.07.17. 오후 3:38.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에 사는 한국계 미국인 에스더 리(32)씨는 최근 온라인으로 1년 치 한국 화장품을 샀습니다.

아이라이너와 자외선차단제를 여러 개씩 담자 수백 달러가 나왔다. 평소 구매량의 3배였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8월 1일부터 한국에 대해 25%의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한 가운데 한국 화장품의 가격이 오르기 전에 사재기를 한 것입니다.

리씨가 쓰는 화장품 중에 한국 제품이 80%를 차지합니다.

리씨는 실제로 관세가 부과돼 가격이 오르게 되면 한국을 찾을 때 대량으로 사 오거나 한국에 가는 친구들에게 부탁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미 일간 뉴욕타임스(NYT)는 현지시간 17일 리씨 같은 이들이 적지 않다면서 가격 인상 전에 즐겨 쓰던 한국 화장품 제품을 쟁여두려는 미국 내 분위기를 소개했습니다.

팔로워가 50만 명인 한 미국인 인플루언서는 대량으로 사들인 한국 화장품을 '언박싱'(개봉)하는 영상을 틱톡에 올리면서 "미래는 불확실하지만 한가지는 확실하다. (즐겨 쓰는) 특정 한국 화장품을 잃고 싶지 않다"고 했습니다.

이런 사재기는 지난 4월부터 시작됐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에 25%의 상호관세 부과 계획을 밝히면서 미국의 한국 화장품 팬들이 움직이기 시작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곧 90일간 부과를 유예했지만 최근 다시 25%의 상호관세율을 적시한 서한을 한국에 보내고 8월 1일부터의 시행을 예고하면서 사재기 붐이 수그러들지 않고 있습니다.

미국인들이 꼽는 한국 화장품의 경쟁력은 '가성비'입니다.

가격이 저렴한데도 번짐이 덜하거나 피부 자극이 적고 흡수가 잘되는 등의 제품 경쟁력을 갖춘 한국 화장품이 많다는 것입니다.

미국 소재 K-뷰티 브랜드를 운영하는 콘텐츠 크리에이터 리아 유(36)씨는 NYT에 "관세는 뷰티 산업에 대체로 엄청난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향후 6개월간 상황 전개를 지켜보겠다고 했습니다.

그는 한국 화장품의 최대 강점이 합리적 가격이었다면서 가격 경쟁력에 초점을 맞춰 승부하던 한국 브랜드들이 심한 타격을 입을 것이라고 했습니다.

롭 핸드필드 미 노스캐롤라이나주립대 교수는 NYT에 "미국인 일부가 관세에 앞서 행동에 나선 것"이라며 한국과 일본의 경우 8월 1일 이전에 미국과 합의를 이룰 가능성이 작아 보인다고 밝혔습니다.




YTN 권영희 (kwonyh@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